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 성장하면서 우리의 호기심은 왜 줄어들까?
🚀 아이들은 왜 세상을 궁금해하며 끊임없이 질문할까요? 그리고 왜 우리는 나이가 들수록 질문이 줄어들고, 사고방식이 고정될까요?
📌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9번 지문은 아이들의 두뇌 발달 과정과 신경망의 변화를 통해 호기심이 감소하는 원인을 설명하는 글입니다.
📌 이 글의 문제점은?
- ✔ "호기심 감소"와 "유아와 성인의 신경 연결 차이"라는 두 개의 논점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않음.
- ✔ "호기심이 감소하는 이유"를 두뇌 발달로 설명하려 했지만, 중간에 논리적 연결이 약함.
- ✔ 이 때문에 제시문을 어디에 삽입해야 할지 헷갈릴 가능성이 높음.
📌 본 분석에서는 각 문장의 주요 단어, 청크별 의미 해석, 그리고 어법을 철저히 설명하며, 글의 논리적 흐름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이제 문장별 분석과 문제 풀이 과정을 통해 정답을 정확히 찾아봅시다! 🧐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8~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39.
As children absorb more evidence from the world around them, certain possibilities become much more likely and more useful and harden into knowledge or beliefs.
According to educational psychologist Susan Engel, curiosity begins to decrease as young as four years old. By the time we are adults, we have fewer questions and more default settings. As Henry James put it, “Disinterested curiosity is past, the mental grooves and channels set.” ( ① ) The decline in curiosity can be traced in the development of the brain through childhood. ( ② ) Though smaller than the adult brain, the infant brain contains millions more neural connections. ( ③ ) The wiring, however, is a mess; the lines of communication between infant neurons are far less efficient than between those in the adult brain. ( ④ ) The baby’s perception of the world is consequently both intensely rich and wildly disordered. ( ⑤ ) The neural pathways that enable those beliefs become faster and more automatic, while the ones that the child doesn’t use regularly are pruned away. [3점]
*default setting: 기본값 **groove: 고랑 ***prune: 가지치기하다
문장별 분석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문
As children absorb more evidence from the world around them, certain possibilities become much more likely and more useful and harden into knowledge or beliefs.
🔑 주요 단어 정리
- absorb: 흡수하다, 받아들이다 (동의어: take in, assimilate)
- evidence: 증거, 근거 (동의어: proof, confirmation)
- certain: 특정한, 어떤 (동의어: particular, specific)
- possibility: 가능성 (동의어: potential, chance)
- likely: 가능성 있는, 있을 법한 (동의어: probable, plausible / 반의어: unlikely, improbable)
- harden into ~: ~로 굳어지다, 확고해지다
- knowledge: 지식 (동의어: information, awareness)
- belief: 믿음, 신념 (동의어: conviction, faith)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children absorb/ more evidence/ <from the world/ around them>],/
- [어린아이들이 흡수함에 따라/ 더 많은 증거를/ <세상으로부터/ 그들 주변의>],/
- certain possibilities [become <much more likely and more useful>]/ and/ [harden/ <into knowledge or beliefs>].
- 특정한 가능성들이 [<더 가능성 있고 더 유용해>집니다]/ 그래서/ [굳어집니다/ <지식이나 믿음으로>].
📖 어법 설명
- ✅ 시간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children absorb/~]”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함에 따라서”의 의미를 전달.
- ✅ 비교급 강조 부사
- ”much more likely“에서 사용한 어법.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훨씬”의 의미를 전달.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become <much more likely and more useful>]”과 “[harden/ <into knowledge or beliefs>]”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제시문의 핵심 내용
- ✔ 어린아이들은 주변 세계에서 증거를 받아들이면서 특정한 가능성을 더욱 유력하고 유용하게 여기게 되며, 결국 이것이 지식이나 믿음으로 굳어진다.
- 🔍 삽입 위치 추론 1
- 제시문을 통해 제시문 이전의 내용을 추론할 근거가 마땅치가 않습니다. 다만, 주절에 진술된 내용으로 보아 특정 가능성들이 지식이나 믿음으로 굳어지는 사례나 결과 정도가 제시문 다음에 진술된 가능성은 추론할 수 있습니다.
📌 문장 1
According to educational psychologist Susan Engel, curiosity begins to decrease as young as four years old.
