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31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영어 모의고사 빈칸 추론 문제, 빠르게 정답을 찾는 전략!"
📌 영어 모의고사에서 빈칸 추론 문제는 많은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유형 중 하나입니다.
📌 하지만 빈칸이 포함된 문장을 정확히 분석하고, 앞뒤 문장과의 논리적 연결을 찾으면 빠르게 정답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 이번 글에서는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31번 빈칸 추론 문제를 분석하며, 효율적인 문제 풀이 전략을 제공합니다.
📌 정답을 빠르게 찾는 방법을 익히고, 수능 및 모의고사 대비 실력을 키워보세요!
📌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하도록 도움을 드릴 것입니다.
📌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
- ✅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
- ✅ 빈칸이 문장 2에 위치한 지문, 문장 1부터 독해하며 단서를 찾고
- ✅ 아울러, 빠르게 단서를 찾아 시간을 줄이는 방법으로 접근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1.
In the course of his research on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Michael Porter noticed a peculiar pattern: Businesses seemed to be profiting from regulation. He also discovered that the stricter regulations were prompting more __________ than the weaker ones. The Dutch flower industry provides an illustration. For many years, the companies producing Holland’s world-renowned tulips and other cut flowers were also contaminating the country’s water and soil with fertilizers and pesticides. In 1991, the Dutch government adopted a policy designed to cut pesticide use in half by 2000 ― a goal they ultimately achieved. Facing increasingly strict regulation, greenhouse growers realized they had to develop new methods if they were going to maintain product quality with fewer pesticides. In response, they shifted to a cultivation method that circulates water in closed-loop systems and grows flowers in a rock wool substrate. The new system not only reduced the pollution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it also increased profits by giving companies greater control over growing conditions.
① innovation ② resistance ③ fairness
④ neglect ⑤ unity
문장별 분석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31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In the course of his research on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Michael Porter noticed a peculiar pattern: Businesses seemed to be profiting from regulation.
🔑 주요 단어 정리
- in the course of ~: ~의 과정에서 (동의어: during, throughout / 반의어: outside of)
- research: 연구 (동의어: study, investigation / 반의어: ignorance, neglect)
- on~: ~에 대한
- business strategy: 사업 전략
- environment: 환경 (동의어: surroundings, ecosystem / 반의어: artificial setting)
- notice: 알아차리다 (동의어: observe, perceive, detect / 반의어: overlook, ignore)
- peculiar: 특이한, 이상한 (동의어: unusual, strange, distinctive / 반의어: common, ordinary)
- pattern: 패턴, 양식 (동의어: trend, model, structure / 반의어: anomaly, deviation)
- business: 기업, 산업
- seem: ~처럼 보이다 (동의어: appear, look / 반의어: be certain, be clear)
- profit from ~: ~로부터 이익을 얻다 (동의어: benefit from, gain from / 반의어: suffer from, lose due to)
- regulation: 규제 (동의어: rule, law, restriction / 반의어: deregulation, chaos)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e course/ [of his research/ <on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 [그 과정에서/ [그의 연구의/ <사업 전략과 환경에 대한>]],/
- Michael Porter noticed/ a peculiar pattern/
- 마이클 포터는 알아차렸습니다/ 특이한 패턴을/
- :/ Businesses seemed to be profiting/ from regulation.
- 즉/ 기업들은 이익을 얻고 있었던 것처럼 보였다는/ 규제로부터.
📖 어법 설명
-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seemed to be profiting”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구 “seemed”의 목적어 역할.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마이클 포터는 사업 전략과 환경에 대한 연구를 하던 중, 특이한 패턴, 즉, 기업들은 규제로 인해 오히려 이익을 얻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는 것을 발견했다.
📌 문장 2
He also discovered that the stricter regulations were prompting more __________ than the weaker ones.
🔑 주요 단어 정리
- discover: 발견하다 (동의어: find out, uncover / 반의어: miss, overlook)
- strict: 엄격한 (동의어: rigid, severe, tough / 반의어: lenient, loose)
- regulation: 규제 (동의어: rule, law, restriction / 반의어: deregulation, chaos)
- prompt: 유도하다, 촉진하다 (동의어: encourage, stimulate, trigger / 반의어: delay, hinder)
- weak: 약한 (동의어: feeble, lenient, ineffective / 반의어: strong, stric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e also discovered/ [that the stricter regulations were prompting/ more __________/ than the weaker ones].
- 그는 또한 발견했습니다/ [더 엄격한 규제가 촉진하고 있었다는 것을/ 더 많은 __________을/ 덜 엄격한 규제보다].
