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시간 개념의 발전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요?
📌 이번 글에서는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을 분석하며, 인류가 시간을 측정할 필요성을 느낀 과정과 시계가 문명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 또한, 문장 배열 문제를 푸는 핵심 전략과 논리적 접근 방식을 상세히 설명하여, 독해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 순서 배열 문제를 풀 때 유용한 전략
- 💡 Key words(핵심어)를 파악하여 단락 간 논리적 연결을 분석합니다.
- 💡 접속부사(구), 접속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대명사, 반복되는 의미에 주목하여 문장의 흐름을 파악합니다.
- 💡 시간의 흐름(과거 → 현재), 원인과 결과, 일반적인 개념 → 구체적인 설명 등의 전개 방식을 고려합니다.
📌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해설이 전체적인 글의 이해와 문제 풀이에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6.
Up until about 6,000 years ago, most people were farmers. Many lived in different places throughout the year, hunting for food or moving their livestock to areas with enough food.
(A) For example, priests wanted to know when to carry out religious ceremonies. This was when people first invented clocks ― devices that show, measure, and keep track of passing time.
(B) There was no need to tell the time because life depended on natural cycles, such as the changing seasons or sunrise and sunset. Gradually more people started to live in larger settlements, and some needed to tell the time.
(C) Clocks have been important ever since. Today, clocks are used for important things such as setting busy airport timetables―if the time is incorrect, aeroplanes might crash into each other when taking off or landing! [3점]
④ (C) - (A) - (B) ⑤ (C) - (B) - (A)
문장별 분석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제시문
Up until about 6,000 years ago, most people were farmers. Many lived in different places throughout the year, hunting for food or moving their livestock to areas with enough food.
🔑 주요 단어 정리
- up until~: ~까지 (동의어: until, before)
- throughout the year: 일 년 내내
- hunt for~: ~을 위해 사냥하다
- livestock: 가축
- move A to B: A를 B로 이동시키다
- area: 지역, 장소 (동의어: region, plac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Up until about 6,000 years ago,/ most people were farmers(→hunter-gatherers).
- 약 6,000년 전까지,/ 대부분의 사람들은 농부(→수렵 채집인)(들)였습니다.
- Many lived/ in different places/ throughout the year,/
- 많은 사람들이 살았습니다/ 서로 다른 곳(들)에서/ 일 년 내내,/
- [hunting/ for food]/ or/ [moving/ their livestock/ <to areas/ with enough food>].
- [사냥을 하면서/ 식량을 위해]/ 또는/ [이동시키면서/ 그들의 가축을/ <지역들로/ 충분한 먹이을 가진>].
📖 어법 설명
- ✅ 문장 간의 논리적 연결상 어휘 변경 필요성
- 첫 문장인, “Up until about 6,000 years ago,/ most people were farmers(→hunter-gatherers).” 뒤에 이어지는 내용은 “farmers“의 생활 패턴이 아닌 ”hunter-gatherers“의 생활 패턴입니다. 실제로 농경의 시작은 약 6,000년 전에 시작되었고 그 전까지는 수렵채집인(hunter gatherers)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문맥상 ”farmers“는 ”hunter-gatherers“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 ✅ 분사구문
- “[hunting/~]/ or/ [moving/~]”은 “[while they hunted/~/ or/ moved~]”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many)”가 생략되고 각 동사 “hunted”와 “moved”가 “hunting”과 “mov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 제시문의 핵심 내용
- 약 6,000년 전까지 대부분의 사람들은 농부(→수렵 채집인)이었으며, 가축을 기르거나 먹이를 찾아 이동하며 살았음.
- 🔍 순서 추론 1
- 제시문에서 알 수 있는 것은 6,000년 전까지의 인간의 삶의 패턴입니다. 이것이 무엇과 관련이 있는지를 찾아야 하므로 단락 (A)로 이동하여 분석 후 독해를 이어가도록 합니다.
📌 단락 (A)
For example, priests wanted to know when to carry out religious ceremonies. This was when people first invented clocks ― devices that show, measure, and keep track of passing time.
🔑 주요 단어 정리
- For example: 예를 들어
- priest: 성직자
- carry out: 수행하다 (동의어: conduct, perform)
- religious ceremony: 종교 의식
- invent: 발명하다 (동의어: create, devise)
- keep track of~: ~을 기록하다, 추적하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example,/ priests wanted/ to know/ [when to carry out/ religious ceremonies].
- 예를 들어,/ 성직자들은 원했습니다/ 알기를/ [언제 수행해야 하는지/ 종교의식(들)을].
