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8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우리는 매일 같은 얼굴을 보고 있을까?
📌 우리의 얼굴은 변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매 순간 조금씩 변화하고 있습니다.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8번 지문은 인간의 얼굴 변화 속도를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하며, 변화의 인식 차이를 강조하는 글입니다.
📌 이 문제에서는 주어진 문장을 글의 흐름에 맞게 삽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문장 삽입 문제 풀이 전략
- ✅ 주어진 문장이 무엇을 설명하는지 파악 – 핵심 개념과 키워드를 분석
- ✅ 앞뒤 문장과의 연결성 고려 – 논리적 흐름을 확인하고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위치 찾기
- ✅ 지시어(this, that), 접속 부사(However, Therefore), 시제 변화 등을 단서로 활용
📌 문장별 분석을 통해 정확한 삽입 위치를 찾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
📌 본 분석지에 포함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은 독해력은 물론 정답을 추론하는 논리적 사고를 체계적으로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8~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38.
Yet we know that the face that stares back at us from the glass is not the same, cannot be the same, as it was 10 minutes ago.
Sometimes the pace of change is far slower. ( ① ) The face you saw reflected in your mirror this morning probably appeared no different from the face you saw the day before ― or a week or a month ago. ( ② ) The proof is in your photo album: Look at a photograph taken of yourself 5 or 10 years ago and you see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face in the snapshot and the face in your mirror. ( ③ ) If you lived in a world without mirrors for a year and then saw your reflection, you might be surprised by the change. ( ④ ) After an interval of 10 years without seeing yourself, you might not at first recognize the person peering from the mirror. ( ⑤ ) Even something as basic as our own face changes from moment to moment.
*peer: 응시하다
문장별 분석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8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제시문
Yet we know that the face that stares back at us from the glass is not the same, cannot be the same, as it was 10 minutes ago.
🔑 주요 단어 정리
- yet: 그러나, 하지만 (동의어: however, nevertheless)
- stare back at ~: ~을 다시 응시하다
- be not the same as ~: ~와 같은 것이 아니다
- cannot be the same as ~: ~와 같은 것일 리가 없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et/ we know/ [that [the face/ that stares back/ at us/ from the glass]/ <is not the same>,/ (+and)/ <cannot be the same>,/ [as it was (the face)/ 10 minutes ago]].
- 하지만/ 우리는 압니다/ [[그 얼굴이/ 다시 응시하는/ 우리를/ 거울로부터]/ <같은 것이 아니라는 것을>,/ (+그리고)/ <같은 것일 리가 없다는 것을>,/ [그것이 그랬던(그 얼굴 이었던) 것 같은/ 10분 전에]].
📖 어법 설명
- ✅ 접속사 "Yet" 사용
- 앞 문장과 반대되는 내용을 강조하는 접속사로 사용됨.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know/ [that~]"에서 "that"은 동사, "know"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자주 출제됩니다.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face/ that stares back/ at us/ from the glass]”에서 “that”은 선행사, “the fac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거울로부터 우리를 다시 응시하는 그 얼굴”의 의미를 전달.
- ✅ “that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동사구 병렬 구조 - “and” 추가 필요
- “that 절”의 주어는 “the face”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is not the same>,/ (+and)/ <cannot be the same>”. 두 개의 동사구가 병렬 연결된 구조로 “and”를 추가해야 합니다.
- ✅ 비교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it was (the face)/ 10 minutes ago]”에서 사용된 어법. “~처럼 / ~같이(같은) / ~만큼 / ~하듯이”의 의미를 전달.
- 💡 제시문의 핵심 내용
- 우리가 거울에서 보는 얼굴은 10분 전과 같을 수 없다. 즉, 얼굴은 계속 변화한다는 점을 강조함.
- 🔍 삽입 위치 추론 1
- “Yet”이라는 반의 접속사의 사용으로, 제시문 이전에 제시문에 진술된 내용과 반대되는 내용이 와야 합니다. 아울러, 제시문 뒤에는 제시문의 내용(10분전의 얼굴과 현재의 얼굴이 다르다)을 부연 설명하는 내용이 올 것으로 추론됩니다. 이것을 염두에 두고 문장 1부터 독해하며 단서를 찾도록 합니다.
📌 문장 1
Sometimes the pace of change is far slower.
🔑 주요 단어 정리
- pace: 속도 (동의어: speed, rate)
- change: 변화
- far slower: 훨씬 더 느린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metimes/ <the pace/ of change>/ is far slower.