📖 어법 설명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discovered/ [that~]"에서 "that"은 동사, "discovere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비교급 "stricter" vs. "weaker"
- 비교급 형태로, "더 엄격한 규제"와 "덜 엄격한 규제"를 대조하고 있음.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마이클 포터가 더 엄격한 규제가 무언가를 촉진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 💡 빈칸 추론 1
- "더 엄격한 규제가 더 많은 무언가를 촉진하고 있었다"고 진술하고 있고 문장 1에서 마이클 포터가 알아차렸던 특이한 패턴은 “기업들이 규제로부터 이익을 얻고 있다는 것”으로 문맥상 이익과 연관되는 말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보기를 확인하면, “① innovation(혁신)”이나 “⑤ unity(통일, 협조, 화합)” 정도가 적절해 보입니다. 구체적인 단서를 찾기 위해 문장 3으로 이동하여 독해하도록 합니다.
📌 문장 3
The Dutch flower industry provides an illustration.
🔑 주요 단어 정리
- Dutch: 네덜란드의
- flower industry: 화훼 산업
- provide: 제공하다 (동의어: offer, supply, present / 반의어: take away, withhold)
- illustration: 사례, 예시 (동의어: example, demonstration / 반의어: abstraction, vagueness)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Dutch flower industry provides/ an illustration.
- 네덜란드 화훼 산업이 제공합니다/ 하나의 사례를.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네덜란드 화훼 산업이 이 개념을 설명하는 사례를 제공한다.
- 💡 빈칸 추론 2
- 사례의 내용에 빈칸에 대한 단서가 있다고 진술하고 있으므로 사례를 보도록 합니다.
📌 문장 4
For many years, the companies producing Holland’s world-renowned tulips and other cut flowers were also contaminating the country’s water and soil with fertilizers and pesticides.
🔑 주요 단어 정리
- company: 기업, 회사
- produce: 생산하다 (동의어: manufacture, create / 반의어: consume, destroy)
- world-renowned: 세계적으로 유명한 (동의어: famous, well-known / 반의어: obscure, unknown)
- cut flower: 절화, 잘린 꽃
- contaminate: 오염시키다 (동의어: pollute, taint / 반의어: purify, cleanse)
- soil: 토양, 흙
- fertilizer: 비료
- pesticide: 농약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many years,/ [the companies/ (which or that were) producing/ <Holland’s world-renowned tulips and other cut flowers>]/ were also contaminating/ [the country’s <water and soil>]/ <with fertilizers and pesticides>.
- 여러 해 동안,/ [기업들은/ 생산하고 있었던/ <네덜란드의 세계적으로 유명한 튤립들과 다른 절화(잘린 꽃)들을>]/ 또한 오염시키고 있었습니다/ [그 나라의 <물과 토양을>]/ <비료와 농약으로>.
📖 어법 설명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companies”로 복수, 따라서 동사구도 복수 형태인, ”were also contaminating“.
-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the companies/ (which or that were) producing/ <Holland’s world-renowned tulips and other cut flowers>]“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the companie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we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하며 ”네덜란드의 세계적으로 유명한 튤립들과 다른 절화들을 생산하고 있었던 기업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네덜란드의 화훼 기업들은 아름다운 꽃을 생산하는 동시에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었다.
📌 문장 5
In 1991, the Dutch government adopted a policy designed to cut pesticide use in half by 2000 ― a goal they ultimately achieved.
🔑 주요 단어 정리
- adopt: 채택하다, 도입하다 (동의어: implement, embrace / 반의어: reject, abandon)
- policy: 정책 (동의어: strategy, guideline / 반의어: anarchy, disorder)
- design: 설계하다, 계획하다 (동의어: plan, devise / 반의어: neglect, ignore)
- cut: 줄이다
- in half: 절반으로
- ultimately: 결국, 궁극적으로 (동의어: eventually, finally / 반의어: initially, temporarily)
- achieve: 이루다, 달성하다 (동의어: accomplish, attain / 반의어: fail, los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1991,/ the Dutch government adopted/ [a policy/ (which or that was) designed/ <to cut/ pesticide use/ in half/ by 2000>]/ ― [a goal/ (which or that) they ultimately achieved].
- 1991년에,/ 네덜란드 정부는 채택했습니다/ [한 정책을/ 설계된/ <줄이기 위해서/ 농약 사용을/ 절반으로/ 2000년까지>]/ 즉/ [목표였던/ 그들이 궁극적으로 달성했던].
📖 어법 설명
-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a policy/ (which or that was) designed/ <to cut/ pesticide use/ in half/ by 2000>]“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a policy“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was)“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2000년까지 농약 사용을 절반으로 줄이기 위해서 설계된 한 정책“의 의미를 전달.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designed/ <to cut/ pesticide use/ in half/ by 2000>”에서 사용된 용법. “designed”를 수식.
