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22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 AI가 우리의 직업을 대체할수록, 감성 지능(EI)의 가치는 어떻게 변할까요?

📌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22번 지문은 AI 기술의 발전이 직장 내 감성 지능(EI)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 필자는 AI가 반복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이 뛰어나지만, 감성적 메시지를 인식하고 처리하는 능력은 한계가 있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 따라서, 미래의 직장에서 감성 지능(EI)을 갖춘 사람들은 더욱 가치 있게 평가될 것이며, 감성 지능이 필요한 직업은 AI로 대체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을 펼칩니다.

💡 이 글의 핵심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 AI는 많은 직업을 대체할 것이지만, 감성 지능이 필요한 업무는 여전히 인간이 필요하다.
  • ✔ 감성을 감지하고 관리하는 능력은 AI가 쉽게 따라 할 수 없는 영역이다.
  • ✔ 경영진들은 감성 지능(EI)을 미래 직장의 필수 역량으로 보고 있다.

📢 그렇다면, 감성 지능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

지문을 통해 그 이유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글의 주제, 요지, 제목 찾기,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을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이 택하세요.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Perhaps, the adv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he workplace may bode well for Emotional Intelligence (EI). As AI gains momentum and replaces people in jobs at every level, predictions are, there will be a premium placed on people who have high ability in EI. The emotional messages people send and respond to while interacting are, at this point, far beyond the ability of AI programs to mimic. As we get further into the age of the smart machine, it is likely that sensing and managing emotions will remain one type of intelligence that puzzles AI. This means people and jobs involving EI are safe from being taken over by machines. In a survey, almost three out of four executives see EI as a “musthave” skill for the workplace in the future as the automatizing of routine tasks bumps up against the impossibility of creating effective AI for activities that require emotional skill.

* bode: ~의 징조가 되다 ** momentum: 추진력
① 감성 지능의 결여는 직장 내 대인 관계 갈등을 심화시킨다.
② 미래의 직장에서는 감성 지능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이다.
③ 미래 사회에서는 감성 지능을 갖춘 기계가 보편화될 것이다.
④ 미래에는 대부분의 직장 업무를 인공 지능이 대신할 것이다.
⑤ 인간과 인공 지능 간의 상호 작용은 감성 지능의 발달을 저해한다.

문장별 분석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2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Perhaps, the adv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he workplace may bode well for Emotional Intelligence (EI).

🔑 주요 단어 정리

  • perhaps: 아마도 (동의어: maybe, possibly / 반의어: certainly, definitely)
  • advent: 도래, 출현 (동의어: arrival, emergence / 반의어: disappearance, departure)
  • Artificial Intelligence (AI): 인공지능
  • workplace: 직장, 업무 환경 (동의어: office, work environment)
  • bode well for~: ~을 위한 좋은 징조가 되다 (동의어: indicate good prospects, suggest a positive outcome / 반의어: bode ill for, foretell problems)
  • Emotional Intelligence (EI): 감성 지능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erhaps,/ [<the adv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he workplace]/ may bode well/ for Emotional Intelligence (EI).
  • 아마도,/ [<그 출현이/ 인공지능(AI)의>/ 직장에서의]/ 좋은 징조가 될 수도 있습니다/ 감성 지능(EI)에 대한.

📖 어법 설명

  • bode well for ~: "~에 좋은 영향을 주다"
  • "bode"는 미래의 가능성을 예측하는 동사로, 긍정적인 영향을 의미할 때 "bode well/ for~", 부정적인 영향을 의미할 때 "bode ill/ for~"를 사용합니다.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AI가 직장에서 등장하는 것이 감성 지능(EI)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may"가 사용된 점에서 확신보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음.
  • 🔍 요지 추론 1
  • 직장 내 AI의 출현과 EI의 상관관계에 대한 약한 추측을 진술하고 있어, 좀 더 독해하여 단서를 찾도록 합니다.

