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40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 건강한 식단, 올바른 기준이 필요하다!

📌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40번 지문은 "음식을 좋다/나쁘다로 구분하는 것이 적절한가?"라는 흥미로운 질문을 던집니다.

📌 많은 사람들이 특정 음식을 건강한 음식(good food)과 나쁜 음식(bad food)으로 나누지만, 실제로는 음식의 조합과 균형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글입니다.

✔ 핵심 내용

  • ✅ 음식 자체가 좋거나 나쁜 것이 아니라, 조합이 건강한 식단을 결정한다.
  • ✅ 특정 음식만 먹는다고 해서 반드시 건강한 것이 아니다.
  • ✅ 건강한 식단은 "무엇으로 구성되었는가(composed of)"에 의해 결정된다.
📌 요약문 빈칸 추론 문제 풀이 전략
  • ✅ 요약문을 먼저 독해하고, 요약문 자체의 의미적 상관관계를 이해.
  • ✅ 요약문 만으로 정답을 추론할 수 없다면, 무엇을 찾아야 하는지 단서를 확인.
  • ✅ "위에서 아래로" 독해하면서, 빈칸에 적합한 단서를 찾기.

📌  이번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직독직해식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제 풀이의 논리를 상세히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고, 영어 독해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0.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Nearly eight of ten U.S. adults believe there are “good foods” and “bad foods.” Unless we’re talking about spoiled stew, poison mushrooms, or something similar, however, no foods can be labeled as either good or bad. There are, however, combinations of foods that add up to a healthful or unhealthful diet. Consider the case of an adult who eats only foods thought of as “good” ― for example, raw broccoli, apples, orange juice, boiled tofu, and carrots. Although all these foods are nutrient­dense, they do not add up to a healthy diet because they don’t supply a wide enough variety of the nutrients we need. Or take the case of the teenager who occasionally eats fried chicken, but otherwise stays away from fried foods. The occasional fried chicken isn’t going to knock his or her diet off track. But the person who eats fried foods every day, with few vegetables or fruits, and loads up on supersized soft drinks, candy, and chips for snacks has a bad diet.

Unlike the common belief, defining foods as good or bad is not ___(A)___; in fact, a healthy diet is determined largely by what the diet is ___(B)___.

      (A)                     (B)
① incorrect …… limited to
② appropriate …… composed of
③ wrong ………… aimed at
④ appropriate …… tested on
⑤ incorrect ………… adjusted to

문장별 분석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4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요약문

Unlike the common belief, defining foods as good or bad is not ___(A)___; in fact, a healthy diet is determined largely by what the diet is ___(B)___.

🔑 주요 단어 정리

  • unlike~: ~와 달리 (동의어: different from)
  • common belief: 일반적인 믿음
  • define A as B: A를 B로 정의하다
  • determine: 결정하다 (동의어: decide, establish)
  • largely: 주로 (동의어: mainly, primarily)
  • be composed of~: ~로 구성되다 (동의어: consist of, be made up of)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Unlike the common belief,/
  • 일반적인 믿음과 달리,/
  • [defining/ foods/ <as good or bad>]/ is not ___(A)___/
  • [정의하는 것은/ 식품들을/ <좋거나 나쁘다고>] ___(A)___하지 않다;
  • ;/ in fact,/ a healthy diet is determined/ largely/ [by what the diet is ___(B)___].
  • 즉/ 사실상,/ 건강한 식단은 결정된다/ 주로/ [무엇으로 식단이 ___(B)__한가에 의해서].

