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심리학 연구에서 자기 보고(self-report)는 얼마나 신뢰할 수 있을까?"
📌 심리학 연구에서 자기 보고(self-report) 방식은 연구 참가자들이 자신의 행동과 태도를 직접 보고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데이터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여러 가지 "왜곡(distortion)"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은 자기 보고 방식의 한계를 설명하며, 특히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social desirability bias)”이 응답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다룹니다.
📌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출제자가 의도한 핵심 개념과 정답을 추론하는 논리적 과정을 상세히 분석합니다.
📌 영어 어법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하는 전략을 함께 익혀보세요! 🚀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3점]
Research psychologists often work with self-report data, made up of participants’ verbal accounts of their behavior. This is the case ① whenever questionnaires, interviews, or personality inventories are used to measure variables. Self-report methods can be quite useful. They take advantage of the fact that people have a unique opportunity to observe ② themselves full-time. However, self-reports can be plagued by several kinds of distortion. One of the most problematic of these distortions is the social desirability bias, which is a tendency to give ③ socially approved answers to questions about oneself. Subjects who are influenced by this bias work overtime trying to create a favorable impression, especially when subjects ④ ask about sensitive issues. For example, many survey respondents will report that they voted in an election or ⑤ gave to a charity when in fac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y did not.
문장별 분석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Research psychologists often work with self-report data, made up of participants’ verbal accounts of their behavior.
🔑 주요 단어 정리
- research psychologist: 연구 심리학자
- often: 자주, 흔히 (동의어: frequently, regularly / 반의어: rarely, seldom)
- work: (직업에 따라) 일하다
- self-report: 자기 보고 (동의어: self-assessment, personal statement)
- make up: 구성하다, 이루다 (동의어: comprise, constitute / 반의어: exclude, omit)
- of~: (재료의 전치사) ~로
- participant: 참가자
- verbal: 구두의, 언어의, 말로 하는 (동의어: spoken, oral / 반의어: written, nonverbal)
- account: 설명, 서술 (동의어: report, narrative)
- behavior: 행동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Research psychologists often work/ [with self-report data/, (which or that were) made up/ <of participants’ verbal accounts/ of their behavior>].
- 연구 심리학자들은 자주 일합니다(연구합니다)/ [자기 보고 데이터을 가지고/, 구성된/ <참가자들의 구두상의 설명으로/ 그들의 행동에 대한>].
📖 어법 설명
-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self-report data/, (which or that were) made up/ <of participants’ verbal accounts/ of their behavior>“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self-report data“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we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잠가자들의 그들의 행동에 대한 구두상의 설명으로 구성된 자기 보고 데이터“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연구 심리학자들은 참가자들이 자신의 행동을 언어적으로 보고한 데이터를 활용한다.
📌 문장 2
This is the case ① whenever questionnaires, interviews, or personality inventories are used to measure variables.
🔑 주요 단어 정리
- case: 경우, 사실 (동의어: instance, example / 반의어: exception, anomaly)
- whenever~: ~할 때마다, 언제든지 (동의어: anytime, every time)
- questionnaire: 설문지 (동의어: survey, poll)
- inventory: 목록, 목록 조사 (동의어: list, catalog)
- variable: 변수 (동의어: factor, elemen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is the case/
- 이것은 사실입니다(이것이 그 경우입니다)/
- ① [whenever <questionnaires, interviews, or personality inventories>/ are used/ <to measure/ variables>].
- ① [<설문지들, 인터뷰들 또는 성격 검사 도구들이>/ 사용될 때마다(사용되는 언제든지)/ <측정하기 위해서 / 변수들을>].
📖 어법 설명
- ✅ 시간의 부사절 “whenever + 주어 + 동사”
- “[whenever <questionnaires, interviews, or personality inventories>/ are used/~]”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마다/~하는 언제든지”의 의미를 전달.
- ✅ 수동태[be + pp]
- “are used”에서 사용된 어법. "사용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are used/ <to measure/ variables>”에서 사용된 용법. “are used”를 수식.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설문지, 인터뷰, 성격 검사가 변수 측정을 위해 사용될 때마다 이것이 해당됨.