📌 문장 2

As AI gains momentum and replaces people in jobs at every level, predictions are, there will be a premium placed on people who have high ability in EI.

🔑 주요 단어 정리

  • gain momentum: 추진력을 얻다 (동의어: accelerate, pick up speed / 반의어: lose momentum, slow down)
  • replace: 대체하다 (동의어: take over, substitute for / 반의어: retain, keep)
  • at every level: 모든 수준에서의 (동의어: across all fields, in all areas)
  • prediction: 예측 (동의어: forecast, projection / 반의어: hindsight, uncertainty)
  • premium: 높은 가치, 우대 (동의어: priority, high regard / 반의어: devaluation, neglect)
  • place: 부여하다, 두다, 놓다
  • ability: 능력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AI [gains/ momentum]/ and/ [replaces/ [people/ <in jobs/ at every level>]]],/ 
  • [AI가 [얻음에 따라서/ 추진력을]/ 그리고/ [대체함에 따라서/ [사람들을/ <직업들에서/ 모든 수준에서의>]]],/
  • predictions are,/ [(that) there will be/ [a premium/ (which or that is) placed/ [on people/ who have/ <high ability/ in EI>]]].
  • 예측들이 있습니다,/ [있을 것이라는/ [우대가/ 부여된/ [사람들에게/ 가지고 있는/ <높은 능력을/ 감성 지능(EI)에서>]]].

📖 어법 설명

  • ✅ 시간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AI [gains/~]/ and/ [replaces/~]]”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함에 따라서”의 의미를 전달.
  • ✅ 병렬 구조 – “As 절” 내의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gains/ momentum]”와 “[replaces[people/ <in jobs/ at every level>]]”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생략 불가
  • "predictions are,/ [(that) there will be/~]"에서 생략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predictions“을 설명합니다. 동격절의 접속사는 생략할 대상이 아니고, 동격절의 접속사 that과 직접 수식을 받는 명사인, ”predictions“가 be 동사 ”are“로 분리되어 사용된 상태로, 실제 현대 영어에서의 어법적 파괴를 보여주는 좋은 예인 동시에, 어법적으로 비문에 해당 합니다. ”There are [predictions/ [that [people/ who have/ <high ability/ in EI>]/ will have/ a premium]].“으로 얼마든지 어법에 맞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a premium/ (which or that is) placed[on people/ who have/ <high ability/ in EI>]]“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a premium“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is)“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EI에서의 높은 능력을 가진 사람들에게 부여된 우대“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AI가 직업에서 사람들을 대체할수록, 감성 지능(EI)을 갖춘 사람들이 더욱 가치 있게 평가될 것이다.
  • 🔍 요지 추론 2
  • 📢 문장 1에 이어 AI가 대체할 수 없는 EI 능력을 보유한 사람들의 가치에 대한 긍정적 기대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 📢 즉, 이 글이 주장하는 것은 “AI” 시대의 도래에 따른 “EI”를 갖춘 작업자에 대한 필요성 정도로 추론되므로. 보기를 확인하면, 이러한 내용을 포괄할 수 있는 선택지는 “② 미래의 직장에서는 감성 지능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이다.”뿐입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②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3으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문장 3

The emotional messages people send and respond to while interacting are, at this point, far beyond the ability of AI programs to mimic.

🔑 주요 단어 정리

  • emotional message: 감정적 메시지 (동의어: affective signal, expressive cue)
  • interact: 상호작용하다 (동의어: communicate, engage / 반의어: ignore, isolate)
  • at this point: 현재 시점에서는 (동의어: as of now, at present)
  • far beyond: 훨씬 넘어서 (동의어: way past, significantly above / 반의어: within, close to)
  • mimic: 흉내 내다 (동의어: imitate, replicate / 반의어: differentiate, deviate from)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emotional messages/ (which or that) people <send and respond to>/ [while interacting]]/ [are, at this point, far beyond/ <the ability/ of AI programs>]/ to mimic.
  • [[감성적 메시지들은/ 사람들이 <보내고 반응하는>]/ [상호 작용하면서]]/ [현재 시점에서는/ 훨씬 넘어섭니다/ <그 능력을/ AI 프로그램들의>]/ 흉내 내기에.