- This was [(the time)/ when people first invented/ [clocks]/ ―/ [devices/ that show, measure, and keep track of/ passing time]].
- 이것이 [(그 때)입니다/ 사람들이 처음으로 발명했던/ [시계(들)를]/ 즉/ [장치(들)인/ 보여주고, 측정하고, 기록하는/ 지나(흘러)가고 있는 시간을]].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구 "For exampl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wanted/ to know”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 “wanted”의 목적어 역할.
- ✅ “의문사 + to 부정사“ 용법
- ”[when to carry out/ religious ceremonies]“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사의 의미 + ~해야 하는지“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이렇게 해석하는 이유는 ”[when they should carry out/ religious ceremonies]“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문장에서는, ”언제 (그들이) 종교행사(들)를 수행해야 하는지“의 의미
- ✅ 선행사가 생략된 관계부사
- "[(the time)/ when people first invented/ [clocks]"은 관계부사 “when”은 생략된 선행사, “(the time)”를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사람들이 처음으로 시계(들)을 발명했던 때”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 동격 관계
- “[clocks]”와 “[devices/~]”는 동격 관계로 dash(―)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됩니다.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devices/ that show, measure, and keep track of/ passing time]”에서 “that”은 선행사, “device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지나(흘러)가고 있는 시간을 보여주고, 측정하고, 기록하는 장치(들)”의 의미를 전달.
- 💡 단락 (A)의 핵심 내용
- 종교의식 등의 필요 때문에 사람들이 처음으로 시계를 발명함.
- 🔍 순서 추론 2
- 일단, 논리적 흐름상 단락 (A)는 제시문 다음에 올 수 없고, 단락 (A)의 “For example”로부터 “종교의식의(사람들의) 필요”가 “시계의 발명”으로 이어지는 내용으로 “종교의식”은 “사람들의 필요”의 예로 제시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이 단락 이전에는 “시간의 측정 필요성”이 언급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단락 (B)로 이동하여 분석 및 해설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단락 (B)
There was no need to tell the time because life depended on natural cycles, such as the changing seasons or sunrise and sunset. Gradually more people started to live in larger settlements, and some needed to tell the time.
🔑 주요 단어 정리
- There is/was no need to 부정사: ~할 필요성이 없다/없었다
- tell: 구별하다
- depend on~: ~에 의존하다 (동의어: rely on, be dependent on)
- natural cycle: 자연 주기 (예: 계절 변화, 해 뜨고 지는 주기)
- such as~: (예를 들어) ~와 같은
- sunrise: 일출
- sunset: 일몰
- gradually: 점차로 (동의어: slowly, progressively)
- start to 부정사: ~하기 시작하다
- settlement: 정착지 (동의어: village, community)
- need to 부정사: ~할 필요가 있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re was no/ [need/ <to tell/ the time>]/
- 없었습니다/ [필요성이/ <구별할/ 시간을>]/
- [because life depended/ on natural cycles,/ [such as <the changing seasons> or <sunrise and sunset>]].
- [왜냐하면 삶이 의존했기 때문에/ 자연 주기에,/ [예를 들면 <변화하는 계절> 또는 <일출과 일몰>과 같은]].
- Gradually,/ more people started to live/ in larger settlements,/ and/ some needed to tell/ the time.
- 점차로,/ 더 많은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습니다/ 더 큰 정착지(들)에서,/ 그리고/ 일부 사람들은 구별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시간을.
📖 어법 설명
-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need/ <to tell/ the time>]”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need”를 수식.
-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life depended/~]”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needed to tell/ the time”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 “needed”의 목적어 역할. 다만, "~하는 것을 필요로하다"의 직역된 의미가 "~할 필요가 있다"로 의역됩니다.
- 💡 단락 (B)의 핵심 내용
- 자연 주기에 의존할 때는 시간을 구별할 필요가 없었으나 많은 사람들이 정착함에 따라, 시간을 구별할 필요가 생김.
- 🔍 순서 추론 3
- 📢 “자연 주기”에 의존하는 시대가 제시문에 나타난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던 시기에 해당
- 📢 제시문 다음에는 단락 (B)가 와야 하고, 단락 (A)에서 추론한 것처럼 단락 (A) 이전에 시간의 필요성에 대한 진술이 단락 (B)의 마지막 부분에 존재하므로,
- 📢 제시문 – 단락(B) - 단락 (A)의 순서로 배열되어야 합니다.
