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목차
서론
🚀 농업의 발전이 인간 사회에 미친 영향
📌 농업 발전은 단순한 식량 생산의 증가를 넘어, 인간 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었습니다.
📌 수렵·채집 사회에서 농업 사회로 변화하면서, 노동 구조와 사회 조직이 점차 복잡해졌으며, 인구가 증가하고 직업이 세분화되는 과정이 발생했습니다.
📌 이번 분석에서는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41번과 42번 지문을 통해, 농업이 어떻게 인간 사회를 변화시켰는지를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의미 해석과 어법 설명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지문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Early huntergatherer societies had (a) minimal structure. A chief or group of elders usually led the camp or village. Most of these leaders had to hunt and gather along with the other members because the surpluses of food and other vital resources were seldom (b) sufficient to support a fulltime chief or village council.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changed work patterns. Early farmers could reap 3-10 kg of grain from each 1 kg of seed planted. Part of this food/energy surplus was returned to the community and (c) limited support for nonfarmers such as chieftains, village councils, men who practice medicine, priests, and warriors. In return, the nonfarmers provided leadership and security for the farming population, enabling it to continue to increase food/energy yields and provide ever larger surpluses.
With improved technology and favorable conditions, agriculture produced consistent surpluses of the basic necessities, and population groups grew in size. These groups concentrated in towns and cities, and human tasks (d) specialized further. Specialists such as carpenters, blacksmiths, merchants, traders, and sailors developed their skills and became more efficient in their use of time and energy. The goods and services they provided brought about an (e) improved quality of life, a higher standard of living, and, for most societies, increased stability.
*reap: (농작물을) 베어들이다 **chieftain: 수령, 두목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② The Dark Shadow of Agriculture: Repetition
③ How Can We Share Extra Food with the Poor?
④ Why Were Early Societies Destroyed by Agriculture?
⑤ The Advantages of Large Groups Over Small Groups in Farming
42. 밑줄 친 (a) ~ (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 ④ (d) ⑤ (e)
문장별 분석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Early huntergatherer societies had (a) minimal structure.
🔑 주요 단어 정리
- hunter-gatherer society: 수렵·채집인 사회
- minimal: 최소한의 (동의어: limited, slight / 반의어: substantial, extensive)
- structure: 구조 (동의어: system, framework)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arly hunter-gatherer societies/ had/ (a) minimal structure.
- 초기 수렵·채집인 사회는/ 가지고 있었습니다/ 최소한의 구조를.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1의 핵심 주장
- ✔ 초기 수렵·채집 사회는 구조가 단순했다.
- 🔍 어휘 적절성 검토 (a)
- 문장 1만의 정보로는 어휘 “(a) minimal”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문장 2로 이동하여 확인합니다. 또한 이 지문이 무엇에 대한 주장이나 주제인지도 확인하도록 합니다.
📌 문장 2
A chief or group of elders usually led the camp or village.
🔑 주요 단어 정리
- chief: 족장, 지도자 (동의어: leader, head)
- elder: 연장자, 원로
- lead: 이끌다, 지휘하다 (동의어: govern, oversee)
- village: 마을, 촌락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chief> or <group/ of elders>]/ usually led/ <the camp or village>.
- [<한 명의 족장> 또는 <집단이/ 원로들의>]/ 보통 이끌었습니다/ <그 캠프나 마을을>.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2의 핵심 주장
- ✔ 초기 사회는 족장이나 연장자들이 이끌었다.
- 🔍 어휘 적절성 검토 (a)
- 문장 1의 최소한의 구조를 가졌다는 내용을 문장 2과 연계하여, 사회 구조의 단순함을 “minimal structure”로 본다면, “(a) minimal”은 문맥상 적절합니다.
📌 문장 3
Most of these leaders had to hunt and gather along with the other members because the surpluses of food and other vital resources were seldom (b) sufficient to support a fulltime chief or village council.