📖 어법 설명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The emotional message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are”.
  •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emotional messages(which or that) people <send and respond to>/ [while interacting]]”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emotional messages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상호 작용하면서 사람들이 보내고 반응하는 감성적 메시지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 분사구문
  • [while interacting]”은 “[while they interact/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people)”가 생략되고 동사 “interact”가 “interact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하기에 / ~할 정도로 / ~할 만큼”
  • [areat this pointfar beyond/ <the ability/ of AI programs>]to mimic”에서 사용된 용법. 다만, “문장의 주어(The emotional messages)” ≠ “to 부정사의 행위자(AI programs)”인 경우로, “to mimic”은 for them/ to mimic”으로 변경해야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현재 AI는 감성적 메시지를 흉내 내는 능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감성 지능(EI)을 필요로 하는 직업은 AI에 의해 쉽게 대체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론할 수 있어 이미 선택한 답이 적절함을 다시 한번 입증합니다.

📌 문장 4

As we get further into the age of the smart machine, it is likely that sensing and managing emotions will remain one type of intelligence that puzzles AI.

🔑 주요 단어 정리

  • further: 더욱, 한층 더
  • get further into ~: ~에 한층 더 들어가다 (동의어: advance into, move deeper into)
  • the age of the smart machine: 스마트 기계 시대
  • be likely that ~: ~할 가능성이 있다 (동의어: be probable, be expected / 반의어: be unlikely, be doubtful)
  • remain: 여전히 ~이다 (동의어: continue to be, stay / 반의어: disappear, vanish)
  • puzzle: 당황하게 하다, 혼란스럽게 하다 (동의어: confuse, baffle / 반의어: clarify, enlighten)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we get/ further/ <into the age/ of the smart machine>],/
  • [우리가 들어감에 따라서/ 한층 더/ <그 시대에/ 스마트 기계의>],/
  • it is likely/ [that <sensing and managing/ emotions>/ will remain/ [<one type/ of intelligence>/ that puzzles/ AI]].
  • 그것은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감정들을>/ 여전히 남아 있게 될 것은/ [<하나의 유형으로서/ 지능의>/ 당황하게 만드는/ AI를]].

📖 어법 설명

  • ✅ 시간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we get/~]”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함에 따라서”의 의미를 전달.
  • ✅ It(가주어) ~ that 절(진주어) 용법
  • it is likely/ [that~]”에서 ”it“는 가주어, ”that 절”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한국어에는 없는 용법으로 "‘It(가주어)’와 “that 절(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hat 절”을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sensing and managing/ emotions>“에서 사용된 어법. 주어 역할(단수 취급). ”감정들을 감지하고 관리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one type/ of intelligence>/ that puzzles/ AI]”에서 “that”은 선행사, “<one type/ of intelligenc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AI를 당황하게 만드는 지능의 한가지 유형”의 의미를 전달.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감정을 감지하고 관리하는 능력은 AI가 따라 하기 어려운 지능 유형으로 남을 것이다. 이 문장 역시 선택한 답이 정답임을 뒷받침합니다.

📌 문장 5

This means people and jobs involving EI are safe from being taken over by machines.

🔑 주요 단어 정리

  • mean: 의미하다 (동의어: signify, indicate / 반의어: misinterpret, obscure)
  • involve: 포함하다, 관련되다 (동의어: include, pertain to / 반의어: exclude, separate from)
  • be safe from~: ~로부터 안전하다 (동의어: be protected from, be shielded from / 반의어: be vulnerable to, be exposed to)
  • take over: 인수하다, 대체하다 (동의어: replace, assume control of / 반의어: relinquish, surrender)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means/ [(that) [people and jobs/ (that are) involving/ EI]/ are safe/ <from being taken over/ by machines>].
  • 이것은 의미합니다/ [[사람들과 직업들이/ 포함하고 있는/ 감성 지능(EI)을]/ 안전하다는 것을/ <대체되는 것으로부터/ 기계에 의해>].

