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북미 전통 요리의 상실과 혼란 – 우리는 ‘완전히 분별력을 잃었는가?’
📌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은 북미의 전통 요리법이 어떻게 쇠퇴했으며, 우리가 음식 정체성에 대한 분별력을 상실했는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필자는 전통적인 요리법을 계승하는 강력한 방법을 찾지 못한 채, 유행성 다이어트가 우리의 식문화를 지배하고 있는 현실을 비판합니다.
💡 이 글의 핵심 포인트
- ✔ 북미의 전통 요리는 토착민들과 마찬가지로 점점 사라지고 있다.
- ✔ 지역 특산 요리는 남아 있지만, 원래의 지역 농산물이 아니라 외래산 재료로 변형되고 있다.
- ✔ 패스트푸드화된 특산 요리에 대해 우리는 분별하거나 저항하지 못하고 있다.
- ✔ 전통적인 요리법을 계승할 강력한 방법을 마련하지 못했다.
- ✔ 대신, 유행성 식단(요리법)이 우리의 식문화를 지배하며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해석과 논리적 흐름을 통해 "have entirely lost our marbles"가 의미하는 바를 명확히 파악하고, 정답을 도출하는 과정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제 해결을 돕겠습니다.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1. 밑줄 친 have entirely lost our marbles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North America’s native cuisine met the same unfortunate fate as its native people, save for a few relics like the Thanksgiving turkey. Certainly, we still have regional specialties, but the Carolina barbecue will almost certainly have California tomatoes in its sauce, and the Louisiana gumbo is just as likely to contain Indonesian farmed shrimp. If either of these shows up on a fastfood menu with lots of added fats or HFCS, we seem unable either to discern or resist the corruption. We have yet to come up with a strong set of generalized norms, passed down through families, for savoring and sensibly consuming what our land and climate give us. We have, instead, a string of fad diets convulsing our bookstores and bellies, one after another, at the scale of the national best seller. Nine out of ten nutritionists view this as evidence that we have entirely lost our marbles.
① have utterly disrupted our complex food supply chain
② have vividly witnessed the rebirth of our classic recipes
③ have completely denied ourselves access to healthy food
④ have become totally confused about our distinctive food identity
⑤ have fully recognized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our local foods
문장별 분석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6
Nine out of ten nutritionists view this as evidence that we have entirely lost our marbles.
🔑 주요 단어 정리
- nine out of ten: 열 명 중 아홉 명 (동의어: majority, most)
- nutritionist: 영양사 (동의어: dietitian, health expert)
- view A as B: A를 B로 간주하다 (동의어: consider A to be B, regard A as B)
- entirely: 완전히 (동의어: completely, totally / 반의어: partially, incompletely)
- marbles: 정신적 판단력, 분별력
- lose one’s marbles: 분별력을 잃다 (동의어: go crazy, become confused / 반의어: remain sane, be rational)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ine/ out of ten nutritionists>/ view/ this/ [as evidence/ [that we have entirely lost/ our marbles]].
- <아홉 명은/ 열 명의 영양사들 중>/ 봅니다/ 이것을/ [증거로서/ [우리가 완전히 잃었다는/ 우리의 분별력을]].
📖 어법 설명
-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evidence/ [that we have entirely lost/ our marbles]"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evidence“을 설명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현재완료[have(has) + pp]
- "have entirely lost"에서 사용된 어법. “과거부터 현재 사이에” 일어난 일의 결과로 “완전히 잃어버렸다”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열 명 중 아홉 명의 영양사들이 "이것"을 우리가 우리의 분별력을 완전히 잃었다는 증거로 본다.
- 🔍 함축적 의미 추론 1
- ”have entirely lost/ our marbles“의 함축적 의미를 찾기 위해서는 this의 의미를 파악해야 합니다. 독자들이 ”marbles(복수형)“의 의미도 알지 못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this“를 ”우리가 ”marbles“를 잃어버렸다는 증거로 본다” 정도의 의미로 파악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문장 4로 이동하여 “this”의 지시대상부터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5
We have, instead, a string of fad diets convulsing our bookstores and bellies, one after another, at the scale of the national best seller.