🔑 주요 단어 정리
- according to ~: ~에 따르면
- begin to 부정사: ~하기 시작하다
- educational psychologist: 교육 심리학자
- curiosity: 호기심 (동의어: inquisitiveness, interest)
- decrease: 감소하다 (동의어: decline, diminish / 반의어: increase, grow)
- as young as ~: ~만큼 그만큼 여려서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ccording to <educational psychologist/ Susan Engel>],/
- [<교육 심리학자/ 수잔 엥겔>에 따르면],/
- curiosity begins to decrease/ as young/ as four years old(→from the age/ of four).
- 호기심은/ 시작한다/ 감소하기를/ <그만큼 어려서/ 네 살 만큼(→4세부터)>.
📖 어법 설명
-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begins to decrease”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 “begins”의 목적어 역할.
- ✅ 동등 비교 구문 “as +형용사/부사 + as + 비교 대상”
- “as young/ as four years old”에서 사용된 어법. “비교 대상만큼 그만큼 ~한/~하게”나 “비교 대상보다 그만큼 ~한/~하게”로 해석. 다만, “4세부터(from the age/ of four)”로 표현하는 것이 보다 더 명확한 의미를 전달할 것입니다.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 교육 심리학자 수잔 엥겔에 따르면, 아이들의 호기심은 겨우 네 살 때부터 감소하기 시작한다.
📌 문장 2
By the time we are adults, we have fewer questions and more default settings. As Henry James put it, “Disinterested curiosity is past, the mental grooves and channels set.”
🔑 주요 단어 정리
- by the time ~: ~할 시기 즈음에
- fewer: 더 적은 (동의어: less, reduced)
- default setting: 기본 설정
- as A put it: A가 말했던 것처럼
- disinterested: 사심 없는, 순수한
- groove: (뇌의) 고랑, 홈
- channel: 경로, 통로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y the time/ (when) we are adults],/
- [그 시기 즈음에/ 우리가 성인(들)이 되는],/
- we have/ <fewer questions/ and/ more default settings>.
- 우리는 갖게 됩니다/ <더 적은 질문(들)을/ 그리고/ 더 많은 기본 설정(들)을>.
- [As Henry James put/ it],/
- [헨리 제임스가 말했던 것처럼/ 그것을(앞서 진술된 내용을)],/
- “Disinterested curiosity is past,/ (+and)/ <the mental grooves and channels>/ set.”
- "순수한 호기심은 지나갑니다(사라집니다),/ (+그리고)/ <정신적 고랑과 경로들이>/ 설정됩니다(굳어집니다)."
📖 어법 설명
- ✅ 관계부사의 생략
- "[By the time/ (when) we are adults]"에서 생략된 “(when)”은 선행사, “the time”을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우리가 성인(들)이 되는 시기 즈음에”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 비교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Henry James put/ it]”에서 사용된 어법. “~처럼 / ~같이 / ~만큼 / ~하듯이”의 의미를 전달.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문장을 and로 연결 – and 추가 필요
- “Disinterested curiosity is past”와 “<the mental grooves and channels>/ set”를 병렬 연결한 구조로 “and”를 추가하는 것이 어법상 적절합니다.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 나이가 들수록 우리는 질문이 줄어들고, 사고 방식이 굳어지며, 새로운 호기심을 갖기 어려워진다. 문장 1부터 호기심과 나이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진술하고 있습니다. 이 진술이 어디까지 이어질지도 주의하여 독해하도록 합니다.
📌 문장 3
(①) The decline in curiosity can be traced in the development of the brain through childhood.
🔑 주요 단어 정리
- decline: 감소, 하락 (동의어: decrease, reduction / 반의어: increase, rise)
- curiosity: 호기심
- trace: 추적하다, 밝혀내다 (동의어: track, identify)
- development: 발달, 성장 (동의어: growth, progression)
- through ~: ~을 통해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decline/ in curiosity>/ can be traced/ <in the development/ of the brain>/ through childhood.
- <감소는/ 호기심의>/ 추적될 수 있습니다/ <발달에서/ 두뇌의>/ 어린 시절을 통해.
📖 어법 설명
- ✅ 수동태[조동사 + be + pp]
- “can be traced”에서 사용된 어법. "추적될 수 있다"의 의미로 수동태.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어린 시절 두뇌 발달 과정에서 호기심 감소 현상이 추적될 수 있다.
- 🔍 삽입 위치 추론 2
- 문장 1부터 호기심과 나이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진술이 이어지고 있어 제시문이 삽입될 수는 없습니다. 다만, 문장 2에서는 "성인이 되면서 질문이 줄어들고 기본 설정이 많아진다"는 점을 강조하는 반면 문장 3에서 갑자기 "두뇌 발달"로 논의가 옮겨가는데, 이를 매끄럽게 연결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변화는 뇌 발달 과정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같은 전환 구문이 필요합니다. 문장 4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4
(②) Though smaller than the adult brain, the infant brain contains millions more neural connections.