📖 어법 설명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수의 일치
  • "[defining/ foods/ <as good or bad>]“에서 사용된 어법. 주어 역할(단수 취급).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식품들을 좋거나 나쁘다고 정의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수동태[be + pp]
  • is determined”에서 사용된 어법. "결정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what the diet is ___(B)___”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by)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 요약문의 핵심 내용
  • ✔ 일반적인 믿음과 달리, 음식 자체를 ‘좋다/나쁘다’로 정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 ✔ 건강한 식단은 식단이 무엇으로 구성되었는지에 의해 결정된다.
  • 🔍 빈칸 추론 1
  • 요약문 자체의 문맥과 구조상, 빈칸 (A)에는 음식을 좋고 나쁨으로 구분하는 것이 적절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형용사 “appropriate“가 들어가야 함.
  • (B)에는 건강한 식단을 결정하는 요소(식단이 무엇으로 구성되는지)를 나타내는 표현이 들어가야 함. 왜냐하면 ③(tested on)을 넣었을 때는 ”무엇에 대해 식단이 시험되느냐에 의해사“의 의미가 되어 부자연스럽고 ①(composed of)를 넣었을 땐 ”무엇으로 식단이 구성되었느냐에 의해서“로 자연스럽기 때문입니다. 몰론 요약문만으로도 정답을 결정할 수 있겠으나 문장 1부터 분석 후 설명하면서 구체적 근거를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문장 1

Nearly eight of ten U.S. adults believe there are “good foods” and “bad foods.”

🔑 주요 단어 정리

  • nearly: 거의 (동의어: almost, approximately)
  • believe: 믿다 (동의어: think, consider)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early/ <eight/ of ten U.S. adults>/ believe/
  • 거의/ <8명이/ 미국 성인 10명 중>/ 믿습니다/
  • [(that) there are/ <“good foods” and “bad foods”>].
  • [존재한다고/ ‘좋은 식품들’과 ‘나쁜 식품들’이].

📖 어법 설명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eight”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believe“.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believe[(that) there are/~]"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believe"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 대부분의 미국 성인들은 음식에 ‘좋고 나쁨’이라는 개념이 있다고 믿는다.

📌 문장 2

Unless we’re talking about spoiled stew, poison mushrooms, or something similar, however, no foods can be labeled as either good or bad.

🔑 주요 단어 정리

  • unless~: ~하지 않는 한
  • spoiled: 상한, 부패된
  • poisonous: 독성이 있는
  • mushroom: 버섯
  • similar: 비슷한, 유사한
  • label A as B: A를 B로 분류하다
  • either A or B: A나 B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Unless we’re talking/ <about spoiled stew, poison mushrooms, or something similar>],/
  • [만약 우리가 이야기하고 있지 않다면/ <상한 스튜, 독버섯들, 혹은 (이와) 유사한 것에 대해서>],/
  • however,/ no foods can be labeled/ <as either good or bad>.
  • 그러나,/ 어떤 식품들도 분류될 수 없습니다/ <좋거나 나쁘다고>.

📖 어법 설명

  • ✅ 조건의 부사절 “unless + 주어 + 동사”
  • [Unless we’re talking/~]”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하지 않다면”의 의미를 전달.
  •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명사의 부정
  • no foods can be labeled”에서 사용된 어법. 한국어에는 명사를 부정하는 경우가 없어, 명사에 “any“를 추가하고, 동사에 부정을 한, ”any foods can not be labeled“로 바꾸어 해석합니다. "any"는 "어떠한 (~라도)"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 수동태[조동사 + be + pp]
  • can (not) be labeled”에서 사용된 어법. "분류될 수 있다(없다)"의 의미로 수동태.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 음식 자체에 ‘좋고 나쁨’의 개념을 부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 🔍 빈칸 추론 2
  • ✅  문장 2의 내용으로부터 요약문이 부정이므로, 빈칸 (A)는 “appropriate“가 적절합니다.

📌 문장 3

There are, however, combinations of foods that add up to a healthful or unhealthful diet.