🔑 주요 단어 정리
- instead: 대신에 (동의어: rather, alternatively / 반의어: as well, additionally)
- a string of~: 일련의 (동의어: a series of, a succession of)
- fad diet: 일시적 유행성 식단 (동의어: trendy diet, short-lived diet plan)
- convulse: 큰 소동을 일으키다, 요동치게 하다 (동의어: shake, agitate / 반의어: stabilize, calm)
- belly: 배, 위장 (동의어: stomach, abdomen)
- one after another: 연달아 (동의어: consecutively, successively)
- at the scale of~: ~의 규모로 (동의어: on the level of, in proportion to)
- national best seller: 전국적 베스트셀러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have,/ instead,/ [a string of fad diets/ (which or that are) convulsing/ <our bookstores and bellies>,/ one after another,/ <at the scale/ of the national best seller>].
- 우리는 가지고 있습니다,/ 대신에,/ [일련의 일시적 유행성 식단들을/ 요동치게 하고 있는/ <우리의 서점들과 위장들을>,/ 연달아,/ <규모로/ 전국적 베스트셀러의>].
📖 어법 설명
-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a string of fad diets/ (which or that are) convulsing/ <our bookstores and bellies>“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a string of fad diet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a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하며 ”우리의 서점들과 위장들을 요동치게 하고 있는 일련의 일시적 유행성 식단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서점 가와 우리의 식단을 차지하고 있는 일련의 일시적 유행성 식단.
- 🔍 함축적 의미 추론 2
- 문장 6의 “this”를 문장 5의 전체 내용으로 본다면, 우리가 잃고 있는 대상인 “marbles”를 또 찾아야 합니다. 따라서, 문장 4로 이동하여 단서를 찾도록 합니다.
📌 문장 4
We have yet to come up with a strong set of generalized norms, passed down through families, for savoring and sensibly consuming what our land and climate give us.
🔑 주요 단어 정리
- have yet to 부정사: 아직 ~하지 않았다 (동의어: have not yet, still need to)
- come up with~: ~을 생각해내다 (동의어: devise, formulate)
- a set of~: ~의 한 세트, 한 조의~, 일습의~
- generalized: 일반화된 (동의어: broad, universal / 반의어: specific, particular)
- pass down: 전해주다, 전해 내려오다 (동의어: inherit, transmit)
- savor: 음미하다 (동의어: enjoy, relish)
- sensibly: 합리적으로, 분별 있게
- consume: 소비하다 (동의어: eat, ingest / 반의어: conserve, abstain from)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have yet to come up with/ [[<a strong set/ of generalized norms>/, (which or that was) passed down/ through families],/ [<for savoring and sensibly consuming>/ [what <our land and climate> give/ us]]].
- 우리는 아직 생각해내지 못했습니다/ [[<한 세트를/ 강력한 일반화된 규범들의>/, 전해진/ 가계들을 통해],/ [<음미하고 합리적으로 소비하기 위한>/ [<우리 땅과 기후가> 주는(제공하는) 것을/ 우리에게]]].
📖 어법 설명
-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a strong set/ of generalized norms>/, (which or that was) passed down/ through families]“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a strong set/ of generalized norm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was)“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가계들을 통해 전해진 강력한 규범들의 한 세트“의 의미를 전달.
- ✅ “~하기”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for savoring and sensibly consuming>“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for“의 목적어 역할. ”음미하고 합리적으로 소비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our land and climate> give/ us]”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우리의 땅과 기후가 우리에게 주는(제공하는) 것“의 의미.