🔑 주요 단어 정리
- most of~: ~의 대부분
- gather: 채집하다
- along with~: ~와 함께
- surplus: 잉여, 과잉 (동의어: excess, extra)
- vital: 필수적인 (동의어: essential, crucial / 반의어: unnecessary, trivial)
- resource: 자원
- seldom: 거의 ~않는
- sufficient: 충분한 (동의어: adequate, enough / 반의어: insufficient, inadequate)
- support: 부양하다, 지지하다 (동의어: sustain, provide for)
- full-time: 전임의
- council: 협의회, 의회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ost/ of these leaders>/ had to hunt and gather/ along with the other members/
- <대부분은/ 이 지도자들의>/ 사냥하고 채집해야만 했습니다/ 다른 구성원들과 함께/
- [because [the surpluses/ <of food and other vital resources>]/ were seldom (b) sufficient/ [to support/ <a full-time chief or village council>]].
- [왜냐하면 [잉여분이/ <식량과 다른 필수 자원들의>]/ 거의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양하기에/ <전임 족장이나 마을 협의회를>]].
📖 어법 설명
-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the surpluses/ <of food and other vital resources>]/ were seldom (b) sufficient/~]”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 “because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because 절”의 주어는 ”the surpluse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were“.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하기에 / ~할 정도로 / ~할 만큼”
- “sufficient/ [to support/ <a full-time chief or village council>]”에서 사용된 용법. 형용사 “sufficient”를 수식.
- 💡 문장 3의 핵심 주장
- ✔ 초기 사회에서 지도자들도 생존을 위해 사냥과 채집을 해야 했다.
- 🔍 어휘 적절성 검토 (b)
- "잉여 생산물이 족장을 부양하기에 충분하지 않았다"는 의미로 “(b) sufficient”는 문맥에 적절함.
📌 문장 4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changed work patterns.
🔑 주요 단어 정리
- development: 발전, 개발 (동의어: advancement, growth)
- agriculture: 농업 (동의어: farming, cultivation)
- change: 바꾸다, 변화시키다 (동의어: transform, alter)
- pattern: 형태, 방식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changed/ work patterns.
- <발전이/ 농업의>/ 변화시켰습니다/ 작업(노동) 방식들을.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4의 핵심 주장
- ✔ 농업의 발전으로 인해 작업(노동) 방식이 변화했다.
📌 문장 5
Early farmers could reap 3-10 kg of grain from each 1 kg of seed planted.
🔑 주요 단어 정리
- reap: 수확하다 (동의어: harvest, gather)
- grain: 곡물, 낟알
- seed: 씨앗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arly farmers could reap/ 3-10 kg of grain / [from each 1 kg/ [of seed/ (which or that was) planted]].
- 초기 농부들은 수확할 수 있었습니다/ 3~10kg의 곡물을/ [각 1kg으로부터/ [씨앗의/ 심겨진]].
📖 어법 설명
-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seed/ (which or that was) planted“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seed“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was)“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심겨진 씨앗“의 의미를 전달. 다만, 의미상 ”seeds“로 변경하고 현재처럼 단독으로 과거분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는 ”planted seeds“로 단순화 하여 수식하는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 합니다.
- 💡 문장 5의 핵심 주장
- ✔ 초기 농부의 수확량 – 1 : 3~10 (아마도 수확량 증가를 언급하는 내용으로 추정)
📌 문장 6
Part of this food/energy surplus was returned to the community and (c) limited support for nonfarmers such as chieftains, village councils, men who practice medicine, priests, and warriors.
🔑 주요 단어 정리
- return: 돌려주다, 환원하다 (동의어: give back, restore)
- limited: 제한된 (동의어: restricted, small / 반의어: abundant, extensive)
- nonfarmer: 비농업인
- priest: 성직자
- warrior: 전사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art/ of this food/energy surplus>/ was returned/ [to [the community]/ and/ (c) [limited(→sufficient or enough) support/ [for nonfarmers/ [such as [chieftains], [village councils], [men/ who practice(→practiced)/ medicine], [priests], and [warriors>]]]]].
- <일부가/ 이러한 식량/에너지 잉여분의>/ 환원되었습니다/ [[공동체에]/ 그리고/ (c) [제한된(→충분한) 지원에/ [비농업인들을 위한/ [[족장들], [마을 의회], [남자들/ 행하던(→행했던)/ 의학을], [성직자들], 및 [전사들 같은]]]]].