- 🔍 어법적 적절성 검토 ①
- “whenever”는 접속사로 “주어+동사”와 연결되어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문장 3
Self-report methods can be quite useful. They take advantage of the fact that people have a unique opportunity to observe ② themselves full-time.
🔑 주요 단어 정리
- method: 방법, 방식
- useful: 유용한
- take advantage of~: ~을 활용하다 (동의어: utilize, make use of / 반의어: ignore, neglect)
- unique: 독특한, 특별한 (동의어: one-of-a-kind, unparalleled / 반의어: common, ordinary)
- opportunity: 기회
- observe: 관찰하다 (동의어: notice, watch / 반의어: ignore, overlook)
- full-time: 전적으로, 24시간 내내 (동의어: constantly, continuously / 반의어: part-time, occasionall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elf-report methods can be quite useful.
- 자기 보고 방식은 꽤 유용할 수 있습니다.
- They take advantage of/ [the fact/ [that people have/ [a unique opportunity/ <to observe/ ② themselves/ full-time>]]].
- 그것들은 활용합니다/ [사실을/ [사람들이 가진다는/ [독특한 기회를/ <관찰할/ ② 그들 자신을/ 전적으로>]]].
📖 어법 설명
-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the fact/ [that~]]"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the fact“을 설명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a unique opportunity/ <to observe/ ② themselves/ full-time>]”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a unique opportunity”를 수식.
- ✅ 재귀 대명사 ”themselves“
- ”<to observe/ ② themselves/ full-time>“에서 사용된 어법. ”문장의 주어 =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의 관계인 경우.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는 반드시 재귀 대명사를 사용해야 함.
- 🔍 어법적 적절성 검토 ②
- ②"themselves"는 문맥상 주어인 "they(=people)"을 지칭하는 재귀 대명사로 사용되어 어법상 적절함.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자기 보고 방법은 유용하며, 사람들은 항상 자신을 관찰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가지고 있다.
📌 문장 4
However, self-reports can be plagued by several kinds of distortion.
🔑 주요 단어 정리
- plague: 괴롭히다, (여기서는) 오염시키다(→pollute, contaminate)
- several kinds of~: 여러 종류의~
- distortion: 왜곡, 왜곡된 정보 (동의어: misrepresentation, falsification / 반의어: accuracy, precision)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ever,/ self-reports can be plagued(→polluted or contaminated)/ by several kinds of distortion.
- 그러나,/ 자기 보고 방식은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여러 종류들의 왜곡에 의해.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수동태[조동사 + be + pp]
- “can be plagued(→polluted or contaminated)”에서 사용된 어법. "오염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 문맥상 적절한 어휘 사용의 필요성
- “plague”는 “괴롭히다/성가시게 하다”의 의미로 문맥상 “오염시키다(pollute or contaminate)”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한국어 표현 중 “치석/치태”를 의미하는 “플라그(déntal pláque)”와 발음이 비슷하여 발생한 오류로 보입니다.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그러나 자기 보고 방식은 여러 형태의 왜곡으로 인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문장 5
One of the most problematic of these distortions is the social desirability bias, which is a tendency to give ③ socially approved answers to questions about oneself.
🔑 주요 단어 정리
- one of the 최상급: 가장 ~한 것들 중 하나(the+형용사 = 복수 보통명사)
- problematic: 문제가 있는 (동의어: troublesome, difficult / 반의어: straightforward, easy)
- tendency: 경향 (동의어: inclination, habit)
- social desirability bias: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
- approve: 승인하다 (동의어: accept, endorse / 반의어: reject, disapprov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e/ <of the most problematic/ of these distortions>]/ is the social desirability bias/, which is [a tendency/ <to give / ③ socially approved answers>/ <to questions/ about oneself>].
- [하나는/ <가장 문제가 되는 것들 중/ 이러한 왜곡들 중에서>]/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하나의 성향입니다/ <제공하는/ ③ 사회적으로 승인된 답변들을>/ <질문들에 대해/ 자신에 관한>].