- ✅ 격에 맞지 않은 어휘와 불완전한 표현의 변경 필요성
- ”norm(규범)“이란 말은 ”인간이 행동하거나 판단할 때에 마땅히 따르고 지켜야 할 가치 판단의 기준“의 의미이고, 여기서는 ”방법(way)“가 적합합니다. 아울러, ”[<a strong set/ of generalized norms>/, (which or that was) passed down/ through families]“의 표현에서 ”가계들로부터 전해진 일반화된 규범들“은 논리적인 오류가 있습니다. 문맥적으로 보면 ”가계들로부터 전해진 요리 비법들을 보존할 일반화된 강력한 방법(A generalized powerful way/ [to preserve/ [cooking secrets/ (which or that were) passed down/ from households]])“로 표현했어야 논리적으로 적절합니다.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우리 땅과 기후가 주는 것을 음미하고 합리적으로 소비하기 위한 가계들로부터 전해진 강력한 규범(→방법)을 아직 생각해내지 못했다.
- 🔍 함축적 의미 추론 3
- 📢 문장 5와 문장 4의 관계로 보면, ”a string of fad diets“의 상반된 개념으로 이미 논리상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던 ”[<a strong set/ of generalized norms>/, (which or that was) passed down/ through families]“임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 📢 즉, ”가계들부터 전해진((which or that was) passed down/ through families)“의 의미로부터 ”전통과 유행“의 대립 관계에서 ”전통“을 상실하고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 📢 따라서, 보기를 확인하면, ”④ have become totally confused about our distinctive food identity(우리의 분명한 식품 정체성에 대해서 완전히 혼동스럽게 되다)“가 가장 가깝습니다.
- 📢 다른 보기는 현재까지 진술된 내용을 반영한다고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1으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1
North America’s native cuisine met the same unfortunate fate as its native people, save for a few relics like the Thanksgiving turkey.
🔑 주요 단어 정리
- native: 토착의, 본래의 (동의어: indigenous, original / 반의어: foreign, imported)
- cuisine: 요리 (동의어: food, cooking, gastronomy)
- the same A as B: B와 같은 동일한 A
- fate: 운명 (동의어: destiny, doom / 반의어: choice, free will)
- unfortunate: 불운한 (동의어: unlucky, tragic / 반의어: fortunate, lucky)
- save for~: ~을 제외하고 (동의어: except for, apart from)
- relic: 유물, 잔재 (동의어: remnant, vestig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orth America’s native cuisine/ met/ the same unfortunate fate/ as its native people,/ <save for a few relics/ like the Thanksgiving turkey>.
- 북미의 토착 요리는/ 만났습니다/ 동일한 불운한 운명을/ 그것의(북미의) 토착민들과 같은,/ <몇 가지 잔재들을 제외하고는/ 추수감사절 칠면조 같은>.
📖 어법 설명
- ✅ 비교 표현 the same A as B
- “the same unfortunate fate/ as its native people”에서 사용된 어법. “그것의(북미의) 토착민들과 같은 동일한 불운한 운명”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북미의 토착(전통) 요리법도 북미의 토착민과 같은 동일한 불운한 운명(점점 더 쇠약해 지는 운명)에 처해 있다.
- 🔍 함축적 의미 추론에 대한 증거 1
- 문장 4의 함축적 의미 추론에서 언급했던 ”전통과 유행“의 대립 관계에서 ”전통“을 상실하고 있다는 의미”가 문장 1을 통해 입증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봐도, 문장 5의 “a string of fad diets”라는 표현 역시, 주제의 일관성 측면에서 다소 문제가 있습니다. 즉, “전통 요리법(traditional recipes or traditional cuisines)”의 상대적 개념인 “일시적 유행의 요리법(fad recipes or fad cuisines)”정도가 타당합니다.
📌 문장 2
Certainly, we still have regional specialties, but the Carolina barbecue will almost certainly have California tomatoes in its sauce, and the Louisiana gumbo is just as likely to contain Indonesian farmed shrimp.