-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a goal/ (which or that) they ultimately achieved]]”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a goal”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그들이 궁극적으로 달성했던 목표”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1991년, 네덜란드 정부는 2000년까지 농약 사용을 절반으로 줄이는 정책을 도입했고, 결국 이 목표를 달성했다.
📌 문장 6
Facing increasingly strict regulation, greenhouse growers realized they had to develop new methods if they were going to maintain product quality with fewer pesticides.
🔑 주요 단어 정리
- face: 직면하다 (동의어: encounter, confront / 반의어: avoid, evade)
- increasingly: 점점 더 (동의어: progressively, more and more / 반의어: decreasingly, less and less)
- strict: 엄격한 (동의어: rigid, severe, tough / 반의어: lenient, flexible)
- realize: 깨닫다, 인식하다 (동의어: understand, recognize / 반의어: ignore, misunderstand)
- develop: 개발하다 (동의어: create, invent / 반의어: destroy, dismantle)
- method: 방법 (동의어: technique, approach / 반의어: improvisation, randomness)
- maintain: 유지하다 (동의어: sustain, keep / 반의어: abandon, discontinu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acing/ increasingly strict regulation],/
- [직면하면서/ 점점 더 엄격한 규제에],/
- greenhouse growers realized/ [(that) they had to develop/ new methods]/
- 온실 재배자들은 깨달았습니다/ [그들이 개발해야만 한다는 것을/ 새로운 방법들을]/
- [if they were going to maintain/ product quality/ with fewer pesticides].
- [만약 그들이 제품 품질을 유지할 것이라면/ 더 적은 수의 농약들로].
📖 어법 설명
- ✅ 분사구문
- “[Facing/~]”은 “[While they faced/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greenhouse growers)”가 생략되고 동사 “faced”가 “fac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realized/ [(that)~]"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realize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they were going to maintain/~]”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온실 재배자들은 점점 더 엄격한 규제에 직면했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을 개발해야 함을 깨달았다.
- 💡 빈칸 추론 3
- 📢 “greenhouse growers realized/ [(that) they had to develop/ new methods]”의 표현으로부터 빈칸에 들어갈 말은 “① innovation(혁신)”임을 알 수 있습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①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7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7
In response, they shifted to a cultivation method that circulates water in closed-loop systems and grows flowers in a rock wool substrate.
🔑 주요 단어 정리
- in response: 이에 대응하여 (동의어: as a reaction, as a result / 반의어: regardless)
- shift to ~: ~로 전환하다 (동의어: switch to, transition to / 반의어: remain with, stick to)
- cultivation: 경작, 재배 (동의어: farming, agriculture / 반의어: abandonment, neglect)
- method: 방법
- circulate: 순환시키다 (동의어: flow, rotate / 반의어: stagnate, stop)
- closed-loop system: 폐쇄 순환 시스템
- grow: 기르다, 재배하다 (동의어: cultivate, raise / 반의어: wither, kill)
- rock wool substrate: 암면 배양판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response,/ they shifted/ [to a cultivation method/ that <circulates/ water/ in closed-loop systems>/ and/ <grows/ flowers/ in a rock wool substrate>].
- 이에 대응하여,/ 그들은 전환했습니다/ [재배 방법으로/ <순환시키는/ 물을/ 폐쇄 순환 시스템 내에서>/ 그리고/ <재배하는/ 꽃을/ 암면 배양판에서>].
📖 어법 설명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 cultivation method/ that <circulates/ water/ in closed-loop systems>/ and/ <grows/ flowers/ in a rock wool substrate>”에서 “that”은 선행사, “a cultivation method”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폐쇄 순환 시스템 내에서 물을 순환시키고 암면 배양판에서 꽃을 재배하는 재배 장법”의 의미를 전달.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 ✅ 병렬 구조 – “관계절” 내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circulates/ water/ in closed-loop systems>”와 “<grows/ flowers/ in a rock wool substrate>”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문장 8의 핵심 내용
- 이에 대응하여, 온실 재배자들은 폐쇄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새로운 재배 방식으로 전환했다.
📌 문장 8
The new system not only reduced the pollution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it also increased profits by giving companies greater control over growing conditions.
🔑 주요 단어 정리
- reduce: 줄이다 (동의어: decrease, cut down / 반의어: increase, expand)
- pollution: 오염 (동의어: contamination, impurity / 반의어: purification, cleanliness)
- increase: 증가시키다 (동의어: boost, enhance / 반의어: decrease, reduce)
- profit: 이익 (동의어: earnings, revenue / 반의어: loss, deficit)
- control over~: ~에 대한 통제력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new system/ [not only reduced/ [the pollution/ (which or that was)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 그 새로운 시스템이/ [줄였을 뿐만 아니라/ [오염을/ 방출되는/ 환경으로]]/
- [;(→but) it also increased/ profits/ [by giving/ companies/ <greater control/ over growing conditions>]].