🔑 주요 단어 정리
- though ~: 비록 ~일지라도 (동의어: although, even though)
- adult brain: 성인의 뇌
- infant brain: 유아의 뇌
- contain: 포함하다 (동의어: include, hold)
- millions more: 수백만 개 더 많은
- neural connection: 신경 연결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ough smaller/ than the adult brain],/
- [비록 더 작을지라도/ 성인의 뇌보다],/
- the infant brain contains/ millions more neural connections.
- 유아의 뇌는 포함하고 있습니다/ 수백만 개 더 많은 신경 연결(들)을.
📖 어법 설명
- ✅ 분사구문
- “[Though smaller/~]”은 “[Though the infant brain is smaller/ ~]”의 종속절에서 주어 “the infant brain”이 생략되고 동사 “is”가 “being”으로 변경된 후 역시 생략된 분사구문입니다.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 유아의 뇌는 성인의 뇌보다 크기는 작지만, 훨씬 더 많은 신경 연결을 포함하고 있다.
- 🔍 삽입 위치 추론 3
- 문장 1에서 문장 3까지 이어졌던 호기심과 나이의 상관관계에서 성인과 유아의 신경 연결의 비교로 논점이 바뀌기는 했지만, 제시문이 ②에 위치하기에는 문장 간의 연결이 자연스럽지 않습니다. 문장 5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5
(③) The wiring, however, is a mess; the lines of communication between infant neurons are far less efficient than between those in the adult brain.
🔑 주요 단어 정리
- wiring: 신경망(배선)
- however: 그러나 (동의어: but, nevertheless)
- a mess: 엉망진창, 혼란스러운 상태
- line of communication: 의사소통 경로
- neuron: 뉴런, 신경세포
- efficient: 효율적인 (동의어: effective, productive / 반의어: inefficient, wasteful)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wiring,/ however,/ is a mess/
- 그 신경망은,/ 그러나,/ 엉망진창이다;/
- ;/ [<the lines/ of communication>/ between infant neurons]/ are far less efficient/ <than between those/ in the adult brain(→than those/ between adult neurons)>.
- 다시 말해서/ [<경로들은/ 의사소통의>/ 유아의 뉴런들 사이의]/ 훨씬 덜 효율적입니다/ <그것들(뉴런들) 사이에서보다/ 성인의 뇌 속의(→그것들(의사소통의 경로들)보다/ 성인의 뉴련들사이의)>.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두 번째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두 번째 문장의 주어는 ”the line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are“.
- ✅ 비교 대상의 정확성의 재고 필요
- 이 문장에서 비교의 대상은 ”유아의 뉴런들 사이의 의사소통의 경로들(<the lines/ of communication>/ between infant neurons)“과 ”성인의 뉴런들 사이의 의사소통의 경로들(<the lines/ of communication(=those)/ between adult neurons)“입니다. 따라서, ”than between those/ in the adult brain“는 ”than those/ between the adult brain“나 ”<than those/ between adult ones>“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 유아의 뇌는 신경 연결이 많지만, 뉴런 간의 연결 효율성은 성인의 뇌보다 훨씬 낮다.
- 🔍 삽입 위치 추론 4
- 두 번째 논점인 ”성인과 유아의 신경 연결의 비교“가 문장 4에서 시작하여 문장 5로 이어집니다. 역시 제시문이 삽입되기에는 자연스럽지 않습니다. 다만, 주제의 일관성 측면에서는 문제가 있는 지문에 해당합니다. 문장 6으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6
(④) The baby’s perception of the world is consequently both intensely rich and wildly disordered.
🔑 주요 단어 정리
- perception: 인식, 지각 (동의어: awareness, cognition)
- consequently: 결과적으로 (동의어: as a result, therefore)
- both A and B: A와 B 둘 다
- intensely: 강렬하게, 매우 (동의어: extremely, deeply)
- rich: 풍부한 (동의어: abundant, diverse)
- wildly: 극도로, 몹시 (동의어: extremely, chaotically)
- disordered: 혼란스러운, 무질서한 (동의어: chaotic, unorganized)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baby’s perception/ of the world>/ is consequently <both intensely rich and wildly disordered>.
- <아기의 인식은/ 세상에 대한>/ 결과적으로 <매우 풍부하면서도 극도로 혼란스럽습니다>.