📖 어법 설명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수동태
- 이 문장의 주어는 ”Part”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was returned“. 그러면서 ”was returned“는 ”환원되었다“의 의미로 수동태.
-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시제 일치 필요성
- “[men/ who practice(→practiced)/ medicine]”에서 “who”는 선행사, “men”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의학을 행했던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다만, 시제가 과거로 “practice”는 “practiced“로 변경하는 것이 어벙상 적절합니다. 아울러, 다른 명사들처럼 "doctors"와 같이 단순한 표현이 더 어울립니다.
- 🔍 어휘 적절성 검토 (c)
- 문맥상 열거된 직업들은 전임 직업이며 전임 직업을 수행하려면 문장 3에서 진술한 상황(족장도 사냥하고 채집해야 했던 상황)과는 달라야 하므로 "제한된 지원"이 아니라 "충분한 지원"을 의미하는 단어인 "sufficient" 또는 "enough" 등이 적절하므로 따라서, "(c) limited"는 문맥상 부적절합니다 ❌
- 🔍 제목 추론 1
- 📢 현재까지 진술된 내용은 채집 사회에서 농경 사회로 변화되면서 사회 구조의 변화를 진술하고 있습니다.
- 📢 보기를 확인하면, ”① How Agriculture Transformed Human Society(어떻게 농업이 인간 사회를 변화시켰는가?)“가 글의 내용에 가장 부합합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①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7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7
In return, the nonfarmers provided leadership and security for the farming population, enabling it to continue to increase food/energy yields and provide ever larger surpluses.
🔑 주요 단어 정리
- in return: 그 대가로, 보답으로
- provide: 제공하다 (동의어: offer, supply)
- leadership: 지도력, 리더십
- security: 안전, 보안 (동의어: protection, safety)
- enable A to 부정사: A가 B하도록 가능하게 하다
- yield: 수확량, 산출량 (동의어: production, output)
- surplus: 잉여, 초과분 (동의어: excess, extra)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return,/ the nonfarmers provided/ <leadership and security>/ for the farming population,/
- 그 대가로,/ 비농업인들은 제공했습니다/ <지도력과 안전을>/ 농업 인구를 위한,/
- [enabling/ it/ to continue/ [<to increase/ food/energy yields>/ and/ <(to) provide/ ever(→much/even/far/still/a lot) larger surpluses>]].
- [가능하게 하면서/ 그것을/ 지속하도록/ [<증가시키는 것을/ 식량/에너지 수확량을>/ 그리고/ <제공하는 것을/ 이제껏(→훨씬) 더 많은 잉여분을>]].
📖 어법 설명
- ✅ 분사구문
- “[enabling/ it/ to continue/~]”은 “[while they enabled/ it/ to continue/~]”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the nonfarmers)”가 생략되고 동사 “enabled”가 “enabl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 5형식 문형 "enabl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enabling/ it/ to continue“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enable”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 It(가목적어) ~ to 부정사(진목적어) 용법 & 병렬 구조
- “[enabling/ it/ to continue/ [<to increase/ ~>/ and/ <(to) provide/~>]]”에서 “it”는 가목적어로, 두 개의 “to 부정사구” “[<to increase/ ~>/ and/ <(to) provide/~>]”는 진목적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그러면서, 두 개의 “to 부정사구”가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it(가목적어)’와 ‘to 부정사(진목적어)“ 구조는 목적어 역할의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 비교급 강조 부사의 오류
- ”<(to) provide/ ever(→much/even/far/still/a lot) larger surpluses>“에서 ”ever“는 문맥적인 의미상 비교급 강조부사를 오용한 것. 따라서,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인,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중 하나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훨씬”의 의미를 전달.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 💡 문장 7의 핵심 주장
- ✔ 비농업인들은 농업 인구를 보호하고 지도했으며, 이는 식량 생산량 증가에 기여했다.
📌 문장 8
With improved technology and favorable conditions, agriculture produced consistent surpluses of the basic necessities, and population groups grew in size.