🔑 주요 단어 정리
- certainly: 확실히 (동의어: definitely, surely / 반의어: possibly, uncertainly)
- regional: 지역의 (동의어: local, provincial / 반의어: national, global)
- specialty: 특산물, 특산 요리 (동의어: delicacy, signature dish)
- barbecue: 바비큐 (동의어: grill, cookout)
- gumbo: 검보 (미국 남부식 스튜 요리)
- almost certainly: 거의 확실하게 (동의어: very likely, most probably)
- just as likely to 부정사: 마찬가지로 ~할 가능성이 높은 (동의어: equally probable, comparably likely)
- contain: 포함하다 (동의어: include, comprise / 반의어: exclude, omi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ertainly,/ we still have/ regional specialties,/ but/ the Carolina barbecue/ will almost certainly have/ California tomatoes/ in its sauce,/ and/ the Louisiana gumbo/ is just as likely to contain/ Indonesian farmed shrimp.
- 확실히,/ 우리는 여전히 가지고 있습니다/ 지역 특산 요리들을,/ 그러나/ 캐롤라이나 바비큐는/ 거의 확실히 포함할 것입니다/ 캘리포니아산 토마토들을/ 그것의 소스에,/ 그리고/ 루이지애나 검보는/ 마찬가지로 포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도네시아산 양식 새우들을.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일부 특산(전통) 요리는 지역 농산물을 그것의 소스에 포함하고 일부 특산(요리)는 외래산 수산물을 그것의 재료로 사용한다.
- 🔍 함축적 의미 추론에 대한 증거 2
- 문장 2의 내용에서는 특산(전통) 요리의 지속 여부보다는 재료가 원래의 recipe에서 벗어나 외래산 재료가 사용되고 있음을 지적합니다. 다만, 주제의 일관성 측면에서는 역시 다소 문제가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이 글의 주장이 “전통 요리법의 보존”이냐 “지역 농산물의 사용 촉진”이냐로 갈릴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문장 3
If either of these shows up on a fastfood menu with lots of added fats or HFCS, we seem unable either to discern or resist the corruption.
🔑 주요 단어 정리
- either: (둘 중) 하나
- show up: 나타나다 (동의어: appear, emerge / 반의어: disappear, vanish)
- fast food: 패스트푸드 (동의어: junk food, quick meal)
- added: 첨가된 (동의어: extra, included / 반의어: removed, omitted)
- HFCS (High-Fructose Corn Syrup): 액상과당
- seem 형용사: ~하게 보이다
- unable to 부정사: ~하는 것이 불가능한
- either A or B: A 혹은 B
- seem unable to either A or B: A 하거나 B 하는 것이 불가능해 보이다
- discern: 분별하다 (동의어: distinguish, perceive / 반의어: ignore, overlook)
- resist: 저항하다 (동의어: oppose, withstand / 반의어: accept, yield to)
- corruption: 변질, 부패 (동의어: degradation, contamination / 반의어: purity, integrit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either/ of these>/ shows up/ on a fastfood menu/ <with lots of added fats or HFCS>],/
- [만약 <하나라도/ 이것들(특산 요리들) 중>/ 등장한다면/ 패스트푸드 메뉴에/ <많은 첨가 지방이나 액상과당과 함께>],/
- we seem unable/ <either to discern or resist/ the corruption>.
- 우리는 불가능해 보입니다/ 분별하거나 저항하는 것이/ 그 변질을.
📖 어법 설명
-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either/ of these>/ shows up/~]”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seem unable/ <either to discern or resist/ the corruption>”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구 “seem unable(~하는 것이 불가능해 보이다)”의 목적어 역할.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특산(전통) 요리의 재료가 변경되어 패스트푸드 메뉴에 포함된다면, 항거하거나 분별할 수 없다.
- 🔍 함축적 의미 추론에 대한 증거 3
- 문장 3의 내용으로부터 문장 4의 ”[<a strong set/ of generalized norms>/, (which or that was) passed down/ through families]“표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확인됩니다. 문장 4의 분석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가계들로부터 전해진 요리 비법들을 보존할 일반화된 강력한 방법(A generalized powerful way/ [to preserve/ [cooking secrets/ (which or that were) passed down/ from households]])“로 표현했어야 논리적으로 적절하다는 것입니다. 다만, 여기에 ”지역 농산물“을 사용하여 ”recipe“를 구성하는 재료까지 원형 그대로 보존하자는 의미가 추가될 뿐입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요약
- ✔ 북미의 전통 요리법은 토착민과 마찬가지로 쇠퇴하고 있다.