📖 어법 설명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One”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the social desirability bias/, which is [a tendency/ <to give / ③ socially approved answers>/ <to questions/ about oneself>]”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 전체나 일부(the social desirability bias)를 수식하여, “접속사 + 대명사(and it)”로 해석합니다. 이 때, “that”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a tendency/ <to give / ③ socially approved answers>/ <to questions/ about oneself>]”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a tendency”를 수식.
- 🔍 어법적 적절성 검토
- ③"socially“는 부사로, 형용사인, ”approved"를 수식하는 구조는 어법상 적절합니다. 부사는 동사, 형용사, 부사, 문장 전체를 수식합니다.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자기 보고 방식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왜곡 중 하나는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이다.
📌 문장 6
Subjects who are influenced by this bias work overtime trying to create a favorable impression, especially when subjects ④ ask about sensitive issues.
🔑 주요 단어 정리
- subject: 연구 대상, 실험 참가자 (동의어: participant, respondent)
- be influenced by ~: ~의 영향을 받다 (동의어: be affected by, be swayed by)
- work overtime: 열심히 노력하다, 초과 근무하다 (동의어: put in extra effort, overwork)
- favorable: 호의적인, 긍정적인 (동의어: positive, advantageous / 반의어: unfavorable, negative)
- impression: 인상 (동의어: perception, image)
- especially: 특히 (동의어: particularly, notably)
- sensitive issue: 민감한 문제 (동의어: controversial topic, delicate matter)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ubjects/ who are influenced/ by this bias]/ work overtime/
- [연구 대상들은/ 영향을 받는/ 이 편향에 의해]/ 초과 근무를 합니다/
- [trying/ <to create/ a favorable impression>],/
- [시도(노력)하면서/ <창출하기 위해서/ 긍정적인 인상을>],/
- especially/ [when subjects ④ ask(→are asked)/ about sensitive issues].
- 특히/ [연구 대상들이 ④ 질문할 때(→질문받을 때)/ 민감한 문제들에 대해서].
📖 어법 설명
-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Subjects/ who are influenced/ by this bias]”에서 “who”는 선행사, “Subject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이 편향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연구 대상들”의 의미를 전달.
- ✅ 수동태[be + pp]
- “are influenced”와 “ask(→are asked)”에서 사용된 어법. 각각 "영향을 받다"와 “질문받다”의 의미로 수동태.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Subjects”로 복수, 따라서 동사구도 복수 형태인, ”work overtime“.
- ✅ 분사구문
- “[trying/~]”은 “[while they try/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subjects)”가 생략되고 동사 “try”가 “try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rying/ <to create/ a favorable impression>”에서 사용된 용법. 현재분사 “trying”을 수식.
-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subjects ④ ask(→are asked)/~]”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연구 대상자들은 긍정적인 인상을 남기기 위해 노력하며, 특히 민감한 문제에 대해 질문을 받을 때 더욱 그렇다.
- 🔍 어법적 적절성 검토 ④
- 📢 “[when subjects ④ ask(→are asked)/ about sensitive issues]”에서 🚨 “ask“는 ”are asked“의 수동태로 변경해야 의미상, 어법상 적절합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7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7
For example, many survey respondents will report that they voted in an election or ⑤ gave to a charity when in fac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y did not.
🔑 주요 단어 정리
- for example: 예를 들어 (동의어: for instance, to illustrate)
- survey respondent: 설문 응답자 (동의어: participant, interviewee)
- report: 보고하다, 응답하다 (동의어: state, declare)
- vote: 투표하다 (동의어: cast a ballot, elect)
- election: 선거
- charity: 자선 단체 (동의어: nonprofit organization, humanitarian aid)
- give to a charity: 자선 단체에 기부하다
- in fact: 사실상 (동의어: actually, in reality)
- possible: 가능한 (반의어: impossible)
- determine: 판단하다, (여기서는) 확인하다 (동의어: verify, ascertain)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example,/ many survey respondents will report/ [that they <voted/ in an election>/ or/ <⑤ gave/ to a charity>/ [when/ in fac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y did not]]]].