- 때때로 / 변화의 속도는 / 훨씬 더 느립니다.
📖 어법 설명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pace”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 비교급 강조 부사
- ”far slower“에서 사용한 어법.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훨씬”의 의미를 전달.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변화의 속도는 일정하지 않고, 때때로 느릴 수 있음.
- 🔍 삽입 위치 추론 2
- 제시문에서 예측한 것처럼 변화 속도가 느려서 그 변화를 “알 수 없다”는 뉘앙스가 강합니다. 이 진술이 다음 문장에서 이어지는지를 확인하고 또한 “10분 전의 얼굴과 현재의 얼굴이 다르다는 것을 부연 설명하는 내용이 오는지도 계속 확인해야 합니다.
📌 문장 2
(①) The face you saw reflected in your mirror this morning probably appeared no different from the face you saw the day before ― or a week or a month ago.
🔑 주요 단어 정리
- reflect: 반사하다, 비추다
- probably: 아마도 (동의어: likely, possibly)
- no different from ~: ~와 다르지 않은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face/ (which or that) you saw]/ (which or that was) reflected/ in your mirror/ this morning]/ probably appeared no(→not) different/
- [[그 얼굴은/ 당신이 봤던]/ 반사된/ 거울에/ 오늘 아침에]/ 아마도 다르지 않게 보입니다/
- [from the face/ (which or that) you saw/ <the day before>/ or/ <a week or a month ago>].
- [그 얼굴과는/ 당신이 봤던/ <전날이나>/ 혹은/ <일주일 전이나 한 달 전에>].
📖 어법 설명
-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face/ (which or that) you saw]”와 “the face/ (which or that) you saw/ <the day before>/ or/ <a week or a month ago>”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각각의 선행사, “The face”와 ““the face”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각각 "당신이 봤던 그 얼굴”과 “전날이나 일주일 전 혹은 한 달 전에 당신이 봤던 그 얼굴”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The face/ (which or that) you saw]/ (which or that was) reflected/ in your mirror/ this morning]“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The face/ (which or that) you saw]“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was)“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오늘 아침에 거울에 반사된 당신이 봤던 그 얼굴“의 의미를 전달.
- ✅ 부정 비교 표현 "no different from ~"
- 현대 영어에서 자주 사용되기는 하지만, ”different“는 품사적으로 형용사로 형용사를 부정하려면 형용사인 ”no“가 아니라, 부사인, ”not“을 사용해야 합니다. 공적 문서인 모의고사에서는 어법적으로 올바른 ”not“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우리가 보는 얼굴은 단기간 내에는 거의 변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 🔍 삽입 위치 추론 3
- 제시문에 대한 반대 진술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문장 3으로 이동하여 이 진술의 방향이 바뀌는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 문장 3
(②) The proof is in your photo album: Look at a photograph taken of yourself 5 or 10 years ago and you see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face in the snapshot and the face in your mirror.
🔑 주요 단어 정리
- proof: 증거 (동의어: evidence, verification)
- photo album: 사진첩
- snapshot: 순간 포착 사진, 스냅 사진
- clear: 명확한 (동의어: obvious, apparent / 반의어: unclear, ambiguous)
- difference: 차이 (동의어: contrast, distinction / 반의어: similarity, resemblance)
- between A and B: A와 B 사이의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proof is/ in your photo album/
- 그 증거가 있습니다/ 당신의 사진첩 안에/
- :/ Look at/ [a photograph/ (which or that was) taken/ of yourself/ <5 or 10 years ago>]/
- 다시 말해서/ 보세요/ [한 장의 사진을/ 찍힌/ 당신 자신의(당신 자신이)/ <5년 또는 10년 전에>]/
- and/ you see/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face in the snapshot> and <the face in your mirror>]].
- 그러면 당신은 갈게 될 겁니다/ [명확한 차이를/ [<그 사진 속의 얼굴과> <그 거울 속의 얼굴 사이의>]].
📖 어법 설명
- ✅ 명령문[동사원형+~]~, and —: “~하세요 그러면 —합니다”
- “Look at/~,/ and/ you see/~”에서 사용된 어법. 최근 명령문의 동사원형을 다른 형태로 바꾸어 어법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a photograph/ (which or that was) taken/ of yourself/ <5 or 10 years ago>]“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a photograph“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was)“이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5년 혹은 10년 전에 당신 자신의(당신 자신이) 찍힌 사진“의 의미를 전달.