📖 어법 설명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The baby’s perception”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 병렬 연결 – 두 개의 형용사구를 등위 상관 접속사 "both A and B"로 연결
- "<both intensely rich and wildly disordered>"에서 "both A and B" 구조를 사용하여 두 개의 형용사구 "intensely rich"와 "wildly disordered"를 병렬 연결.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 유아의 세계 인식은 풍부하면서도 혼란스러운 특징을 동시에 가진다.
- 🔍 삽입 위치 추론 5
- 📢 문장 6의 내용은 “유아의 신경들의 연결의 비효율성”으로 인한 결과로 볼 수 있으므로 문장 5에서 이어진다고 볼 수 있어, 제시문이 올 수는 없습니다.
- 📢 ①~④까지 마땅한 삽입위치가 없었으므로 문장 7을 읽지 않더라도, ⑤를 정답 위치로 추론할 수 있습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⑤를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7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7
(⑤) The neural pathways that enable those beliefs become faster and more automatic, while the ones that the child doesn’t use regularly are pruned away.
🔑 주요 단어 정리
- neural pathway: 신경 경로
- enable: 가능하게 하다 (동의어: allow, facilitate)
- belief: 믿음, 신념 (동의어: conviction, assumption)
- automatic: 자동적인 (동의어: instinctive, involuntary)
- prune away: 가지치기하다, 제거하다 (동의어: trim, cut off)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neural pathways/ that enable/ those beliefs]/ [become <faster and more automatic>],/
- [신경 경로들은/ 가능하게 하는/ 그러한 믿음들을]/ [<더 빨라지고 더 자동적이> 됩니다],/
- [while [the ones/ that the child doesn’t use/ regularly]/ are pruned away].
- [[것들이(신경 경로들이)/ 아이가 사용하지 않는/ 정기적으로]/ 제거되는 반면에].
📖 어법 설명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The neural pathway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become”.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neural pathways/ that enable/ those beliefs]”에서 “that”은 선행사, “The neural pathway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그러한 믿음들을 가능하게 하는 신경 경로들”의 의미를 전달.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 ✅ 양보의 부사절 “while + 주어 + 동사”
- “[while [the ones/ that the child doesn’t use/ regularly]/ are pruned away]”에서 사용된 어법. “~이긴 하지만/~인 반면에”의 의미를 전달.
- ✅ 부정 대명사 ”ones“
- 앞 문장에서 사용된 명사 중 불특정한 대상을 지시할 때 사용. 이 문장에서는 ”ones“은, ”neural pathways(신경 경로들)“을 대신하여 사용됨.
-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ones/ that the child doesn’t use/ regularly]”에서 ”that”은 선행사, “the one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아이가 정기적으로 사용하지 않은 것들(신경 결로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 수동태[be + pp]
- “are pruned away”에서 사용된 어법. "제거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 아이가 자라면서 자주 사용하는 신경 경로는 강화되고, 사용하지 않는 경로는 제거된다.
- 🔍 삽입 위치 추론 6
- 📢 제시문의 "[harden/ <into knowledge or beliefs>]"에서 “beliefs“가 문장 7의 "those beliefs"와 연결되므로, 제시문이 문장 7 앞(⑤)에 오는 것이 논리적으로 적절합니다.
- 📢 다만, 이 지문은 “호기심과 나이와의 상관관계”라는 소주제에서 “성인과 유아의 신경 연결의 비교”라는 소주제로 전환 시의 두 주제 사이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언급 없이 전환되어 이 글이 무엇에 대한 글인지 독자로 하여금 혼란스럽게 만듭니다. 즉, 주제의 일관성 측면에 문제가 있습니다.
- 📢 또한, 제시문의 "certain possibilities [become <much more likely and more useful>]/ and/ [harden/ <into knowledge or beliefs>]."라는 문장이 단순한 학습 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인지, 아니면 특정한 두뇌 발달 과정과 관련 있는지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후 문장 7과의 연결을 고려했을 때, 두뇌 발달(신경 경로의 변화)과 연관이 되어야 논리적 일관성이 유지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 ✔ 아이들은 세상을 탐구하며 증거를 흡수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식과 믿음을 형성한다.
- ✔ 하지만 성장하면서 신경망의 변화로 인해 호기심이 감소하고, 사고방식이 고정된다.
- ✔ 이 과정에서 자주 사용하는 신경 경로는 강화되고, 사용하지 않는 경로는 제거된다.