- 예를 들어,/ 많은 설문 응답자들은 보고할 것입니다/ [그들이 <투표했다고/ 선거에서>/ 또는/ <⑤ 기부했다고/ 자선 단체에>/ [사실상/ 그것이 가능할 때/ [판단하는(확인하는) 것이/ [그들이 그러지 않았다는 것을]]]].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구 "For exampl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목적절을 이끄는 "that"
- "will report/ [that~]"와 ”to determine/ [that~]“에서 "that"은 각각 동사구, "will report"와 to 부정사 "to determine"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각각 ”~라고“와 ”~라는 것을“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자주 출제됩니다.
- ✅ 병렬 구조 – “that 절” 내의 두 개의 동사구를 or로 연결
- “<voted/ in an election>”와 “<⑤ gave/ to a charity>”를 or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in fact/ it is possible/~]”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y did not]”에서 ”it“는 가주어, ”to determine~”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it(가주어)’와 ‘to 부정사(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 대동사 did not
- “[that they did not]”에서 사용된 어법. “did not (<vote/ in an election>/ or/ <⑤ give/ to a charity>)의 생략된 형태로 ”be 동사“나 ”조동사“로 대체될 수 없습니다.
- 💡 문장 7의 핵심 내용
- 예를 들어, 많은 설문 응답자들은 자신이 선거에서 투표했고 자선 단체에 기부했다고 응답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 확인될 수 있다.
- 🔍 어법적 적절성 검토 ⑤
- "⑤ gave"는 병렬 구조로 과거형 동사구가 and로 연결된 구조와 의미로 어법적으로 적절함.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요약
- ✔ 자기 보고(self-report) 방식은 연구 심리학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 ✔ 그러나 자기 보고 방식은 왜곡(distortion)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social desirability bias)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을 가진 응답자들은 긍정적인 인상을 주기 위해 실제와 다르게 답할 가능성이 높다.
- ✔ 예를 들어, 사람들이 투표하거나 기부했다고 응답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종종 있다.
📌 선택지 분석
- ✅ ① whenever → 적절함
- "whenever"는 "주어 + 동사"를 이끄는 부사절 접속사로, "~할 때마다"의 의미를 전달하며 문법적으로 적절하다.
- 문제 없음
- ✅ ② themselves → 적절함
- "themselves"는 앞 문장의 "people"을 가리키며, 재귀대명사로서 문맥상 적절하다.
- 문제 없음
- ✅ ③ socially approved → 적절함
- "socially"는 부사로, 형용사 "approved"를 수식하는 구조가 문법적으로 올바르다.
- 문제 없음
- 🚨 ④ ask → are asked → 오답 (정답)
- "when subjects ask about sensitive issues"에서 "subjects"는 연구 대상(피실험자)을 의미하므로, "질문하는 것"이 아니라 "질문받는 것"이 문맥상 적절하다.
- 따라서 수동태 "are asked"로 수정해야 문법적으로 올바르다.
- 정답 🎯
- ✅ ⑤ gave → 적절함
- "voted in an election"과 병렬 구조를 이루는 동사 "gave"는 어법적으로 적절하다.
- 문제 없음
🎯 정답 제시
- 따라서, ”④ ask → are asked“가 가장 적절합니다. ✅
결론
📌 자기 보고 방식은 연구에서 중요한 데이터 수집 방법이지만,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과 같은 왜곡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구 참가자들은 자신을 긍정적으로 보이기 위해 실제 사실과 다른 응답을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이번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에서는 어법 문제 해결의 핵심 전략으로 수동태와 능동태 구별(④번 ask → are asked)을 중점적으로 다뤘습니다.
✔ 주어가 능동적으로 행동하는지, 아니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지를 항상 확인하세요.
✔ 문장의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면, 정답 도출이 훨씬 쉬워집니다.
📌 앞으로도 반복 학습과 패턴 인식을 통해 어법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하는 방법을 익혀보세요! 🚀
📌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고리 역할을 하는 청크(chunk)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어법(문법) 설명이 지문을 200%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