🔑 주요 단어 정리

  • combination: 조합, 결합 (동의어: mixture, blend)
  • add up to ~: 결국 ~이 되다, ~로 합산되다 (동의어: result in, amount to)
  • healthful: 건강에 좋은 (동의어: nutritious, beneficial / 반의어: unhealthful, unhealthy)
  • unhealthful: 건강에 해로운 (동의어: harmful, detrimental)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re are,/ however,/ [<combinations/ of foods>/ that add up to <a healthful or unhealthful diet>].
  • 존재합니다,/ 그러나,/ [<조합들이/ 식품들의>/ 결국 <건강에 좋거나 건강에 해로운 식단>이 되는].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combinations/ of foods>/ that add up to <a healthful or unhealthful diet>]”에서 “that”은 선행사, “<combinations/ of food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건강에 좋거나 건강에 해로운 식단>이 되는 식품들의 조합”의 의미를 전달.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 건강에 좋거나 건강에 해로운 식품의 조합들은 존재함.

📌 문장 4

Consider the case of an adult who eats only foods thought of as “good” ― for example, raw broccoli, apples, orange juice, boiled tofu, and carrots.

🔑 주요 단어 정리

  • consider: 고려하다, 생각하다 (동의어: think about, take into account)
  • case: 경우, 사례 (동의어: example, instance)
  • thought of as~: ~하다고 여겨지는 (동의어: regarded as, seen as)
  • raw: 날것의, 가공되지 않은 (동의어: uncooked)
  • boiled: 삶은, 끓인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onsider/ [the case/ [of an adult/ who eats/ [only foods/ (that are) thought of/ as “good”]/ —/ for example,/ [raw broccoli, apples, orange juice, boiled tofu, and carrots]]].
  • 생각해 보세요/ [경우를/ [한 성인의/ 먹는/ [오로지 식품들만을/ 여겨지는/ '좋다‘고]/ 다시 말해서/ 예를 들어, [생 보로콜리, 사과(들), 오렌지 주스, 삶은 두부, 및 당근만을]]].

📖 어법 설명

  • ✅ 명령문[동사원형+~] “~하세요 / ~해라”
  • Consider/~”에서 사용된 어법. 최근 명령문의 동사원형을 다른 형태로 바꾸어 어법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an adult/ who eats[only foods/ (that are) thought ofas “good”]”에서 “who”는 선행사, “an adult”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좋다고 여겨지는 오로지 식품들만을 먹는 한 성인”의 의미를 전달.
  •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only foods/ (that are) thought ofas “good”]“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only food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that a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좋다고 여겨지는 오로지 식품들만을“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 특정 음식만을 ‘좋은 음식’으로 간주하고 먹는 성인의 사례를 제시함.

📌 문장 5

Although all these foods are nutrient­dense, they do not add up to a healthy diet because they don’t supply a wide enough variety of the nutrients we need.

🔑 주요 단어 정리

  • although~: 비록 ~일지라도 (동의어: though, even though)
  • nutrient-dense: 영양 밀도가 높은
  • add up to~: 결국 ~이 되다 (동의어: amount to, result in)
  • supply: 공급하다, 제공하다 (동의어: provide, offer)
  • variety: 다양성 (동의어: diversity, range)
  • a wide enough variety of~: 충분히 다양한 종류의~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lthough all these foods are nutrient-dense],/
  • [비록 이 모든 식품들이 영양 밀도가 높을지라도],/
  • they do not add up/ to a healthy diet/
  • 그것들은 결국 되지는 않습니다/ 건강에 좋은 식단이/
  • [because they don’t supply/ [a wide enough variety of the nutrients/ (which or that) we need]].
  • [왜냐하면 그것들은 공급하지 않기 때문에/ [충분히 다양한 종류의 영양소들을/ 우리가 필요로 하는]].

📖 어법 설명

  • ✅ 양보의 부사절 “although[ though / even if / even though ] + 주어 + 동사”
  • [Although all these foods are~]”에서 사용된 어법.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they don’t supply/~]”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a wide enough variety of the nutrients/ (which or that) we need]”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a wide enough variety of the nutrient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우리가 필요로 하는 충분히 다양한 종류의 영양소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 특정 음식만 먹는 것이 영양소가 풍부하더라도 건강한 식단이 되지 않는다.✔ 다양한 영양소 공급이 중요하다.