🔍 지문의 문제점 분석
- 📌 이 글의 논리적 전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
- 문제점 1: 두 개의 다른 논점이 연결되지 않고 전환됨
- ✔ 처음에는 나이가 들수록 호기심이 감소하는 과정을 설명하지만,
- ✔ 이후 성인과 유아의 신경 연결 차이에 대한 내용으로 급격히 전환됨.
- ✔ 이 두 개의 논점이 서로 연결되는 과정이 생략되어 있어 독자가 혼란을 느낄 수 있음.
- 문제점2: ‘호기심 감소’에서 ‘신경망 정리 과정’으로의 연결 부족
- ✔ 원래 논지: 호기심이 왜 줄어드는가?
- ✔ 그러나 중간부터는 신경망의 비효율성과 연결 효율성 차이를 설명함.
- ✔ "호기심 감소 → 신경망의 변화로 설명"이라는 연결고리가 부족함.
- ✔ 따라서 제시문이 삽입될 위치를 찾기 어렵게 만듦.
🔍 삽입 위치 추론 및 정답 도출
- 📌 제시문 분석
- ✅ 제시문에서 강조하는 내용
- ✔ 아이들이 세상의 증거를 받아들이면서 특정 가능성을 더 유력하게 여기고, 결국 지식과 믿음으로 굳어진다.
- ✔ 즉, 경험을 통해 신념이 형성되고 고착화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문장.
- ✔ 따라서 앞뒤 문장에서 ‘신념이 형성되는 과정’이 언급되어야 논리적 연결이 자연스럽다.
- 📌 문장 간 흐름 분석 및 삽입 위치 결정
- 문장 1: 아이들의 호기심이 네 살 무렵부터 감소하기 시작함
- 문장 2: 성인이 되면 질문이 줄어들고, 사고방식이 고정됨
- 문장 3 (①): 두뇌 발달 과정에서 호기심 감소를 추적할 수 있음)
- 문장 4 (②): 유아의 뇌에는 성인보다 훨씬 많은 신경 연결이 존재함
- 문장 5 (③): 그러나 유아의 신경망은 비효율적임
- 문장 6 (④): 유아의 인식은 풍부하지만 혼란스러움
- 문장 7 (⑤): 자주 사용하는 신경 경로는 강화되고, 사용하지 않는 경로는 제거됨 🟢 (제시문과 가장 긴밀한 연결)
✅ 최적의 삽입 위치: 문장 7 앞 (⑤ 위치)
- 📌 문장 6까지는 유아의 뇌 발달과 신경망의 비효율성에 대한 설명이 이어지고 있음.
- 📌 문장 7에서는 어떤 신경 경로는 강화되고, 사용하지 않는 경로는 제거된다는 과정을 설명함.
- 📌 제시문이 이 과정의 전 단계인 "경험을 통해 신념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므로, 문장 7 앞(⑤ 위치)에 삽입되는 것이 가장 적절함.
🎯 정답 제시
- 따라서, ⑤번이 가장 적절합니다. ✅
결론
🎯 "호기심 감소와 두뇌 발달의 관계를 이해하라!"
📌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9번 지문의 주요 내용
- 🧠 우리는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호기심이 감소하는 과정을 겪습니다.
- ✔ 아이들은 세상에서 정보를 받아들이며 신념을 형성하지만,
- ✔ 시간이 지나면서 신경망이 정리되며 사고방식이 고정됩니다.
📌 그러나 이 글에는 논리적 문제점이 있습니다!
- ✅ "호기심 감소"와 "유아와 성인의 신경망 차이"라는 두 개의 논점이 연결되지 않음.
- ✅ 호기심이 감소하는 이유를 두뇌 발달로 설명하려 했지만, 그 과정이 생략됨.
- ✅ 따라서 독자가 글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따라가기 어려움.
📌 이번 문제 풀이의 핵심 전략 정리
- ✅ 주어진 문장의 핵심 개념을 파악하여, 글 전체의 맥락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기
- ✅ 앞뒤 문장과 논리적 연결을 고려하여,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위치 찾기
- ✅ "호기심 감소 → 신경망 변화 → 신경 경로 정리"라는 논리적 흐름을 예상하며 위치 추론
📌 이러한 전략을 연습하면, 문장 삽입 문제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독해 실력도 향상될 수 있습니다. 🚀
📌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와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독자들은 글의 핵심 내용을 보다 명확히 파악하고, 논리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과정을 연습하도록 돕습니다.
💡 더 많은 영어 독해 및 문제 풀이 전략은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 📖✨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