📖 어법 설명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means[(that)~]"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means"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수의 일치
  • "[people and jobs(that are) involving/ EI]are safe“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people and job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that a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하며 ”EI를 포함하고 있는 사람들과 직업들은 안전하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선행사에 ”사람과 사물“이 있는 경우로 ”which are“는 올 수 없습니다. 주어가 ”people and job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are“.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수동태
  • "<from being taken overby machines>“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from“의 목적어 역할. ”기계들에 의해서 대체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며 수동태.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감성 지능(EI)이 필요한 직업과 사람들은 기계에 의해 대체되지 않을 것이다. 이 문장 역시 앞서 선택한 답이 적절함을 뒷받침합니다.

📌 문장 6

In a survey, almost three out of four executives see EI as a “must-have” skill for the workplace in the future as the automatizing of routine tasks bumps up against the impossibility of creating effective AI for activities that require emotional skill.

🔑 주요 단어 정리

  • survey: 설문 조사 (동의어: poll, research)
  • executive: 경영진, 임원 (동의어: manager, decision-maker / 반의어: employee, worker)
  • see A as B: A를 B로 보다(간주하다)
  • must-have: 필수적인 (동의어: essential, indispensable / 반의어: optional, unnecessary)
  • automatize: 자동화하다 (동의어: automate, mechanize / 반의어: manualize, humanize)
  • bump up against~: ~에 부딪히다 (동의어: encounter, face / 반의어: avoid, bypass)
  • impossibility: 불가능 (동의어: infeasibility, unfeasibility / 반의어: possibility, feasibility)
  • effective: 효과적인
  • activity: 활동
  • require: 요구하다, 필요로 하다 (동의어: need, demand / 반의어: dispense with, be unnecessar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a survey,/ <almost three/ out of four executives>/ see/ EI/ [as a “must-have” skill/ <for the workplace/ in the future>]/
  • 한 설문 조사에서,/ <거의 세 명이 네 명 경영진들 중>/ 봅니다/ EI를/ [필수적인 기술로/ <직장을 위한/ 미래의>]/
  • [as <the automatizing/ of routine tasks>/ bumps up/ [against the impossibility/ <of creating/ effective AI>/ [for activities/ that require/ emotional skill]]].
  • [왜냐하면 <자동화가/ 일상적인 업무들의>/ 부딪히기 때문에/ [불가능성에/ <제작하는 것의/ 효과적인 AI를>/ [활동들을 위한/ 요구하는/ 감성적 기술을]]].

📖 어법 설명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almost three”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see“.
  • ✅ 이유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the automatizingof routine tasks>/ bumps up/~]”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of creating/ effective AI>“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of“의 목적어 역할. ”효과적인 AI를 제작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며 수동태.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ctivities/ that require/ emotional skill”에서 “that”은 선행사, “activitie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감성적 기술을 요구하는 활동들”의 의미를 전달.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기업 경영진은 감성 지능(EI)이 미래 직장에서 필수적인 역량이 될 것이라고 본다. 문장 6도 이미 선택한 답이 정답임을 뒷받침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요약

  • ✔ AI가 직업을 대체할수록 감성 지능(EI)의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 ✔ AI는 감성적 메시지를 인식하고 흉내 내는 데 한계가 있다.
  • ✔ 감성을 감지하고 관리하는 능력은 AI가 쉽게 대체할 수 없는 영역이다.
  • ✔ 감성 지능(EI)이 필요한 직업과 사람들은 AI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 ✔ 많은 경영진이 감성 지능을 미래 직장의 필수 역량으로 보고 있다.