📌 문장 6

Or take the case of the teenager who occasionally eats fried chicken, but otherwise stays away from fried foods.

🔑 주요 단어 정리

  • take the case of ~: ~의 사례를 고려하다 (동의어: consider the example of ~)
  • occasionally: 가끔 (동의어: sometimes, now and then)
  • stay away from ~: ~을 피하다 (동의어: avoid, refrain from)
  • otherwise: 그렇지 않으면, 다르게 말하면 (동의어: apart from tha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r/ take/ [the case/ [of the teenager/ who <occasionally eats/ fried chicken>/ but/ otherwise/ <stays away/ from fried foods>]].
  • 또는/ 고려해 보세요/ [경우를/ [한 십대의/ <가끔 먹는/ 프라이드 치킨을>/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피하는/ 튀겨진 식품들을>]].

📖 어법 설명

  • ✅ 명령문[동사원형+~] “~하세요 / ~해라”
  • take/~”에서 사용된 어법. 문장 4의 설명 명령문 설명 참조.
  •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the teenager/ who <occasionally eats/ fried chicken>/ but/ otherwise/ <stays awayfrom fried foods>”에서 “who”는 선행사, “the teenager”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가끔 프라이드 치킨을 먹지만 그렇지 않으면 튀겨진 식품들을 피하는 십대”의 의미를 전달.
  • ✅ 접속부사 "otherwise"
  • "otherwise"는 앞의 내용을 제외한 상황을 설명하며, "그렇지 않다면" 또는 "이 외에는"이라는 의미로 사용됨.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 가끔 튀긴 음식을 먹는 것은 전체적인 식단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시사.

📌 문장 7

The occasional fried chicken isn’t going to knock his or her diet off track.

🔑 주요 단어 정리

  • occasional: 가끔의, 때때로 (동의어: infrequent, sporadic)
  • knock A off track: A를 궤도에서 벗어나게 하다, 망치다 (동의어: disrupt, throw off balanc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occasional fried chicken isn’t going to knock/ his or her diet/ off track.
  • 가끔의(가끔 먹는) 프라이드 치킨은 벗어나게 하지는 않을 겁니다/ 그 사람의 식단을/ 궤도에서(망치지는 않을 겁니다/ 그 사람의 식단을).

📖 어법 설명

  • ✅ 숙어 "knock A off track"
  • "A를 궤도(정상적인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됨.
  • 💡 문장 7의 핵심 내용
  • ✔ 가끔 먹는 튀긴 음식이 건강한 식단을 망치는 것은 아니다.
  • ✔ 식단의 질은 전체적인 식사 패턴에 의해 결정된다.

📌 문장 8

But the person who eats fried foods every day, with few vegetables or fruits, and loads up on supersized soft drinks, candy, and chips for snacks has a bad diet.

🔑 주요 단어 정리

  • with few~: 거의 ~없이, 거의 ~을 곁들이지 않고
  • load up on ~: ~을 많이 먹다 (동의어: consume a lot of)
  • supersized: 초대형 크기의, 대용량의
  • soft drink: 탄산 음료
  • chip: 감자칩
  • snack: 간식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the person/ who [eats/ fried foods/ every day,/ <with few vegetables or fruits>],/ and/ [loads up on/ [<supersized soft drinks, candy, and chips>/ for snacks]]]/ has/ a bad diet.
  • 하지만/ [사람은/ [먹는/ 튀겨진 식품들을/ 매일,/ <거의 채소(들이)나 과일(들)을 곁들이지 않고>],/ 그리고/ [많이 먹은/ [<대용량의 탄산음료들, 사탕, 및 감자칩(들)을>/ 간식으로]]]/ 가집니다/ 좋지 않은(건강에 좋지 않은) 식단을.