🔑 주요 단어 정리
- improved: 개선된, 향상된 (동의어: enhanced, advanced)
- technology: 기술 (동의어: innovation, machinery)
- favorable: 유리한, 좋은 (동의어: beneficial, advantageous / 반의어: unfavorable, detrimental)
- produce: 생산하다 (동의어: generate, yield)
- consistent: 일관된, 지속적인 (동의어: steady, stable / 반의어: irregular, inconsistent)
- necessity: 필수품 (동의어: essential, requirement)
- population group: 인구 집단
- grow in size: 규모가 커지다(크기에서 성장하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ith <improved technology and favorable conditions>],/
- [<개선된 기술과 유리한 환경들>과 함께],/
- agriculture produced/ <consistent surpluses/ of the basic necessities>,/
- 농업은 생산했습니다/ <지속적인 잉여를/ 기본 필수품들의>,/
- and/ population groups grew/ in size.
- 그리고/ 인구 집단들은 성장했습니다/ 크기에서(규모가 커졌습니다).
📖 어법 설명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문장을 and로 연결
- “agriculture produced/~”와 “population groups grew/~”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 문장 8의 핵심 주장
- ✔ 기술 발전과 환경 개선으로 인해 농업이 안정적인 잉여 생산을 하게 되었고, 인구가 증가했다.
📌 문장 9
These groups concentrated in towns and cities, and human tasks (d) specialized further.
🔑 주요 단어 정리
- concentrate: 집중시키다, 모으다
- town: 소도시 (동의어: village, settlement)
- city: 도시 (동의어: metropolis, urban center)
- specialize: 전문화하다 (동의어: focus, differentiate)
- further: 더 멀리, 더욱 (동의어: additionally, moreover)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se groups concentrated(→were concentrated)/ <in towns and cities>,/
- 이 인구 집단들은 집중되었습니다/ <소도시들과 도시들에>,/
- and/ human tasks (d) specialized/ further.
- 그리고/ 인간의 업무들은 (d) 전문화되었습니다/ 더욱.
📖 어법 설명
- ✅ 의미상, 어법상 수동태[be + pp] 사용의 필요성
- 문맥상 외부 요인(농업의 발전과 surplus 증가)에 의해 집중된 것으로, “소도시들이나 도실들에 집중되었다”의 의미가 필요하므로 수동태인 “were concentrated”로 변경해야 의미상, 어법상 적절합니다. 보충 설명을 하자면, "concentrate in + 장소"가 "어디에 집중되다(모이다)"로 자동사로도 쓰일 수는 있으나 이는 자발적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문장을 and로 연결
- “These groups concentrated(→were concentrated)/~”와 “human tasks (d) specialized/~”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 문장 9의 핵심 주장
- ✔ 인구가 도시로 집중되면서 인간의 노동이 더욱 전문화되었다.
- 🔍 어휘 적절성 검토 (d)
- "업무가 전문화되었다"는 의미의 “(d) specialized”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 문장 10
Specialists such as carpenters, blacksmiths, merchants, traders, and sailors developed their skills and became more efficient in their use of time and energy.
🔑 주요 단어 정리
- specialist: 전문가 (동의어: expert, professional)
- such as~: (예를 들어) ~같은
- carpenter: 목수
- blacksmith: 대장장이
- merchant: 상인 (동의어: trader, vendor)
- trader: 무역상 (동의어: dealer, broker)
- sailor: 선원 (동의어: mariner, seaman)
- develop: 발전시키다, 성장하다 (동의어: improve, enhance)
- efficient: 효율적인 (동의어: productive, effective / 반의어: inefficient, wasteful)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pecialists/ [such as <carpenters, blacksmiths, merchants, traders, and sailors>]]/
- [전문가들이/ [예를 들어 <목수들, 대장장이들, 상인들, 무역상들, 및 선원들 같은>]],
- [developed/ their skills]/ and/ [became more efficient/ [in their <use/ of time and energy>]].
- [발전시켰습니다/ 그들의 기술들을]/ 그리고/ [더 효율적으로 되었습니다/ [그들의 <사용에서/ 시간과 에너지의>]].
📖 어법 설명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developed/~]”와 “[became more efficient/~]”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문장 10의 핵심 주장
- ✔ 전문가들이 기술을 발전시키며 더 효율적으로 변했다.
📌 문장 11
The goods and services they provided brought about an (e) improved quality of life, a higher standard of living, and, for most societies, increased stability.