- ✅ 재귀 대명사 ”yourself“
- ”문장의 주어 = 목적어, 보어, 전치사(of)의 목적어“의 관계인 경우.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는 반드시 재귀 대명사를 사용해야 함.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짧은 시간 내에는 변화가 느껴지지 않지만, 몇 년이 지나면 얼굴이 명확하게 변한다는 것을 사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 삽입 위치 추론 4
- 📢 제시문에 대한 반대 진술이 문장 2까지 이어졌고 문장 3에서는 현재의 얼굴과 과거의 얼굴이 다르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내용이 진술되고 있으므로 제시문은 ②에 위치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 📢 또한 ”The proof“역시 ”현재의 얼굴과 과거의 얼굴이 다르다는 증거“를 의미함을 알 수 있습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②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시간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4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4
(③) If you lived in a world without mirrors for a year and then saw your reflection, you might be surprised by the change.
🔑 주요 단어 정리
- live in ~: ~에서 살다
- without ~: ~없이
- reflection: (거울 등에 비친) 상, 반사
- be surprised by ~: ~에 놀라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you [lived/ <in a world/ without mirrors>/ for a year]/ and then/ [saw/ your reflection]],/
- [만약 당신이 [산다면/ <세상에서/ 거울이 없는>/ 1년 동안]/ 그리고 나서/ [본다면/ 당신의 상을(거울에 반사된 모습을)]],/
- you might be surprised/ by the change.
- 당신은 놀라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 변화에 의해.
📖 어법 설명
- ✅ 가정법 과거
- "[If you [lived/~]/ and then/ [saw/~]],/ you might be surprised/~"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현재 사실의 반대, 현재 이루어질 수 없는 소망을 표현합니다. 표준 문형은 “If+주어+과거형 동사(be 동사는 인칭에 무관 were)+~, 주어+would[should/could/might]+동사원형+~”입니다.
- ✅ 병렬 구조 – “if 절”의 두 개의 동사구를 and then으로 연결
- “[lived/ <in a world/ without mirrors>/ for a year]”와 “[saw/ your reflection]”를 and then으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수동태[조동사 + be + pp]
- “might be surprised”에서 사용된 어법. "놀라게 될 수도 있다"의 의미로 수동태.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거울을 매일 보면 변화가 잘 느껴지지 않지만, 오랫동안 거울을 보지 않다가 보면 얼굴의 변화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 문장 5
(④) After an interval of 10 years without seeing yourself, you might not at first recognize the person peering from the mirror.
🔑 주요 단어 정리
- interval: 간격, 기간
- at first: 처음에는
- recognize: 알아보다, 인식하다
- peer from ~: ~로부터(~에서) 응시하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fter an interval/ of 10 years>/ <without seeing/ yourself>,/
- <기간 후에/ 10년의>/ <보는 것 없이(보지 않은 채)/ 당신 자신을>,/
- you might not, at first, recognize/ [the person/ (who or that is) peering/ from the mirror].
- 당신은 처음에는 알아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 사람을/ 응시하고 있는/ 거울로부터].
📖 어법 설명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without seeing/ yourself>“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without“의 목적어 역할. ”당신 자신을 보는 것 없이(보지 않고)“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재귀 대명사 ”yourself“
- ”문장의 주어 = 목적어, 보어, 동명사(seeing)의 목적어“의 관계인 경우.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는 반드시 재귀 대명사를 사용해야 함.
- ✅ 가정법 과거 사용
- "you might not at first recognize/~"에서 사용된 어법. ”<without seeing/ yourself>“가 ”if 절“을 대신한 경우. 현실에서는 매일 얼굴을 보기 때문에 변화를 쉽게 인식하지 못하지만, 10년 동안 거울을 보지 않으면 처음에는 자기 얼굴을 알아보지 못할 수도 있다는 가정.
- ✅ 삽입 구조 – comma(,) 추가 필요
- ”you might not, at first, recognize“에서 부사구 ”at first“가 ”조동사+not“과 ”동사원형“ 사이에 삽입된 구조로, ”at first“의 앞뒤로 comma(,)를 추가하여 분리하는 것이 어법상 적절합니다.
-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the person/ (who or that is) peering/ from the mirror]“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the person“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o or that is)“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하며 ”거울로부터 응시하고 있는 사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 핵심 내용 정리
- 10년 동안 거울을 보지 않았다면, 거울 속 자신의 얼굴을 처음에는 알아보지 못할 수도 있다.
📌 문장 6
(⑤) Even something as basic as our own face changes from moment to moment.