📌 선택지 분석

  • ✅ ② 미래의 직장에서는 감성 지능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이다. → 정답
  • 문장 2에서 "AI가 직업을 대체할수록 EI 능력이 높은 사람들에게 높은 가치가 부여될 것이라는 예측이 존재한다."라고 언급.
  • 문장 6에서 "경영진들이 감성 지능을 미래 직장의 필수 역량으로 보고 있다."라고 강조.
  • 전체 지문의 핵심 주제와 완벽하게 일치함.
  • ❌ ① 감성 지능의 결여는 직장 내 대인 관계 갈등을 심화시킨다. → 오답
  • 본문에서 감성 지능의 결여가 직장 내 대인 관계 갈등을 초래한다는 내용은 없음.
  • 감성 지능이 AI 시대에서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는 내용이므로 문맥과 맞지 않음.
  • ❌ ③ 미래 사회에서는 감성 지능을 갖춘 기계가 보편화될 것이다. → 오답
  •  문장 3에서 "AI는 감성적 메시지를 인식하고 흉내 내는 능력이 부족하다."라고 명시함.
  •  문장 4에서 "감성 지능을 갖춘 기계가 등장하기 어렵다."라는 점을 강조.
  •  AI가 감성 지능을 갖출 것이라는 내용이 아니라, EI를 갖춘 인간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는 내용이므로 정반대의 선택지.
  • ❌ ④ 미래에는 대부분의 직장 업무를 인공지능이 대신할 것이다. → 오답
  •  AI가 많은 직업을 대체할 것이라는 언급은 있으나, 감성 지능이 필요한 직업은 AI가 대체할 수 없다고 지적.
  •  문장 5에서 "EI 관련 직업은 AI로부터 안전하다."라고 명시됨.
  •  즉, AI가 모든 직장 업무를 대체할 것이라는 내용은 본문의 핵심 주장과 반대됨.
  • ❌ ⑤ 인간과 인공지능 간의 상호 작용은 감성 지능의 발달을 저해한다. → 오답
  •  인간과 AI의 상호 작용이 감성 지능을 저해한다는 내용은 없음.
  •  오히려 감성 지능이 AI 시대에서 더욱 중요한 역량이 될 것이라는 내용이므로 문맥과 맞지 않음.

🎯 정답 제시

  • 따라서, “② 미래의 직장에서는 감성 지능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이다."가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감성 지능(EI)은 AI 시대에서 필수 역량이다! 🧠💡

✅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22번 지문은 AI가 발전할수록 감성 지능(EI)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 핵심 내용 요약

  • AI가 직업을 대체할수록 감성 지능(EI)을 갖춘 사람들의 가치가 증가한다.
  •  감성을 감지하고 관리하는 능력은 AI가 쉽게 대체할 수 없는 영역이다.
  •  감성 지능(EI)이 필요한 직업과 사람들은 AI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  많은 경영진이 감성 지능을 미래 직장의 필수 역량으로 보고 있다.

📢 하지만, 이 글의 논리적 문제점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 🔹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감성 지능을 학습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음에도, AI가 영원히 감성 지능을 대체할 수 없다는 가정이 과연 타당한가? 🤔
  • 🔹 AI가 감성을 인식하는 기술이 발전하면 EI가 중요한 직업조차도 AI가 수행할 가능성은 없는가?
  • 🔹 즉, 미래 기술 발전에 대한 예측이 다소 단정적이며, 변화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이 지적될 수 있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시점에서 감성 지능(EI)은 AI가 대체하기 어려운 중요한 역량이라는 점은 분명합니다.

👉 AI가 발전하는 시대, 감성 지능을 키우는 것이 더 중요해질 것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의견을 댓글로 남겨 주세요! 😊🚀

📌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을 포함한 상세한 어법(문법) 설명은 독자들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도록 도움을 드렸을 것입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