- ✔ 여전히 지역 특산 요리는 남아 있지만, 재료는 원래의 지역 농산물이 아닌 외래산으로 대체되고 있다.
- ✔ 이러한 변화가 패스트푸드화될 경우, 우리는 이를 분별하거나 저항하지 못한다.
- ✔ 전통적인 요리법과 식문화를 계승할 강력한 방법을 아직 찾아내지 못했다.
- ✔ 대신, 유행성 다이어트가 우리의 식문화에 강한 영향을 주며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 ✔ 이것이 우리가 ‘완전히 분별력을 상실했다(lost our marbles)’는 증거라고 영양학자들은 보고 있다.
📌 "have entirely lost our marbles"의 의미 분석
- "marbles"는 정신적 분별력, 이성적 판단력을 의미한다.
- 즉, "have entirely lost our marbles"는 우리가 완전히 혼란에 빠져 식문화적 정체성을 상실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 선택지 분석
- ✅ ④ have become totally confused about our distinctive food identity → 정답
- ✔ "우리의 독특한 음식 정체성(food identity)에 대해 완전히 혼동을 겪고 있다"는 의미가 지문의 핵심 주장과 일치한다.
- ❌ ① have utterly disrupted our complex food supply chain
- → **공급망(supply chain)**과 관련된 내용은 지문에서 다루어지지 않음.
- ❌ ② have vividly witnessed the rebirth of our classic recipes
- → 전통 요리법의 부활이 아니라 쇠퇴가 주된 논점이므로 반대 개념.
- ❌ ③ have completely denied ourselves access to healthy food
- → 건강한 음식에 대한 접근 거부가 아니라, 전통적인 음식 방식에 대한 혼란이 초점.
- ❌ ⑤ have fully recognized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our local foods
- → 전통 식문화의 중요성을 깨달은 것이 아니라, 이를 잃어버리고 있음.
🎯 정답 제시
- 따라서, 정답은 ④번입니다.
결론
전통 요리법을 잃은 현대 사회,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은 북미의 전통 식문화가 쇠퇴하면서 사람들이 음식 정체성을 잃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 핵심 내용 요약
- ✔ 북미의 전통 요리는 사라지고 있으며, 원래의 지역 농산물 대신 외래산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 ✔ 패스트푸드화된 특산 요리에 대해 우리는 분별하거나 저항하지 못하고 있다.
- ✔ 전통적인 요리법을 계승할 강력한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으며, 대신 유행성 다이어트가 사람들의 식문화를 지배하고 있다.
- ✔ 이러한 혼란이 우리가 음식 정체성에 대한 분별력을 상실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영양학자들은 평가하고 있다.
⚠ 하지만, 이 글의 논리적 문제점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 🔹 "전통 요리법의 보존"과 "지역 농산물 사용 촉진"이 섞여 있어 논지가 다소 불명확합니다.
- 🔹 "전통 요리법"을 보존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부족하며, 패스트푸드화가 문제라고 단정 짓는 논리가 빈약합니다.
- 🔹 유행성 다이어트가 책을 통해 전파된다는 점은 사실이지만, 그것이 전통 음식 정체성을 파괴하는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보기에는 근거가 부족합니다.
- 💡 결국, "have entirely lost our marbles"는 전통 식문화가 혼란에 빠졌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현대인의 음식 정체성 상실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정답: ④ have become totally confused about our distinctive food identity
👉 이 글을 읽고 나서,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전통 요리법을 보존해야 한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의견을 댓글로 남겨 주세요! 😊
📌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의미의 덩어리 & 어법적 연결 고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문법) 설명이 지문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드렸기를 기대합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