🔑 주요 단어 정리
- even: 심지어, ~조차도 (강조 표현)
- basic: 기본적인, 기초적인 (동의어: fundamental, essential / 반의어: complex, advanced)
- as+형용사/부사+as+비교 대상: 비교 대상만큼 그만큼 ~한/~하게
- from moment to moment: 순간순간마다 (동의어: constantly, every second)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ven/ [something/ (that is) as basic/ as our own face]/ changes/ <from moment to moment>.
- 심지어/ [무언가는/ 그만큼 기본적인/ 우리 자신의 얼굴만큼]/ 변합니다/ 순간순간마다.
📖 어법 설명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something”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changes“.
-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something/ (that is) as basic/ as our own face]”에서 생략된, “(that is)”는 선행사, “something”을 수식하여, “우리 자신의 얼굴만큼 그만큼 기본적인 무언가”의 의미를 전달.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선행사에 부정 대명사(~thing/~one/~body)를 포함하는 경우로 “which is”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동등 비교 구문 “as +형용사/부사 + as + 비교 대상”
- “비교 대상만큼 그만큼 ~한/~하게”나 “비교 대상보다 그만큼 ~한/~하게”로 해석.
- 💡 핵심 내용 정리
- 우리의 얼굴은 기본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순간순간 계속 변화하고 있다.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 ✔ 우리의 얼굴은 순간순간 변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에는 그 변화를 쉽게 인식하지 못한다.
- ✔ 그러나 오랜 시간이 지나면 변화를 확연히 인식할 수 있으며, 이것은 거울을 얼마나 자주 보느냐에 따라 다르게 느껴질 수 있다.
🎯 삽입 위치 추론 및 정답 도출
- 🔎 제시문 분석
- ✅ 제시문에서 강조하는 내용
- ✔ 얼굴이 10분 전과 같을 수 없다는 점을 강조 (즉, 지속적인 변화)
- ✔ 그러나 독자는 일반적으로 얼굴이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쉬움
- ✔ 따라서 앞 문장에서 “얼굴이 변하지 않는다는 개념”이 등장해야 논리적 대비가 형성됨
- 📌 문장 간 흐름 분석 및 삽입 위치 결정
- (①): 우리가 매일 보는 얼굴은 거의 변하지 않음됨 🟠 (제시문과 대비 가능)
- (②): 5~10년 전 사진과 현재 얼굴을 비교하면 차이를 쉽게 알 수 있음 🟢 (제시문과 직접적인 대비 가능)
- (③): 거울을 보지 않고 오랫동안 있다가 보면 얼굴의 변화를 더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음
- (④): 10년 동안 거울을 보지 않으면 자신의 얼굴을 처음엔 알아보지 못할 수도 있음
- (⑤): 우리의 얼굴은 순간순간 계속 변하고 있음 🟠 (제시문과 유사한 내용이므로 앞에 제시문이 와야 함)
- 🧐 최적의 삽입 위치: 문장 3 앞 (② 위치)
- 📌 문장 1 → 문장 2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얼굴이 변하지 않는다는 인식"과 "실제로는 변하고 있다"는 논리적 대비를 명확하게 만들 수 있는 위치가 필요함.
- 📌 문장 2에서 “거울 속 얼굴이 변하지 않는다”는 인식을 전달한 후, 제시문에서 이를 반박하면서 “10분 전과 같을 수 없다”고 강조하는 것이 가장 적절함.
🎯 정답 제시
- 따라서, 정답은 ②! ✅
결론
"변화를 알아차리기 어려운 매 순간 변하고 있는 얼굴"
📌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8번 지문은 매 순간 변화하고 있는 얼굴을 주제로 짧은 기간 내에서는 그 변화를 알아보기 어렵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에는 명확한 차이를 인식할 수 있는 주제를 다룹니다.
🔎 문장 삽입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하는 방법
- ✅ 주어진 문장의 논리적 역할 분석 – 주어진 문장이 전체 글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파악
- ✅ 문장 간 논리적 연결성 고려 – 앞뒤 문장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위치 찾기
- ✅ 지시어(this, that), 접속 부사(However, Therefore), 시제 변화 등을 활용하여 삽입 위치 추론
- ✅ 논리적 대비와 전환을 활용 – 제시문이 앞뒤 문장과 반대되는 개념을 제시하는지 확인
📌 이러한 전략을 익히면, 문장 삽입 문제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독해 실력도 함께 향상될 수 있습니다. 🏆
📌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이 지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더 많은 영어 독해 및 문제 풀이 전략은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 🚀💡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