📖 어법 설명

  •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the personwho [eats/ fried foods/ every day,/ <with few vegetables or fruits>],/ and[loads up on[<supersized soft drinks, candy, and chips>/ for snacks]]]”에서 “who”는 선행사, “the teenager”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채소(들이)나 과일(들)을 거의 곁들이지 않고 매일 튀겨진 식품들을 먹고 간식으로 대용량의 탄산음료들, 사탕, 및 감자칩들을 많이 먹는 사람”의 의미를 전달.
  • ✅ 병렬 구조 – 관계절 내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eats/ fried foods/ every day,/ <with few vegetables or fruits>]”와 “[loads up on[<supersized soft drinks, candy, and chips>/ for snacks]]”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person”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has“.
  • 💡 문장 8의 핵심 내용
  • ✔ 특정 음식이 아닌 식단의 전체적인 구성이 건강을 결정함을 강조.
  • 🔍 빈칸 추론 3
  • ✅  문장 7까지 빈칸 (B)에 대한 단서는 없었지만, 마지막 문장인 문장 8에서 명시적인 단서가 아닌 식단의 구성 요소를 열거하여, 식단 구성이 중요함을 진술하고 있기 때문에 빈칸 (B)에는 ”composed of(~로 구성된)“이 적절합니다. 이 지문의 경우, 요약문만으로 정답을 추론할 수 있었고,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요약문에서 정답을 결정했어야 하는 문제에 해당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 이 지문은 "음식을 좋다/나쁘다로 구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식단의 조합이 건강을 결정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 음식 자체가 아닌, 조합이 건강한 식단을 만든다.✔ 특정 음식만 먹는다고 해서 반드시 건강한 식단이 되는 것은 아니다.✔ 건강한 식단은 '무엇으로 구성되었는가(composed of)'에 의해 결정된다.

📌 빈칸 (A) 추론

  • ✅ 문장 2에서 "no foods can be labeled/ as either good or bad"라고 하며 음식의 선악 개념을 부정하고 있음.
  • ✅ 아울러, 요약문이 부정문이므로, 빈칸 (A)에는 "appropriate(적절한)"이 가장 적절함.

📌 빈칸 (B) 추론

  • ✅ 건강한 식단이 결정되는 방식에 대한 설명이 문장 3~8에 걸쳐 나옴.
  • ✅ 문장 8에서 식단 구성 요소들을 나열하여 식단을 구성하는 요소의 중요성을 강조.
  • ✅ 따라서, 빈칸 (B)에는 "composed of(~로 구성된)"이 가장 적절함.

📌 정답 제시

  • 따라서, 정답은 "② appropriate ··· composed of"가 가장 적절합니다. ✅

결론

📌 건강한 식단의 핵심은 균형과 조합!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40번 지문은 음식을 이분법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으며, 식단의 구성 요소와 조합이 건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는 글입니다.

📌 문제 풀이 전략 정리

  • ✅ 요약문을 먼저 분석하여 빈칸이 요구하는 의미를 예측
  • ✅ 핵심 문장을 찾아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고 정답을 추론
  • ✅ 빈칸 (A): 음식 자체를 좋다/나쁘다로 규정하는 것은 "incorrect(잘못된)"
  • ✅ 빈칸 (B): 건강한 식단은 "무엇으로 구성되었는가(composed of)"에 의해 결정됨

📌 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영어 독해 능력 향상하기!

  • 영어 독해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한 해석이 아니라 논리적 흐름을 이해하고 정답을 추론하는 능력입니다.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효율적인 문제 풀이법을 익히고, 실전에서도 빠르고 정확하게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연습해야 합니다.

👉 앞으로도 다양한 영어 문제 분석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을 키워보세요! 🚀

📌 더 많은 영어 독해 및 문제 풀이 전략은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 💡

📌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이 지문을 정확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드렸기를 기대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