- 🎯 단락 (C)를 읽지 않아도 이미 순서가 파악되었으므로, 실전에서는 “② (B) - (A) - (C)”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단락 (C)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단락 (C)
Clocks have been important ever since. Today, clocks are used for important things such as setting busy airport timetables―if the time is incorrect, aeroplanes might crash into each other when taking off or landing!
🔑 주요 단어 정리
- ever since: 그때부터 줄곧
- timetable: 일정표 (동의어: schedule)
- take off: 이륙하다
- land: 착륙하다
- crash into~: ~와 충돌하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locks have been important/ ever since./
- 시계는 중요해졌습니다/ 그때부터 줄곧.
- Today,/ clocks are used/ [for important things/ <such as setting/ busy airport timetables>].
- 오늘날,/ 시계는 사용됩니다/ [중요한 일들을 위해서/ <설정하는 것과 같은/ 분주한 공항 일정표들을>].
- [If the time is(→were) incorrect],/
- [만약 시간이 부정확하다면],/
- aeroplanes might crash/ into each other/
- 비행기들이 충돌할 수도 있습니다/ 서로/
- [when taking off or landing]!
- [이륙하거나 착륙할 때]!
📖 어법 설명
- ✅ 현재완료[have + pp] 시제
- "have been important"에서 사용된 어법.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결과를 나타내어 “중요해졌다”의 의미를 전달. cf. "ever since"는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보다 "ever since + 절" 형태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따라서, 원문의 논리적 흐름을 고려하면 "ever since they were first invented"로 확장하는 것이 더 명확한 의미 전달 가능합니다.
- ✅ 수동태[be + pp]
- “are used”에서 사용된 어법. "사용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such as setting/ busy airport timetables>“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구 ”such as“의 목적어 역할. ”분주한 공항 일정표들을 설정하는 것 같은“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가정법 과거 & 시제 표현의 오류"
- [If the time is(→were) incorrect],/aeroplanes might crash/~"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현재 사실의 반대, 현재 이루어질 수 없는 소망을 표현합니다. 표준 문형은 “If+주어+과거형 동사(be 동사는 인칭에 무관 were)+~, 주어+would[should/could/might]+동사원형+~”입니다. 따라서, “is”는 “were”로 변경되어야 어법상 적절합니다.
- ✅ 분사구문
- “[when taking off or landing]”는 “[when they take off or land]”의 종속절에서 주어 “they(=aeroplanes)”가 생략되고 동사구 “take off or land”가 “taking off or land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 단락 (C)의 핵심 내용
- 시계는 발명된 이후 계속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현대에는 특히 공항 운영과 같은 중요한 시스템에 필수적이다. 시간이 정확하지 않으면, 비행기 충돌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 시간 개념은 자연 주기에 의존하다가 정착 생활과 사회적 필요에 따라 시계의 발명으로 발전하였으며, 현대에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 문제 유형 및 해결 전략
- 이 문제는 문장 삽입 및 순서 배열 문제로, 문장 간의 논리적 연결을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 해결 전략
- 제시문의 핵심 내용을 파악
- 6,000년 전까지 인류는 수렵 채집(hunter-gatherers) 생활을 했음.
- 농경이 시작되면서 생활 방식이 변화함.
- 각 단락의 흐름을 분석:
- 단락 (B)
- 초기에는 시간을 알 필요가 없었음 → 점차 정착 생활이 시작되며 필요성이 생김.
- 단락 (A)
- 종교적 이유(예: 제사 일정)로 인해 시간을 측정할 필요성이 커짐 → 시계 발명.
- 단락 (C)
- 시계의 현대적 중요성 → 공항 일정 등 필수 요소.
- 논리적 순서 결정
- 제시문 → (B) → (A) → (C) 순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됨.
🎯 정답 제시
- 따라서. “② (B) - (A) - (C)”가 가장 적절한 어순입니다. 📢
결론
📌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6번 문제는 시간 개념의 변화와 시계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글이었습니다.
📌 문장을 배열할 때, 시간의 필요성 → 시계 발명 → 현대 사회에서의 역할이라는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핵심이었습니다.
✅ 이 문제를 풀면서 얻을 수 있는 교훈
- 문장의 논리적 연결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시간의 흐름(과거 → 현재)을 반영한 배열이 필요합니다.
- 접속부사, 대명사(this, that), 반복되는 개념 등을 활용하여 논리적 단서를 찾아야 합니다.
- 이러한 전략을 익혀두면, 다른 문장 배열 문제에서도 빠르고 정확한 정답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
📌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어법 설명은 글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특히, "디지털 전환", "환경 비용", "탄소 배출"과 같은 키워드를 활용하여 독해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