- [그것이(그 새로운 시스템이) 또한 증가시켰다/ 이익(들)을/ [주는 것에 의해서(줌으로써)/ 기업(들)에게/ <더 큰 통제력을/ 재배 환경들에 대한>]].
📖 어법 설명
- ✅ "not only A but also B" 병렬 구조
- "[not only reduced/~]/ [;(→but) it also increased/~]"에서 사용된 어법. 병렬 구조에서는 두 번째 동사 형태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 문제로 자주 출제합니다.
- ✅ semi-colon(;)의 but으로의 변경 필요성
- "[not only reduced/~]/ [;(→but) it also increased/~]"에서 병렬 구조 형태임을 이미 설명드렸고 semi-colon(;)은 문장이나 문장의 성분을 보충 설명하거나 부연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그러나 “but”을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는 “but”으로 변경되어야 어법상 적절합니다.
-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the pollution/ (which or that was)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the pollution“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was)“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환경으로 방출되는 오염“의 의미를 전달.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y giving/ companies/ <greater control/ over growing conditions>]“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by“의 목적어 역할. ”기업들에게 재배 환경들에 대한 더 큰 통제력을 주는 것에 의해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9의 핵심 내용
- 새로운 시스템은 환경 오염을 줄였을 뿐만 아니라, 기업이 재배 환경을 더 잘 통제할 수 있도록 하여 이익도 증가시켰다.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 ✅ 더 엄격한 규제가 더 많은 혁신을 촉진한다는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됨.
- ✅ 네덜란드 화훼 산업 사례를 통해 엄격한 규제가 기업들에게 새로운 해결책을 강요하고, 결과적으로 더 나은 생산 방식을 개발하게 만든다는 점이 강조됨.
- ✅ 이를 통해 혁신이 어떻게 기업의 이익 증가와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지 설명됨.
🔍 핵심 문제 해결 전략
- ✅ 빈칸이 포함된 문장(문장 2)을 우선적으로 분석하고, 논리적 연결을 위해 문장 3 이후 내용을 검토함.
- ✅ 빈칸 문장에서 "더 엄격한 규제가 더 많은 __을 촉진했다"는 개념을 중심으로 보기를 확인함.
- ✅ 네덜란드 화훼 산업 사례를 통해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단어를 결정함.
📌 핵심 단서 정리
- 문장 1에서 마이클 포터가 발견한 패턴 → 기업들이 규제로부터 이익을 얻고 있음.
- 문장 2에서 빈칸 → 더 엄격한 규제가 더 많은 __을 촉진함.
- 문장 6에서 온실 재배자들이 새로운 방법을 개발해야 함을 깨달음.
- 문장 7~9에서 새로운 재배 방식이 도입되었으며, 결과적으로 환경 오염 감소 및 이익 증가로 이어짐.
- ➡ 즉, 더 엄격한 규제가 혁신적인 해결책을 강요하여 새로운 생산 방식(혁신)으로 이어졌다는 논리가 형성됨.
- ➡ 따라서 빈칸에는 "혁신(innovation)"이 들어가는 것이 가장 적절함.
💡 정답 제시
- 따라서, ”① innovation(혁신)“이 가장 적절함.
- 📝 빈칸을 포함한 문장을 자연스럽게 만들면 → "The stricter regulations were prompting more innovation than the weaker ones."
- ✅ 즉, 더 엄격한 규제가 더 많은 혁신을 촉진하고 있었다.
✅ 최적의 풀이 전략
- 🔹 실전에서는 빈칸이 포함된 문장을 먼저 분석한 후, 문장 3~6을 검토하여 정답을 결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
- 🔹 이번 문제에서는 "innovation(혁신)"이 사람들을 새로운 해결책으로 이끄는 개념이 핵심 단서가 되었음.
- 🔹 따라서 정답은 ①번 innovation!
결론
"빈칸 추론 문제, 논리적 연결이 핵심이다!"
📌 영어 빈칸 추론 문제는 빈칸이 포함된 문장을 중심으로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이번 문제에서는 더 엄격한 규제가 더 많은 혁신을 촉진한다는 논리를 중심으로 정답을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 앞뒤 문장을 통해 빈칸의 역할을 파악하고, 문맥에 맞는 어휘를 선택하는 연습이 중요합니다.
📌 수능 영어 독해에서 빈칸 추론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풀기 위해서는, 논리적 연결과 핵심 단서를 찾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 앞으로도 꾸준한 연습을 통해 영어 독해 실력을 향상시키세요! 🚀
📌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자부합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