🔑 주요 단어 정리
- goods: 상품 (동의어: products, commodities)
- service: 서비스 (동의어: assistance, aid)
- bring about~: ~을 초래하다 (동의어: cause, lead to)
- quality of life: 삶의 질
- standard of living: 생활 수준
- stability: 안정성 (동의어: security, steadiness / 반의어: instability, chaos)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goods and services>/ (which or that) they provided]/ brought about/
- [<상품들과 서비스들은>/ 그들이 제공했던]/ 초래했습니다(가져왔습니다)/
- [[an (e) improved <quality of life>],/ [a higher <standard of living>],/ and,/ [for most societies,/ increased stability]].
- [[(e) 향상된 <삶의 질을>],/ [더 높은 <생활 수준을>],/ 그리고/ [대부분의 사회들에게,/ 증가된 안정성을]].
📖 어법 설명
-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goods and services>/ (which or that) they provided]”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goods and service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그들이 제공했던 상품들과 서비스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 병렬 구조 – 세 개의 명사구를 and로 연결
- “[an (e) improved <quality of life>]”, "[a higher <standard of living>]" 및 “[for most societies,/ increased stability]”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 문장 11의 핵심 주장
- ✔ 전문가들이 제공한 상품들과 서비스들이 삶의 실, 생활 수준, 및 안정성을 높였다.
- 🔍 어휘 적절성 검토 (e)
- "향상된 삶의 질"이라는 의미의 “(e) improved”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41번 문제: 제목 선택
- ✔ 핵심 주장
- 수렵·채집 사회에서 농업 사회로 변화하면서 사회 구조가 점점 복잡해지고 전문화됨.
- surplus(잉여 생산물)의 증가가 사회 계층의 분화를 초래함.
- 농업이 인간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설명하는 지문임.
- ✔ 정답 근거
- ① How Agriculture Transformed Human Society (어떻게 농업이 인간 사회를 변화시켰는가?)
- → 농업이 노동 패턴을 변화시키고 사회 조직을 발전시키며 인구와 직업 분화를 가져왔다는 내용과 가장 부합.
- ✔ 나머지 선택지 검토
- ② The Role of Trade in Economic Growth → **무역(trade)**이 아닌 **농업(agriculture)**에 대한 내용이므로 부적절.
- ③ Early Political Structures in Human Civilization → 정치 구조(political structures)가 아니라 경제 및 사회 변화에 대한 내용이므로 부적절.
- ④ Food Storage and Ancient Trade Networks → 식량 저장과 무역망에 대한 내용이 아님.
- ⑤ The Evolution of Nomadic Lifestyles → 유목 생활(nomadic lifestyles)의 변화가 아니라 정착 농경 사회의 변화를 다루므로 부적절.
- ✅ 최종 정답: ① How Agriculture Transformed Human Society
42번 문제: 어휘 적절성 판단
- 각 단어의 문맥상 적절성 검토
- ① (a) minimal ✅ - 수렵·채집 사회의 단순한 구조를 설명하는 맥락과 일치.
- ② (b) sufficient ✅ - "족장을 부양하기에는 부족한 잉여 생산물"이라는 의미에서 적절.
- ③ (c) limited ❌ - "제한된 지원"이 아니라 "충분한 지원(sufficient / enough)"이 적절.
- ④ (d) specialized ✅ - "업무가 점점 더 전문화됨"이라는 맥락과 일치.
- ⑤ (e) improved ✅ - "향상된 삶의 질"이라는 의미로 문맥상 적절.
- ✅ 최종 정답: ③ (c) limited → “sufficient” 또는 “enough”로 수정해야 함.
결론
📌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은 농업이 인간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설명하는 글입니다.
📌 농업의 발전으로 인해 노동 방식이 변화하고, surplus(잉여 생산물)가 증가하면서 사회 계층이 형성되었습니다.
📌 이번 문제 풀이에서는 제목 선택 시 지문의 핵심 내용을 빠르게 파악하는 방법과, 문맥 속에서 어휘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전략을 적용했습니다.
📌 논리적인 독해와 문제 풀이 접근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며, 앞으로도 다양한 지문을 분석하며 독해력을 향상시켜 나가도록 합시다! 🚀
📌 문장별 분석 내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이 이 지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