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33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영어 빈칸 추론 문제, 논리적 사고로 해결하는 방법!"
📌 영어 모의고사에서 빈칸 추론 문제는 논리적 연결을 파악하는 능력을 요구하는 대표적인 유형입니다.
📌 하지만 빈칸이 포함된 문장을 정확히 분석하고, 앞뒤 문장과의 논리적 관계를 이해하면 정답을 빠르고 정확하게 도출할 수 있습니다.
📌 이번 글에서는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33번 빈칸 추론 문제를 분석하며, 효율적인 문제 풀이 전략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문에 포함된 논리적 오류와 그 대안을 제시합니다.
📌 논리적 사고력을 키우고, 수능 및 모의고사 대비 실력을 향상시켜 보세요!
💡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
- ✅ 빈칸이 포함된 문장을 우선적으로 분석한 후,
- ✅ 앞뒤 문장을 연결하여 논리적 흐름을 확인.
- ✅ 보기를 분석하여 문맥에 가장 적합한 단어를 선택.
📌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3.
In adolescence many of us had the experience of falling under the sway of a great book or writer. We became entranced by the novel ideas in the book, and because we were so open to influence, these early encounters with exciting ideas sank deeply into our minds and became part of our own thought processes, affecting us decades after we absorbed them. Such influences enriched our mental landscape, and in fact our intelligence depends on the ability to absorb the lessons and ideas of those who are older and wiser. Just as the body tightens with age, however, so does the mind. And just as our sense of weakness and vulnerability motivated the desire to learn, so does our creeping sense of superiority slowly close us off to new ideas and influences. Some may advocate that we all become more skeptical in the modern world, but in fact a far greater danger comes from ___________________ that burdens us as individuals as we get older, and seems to be burdening our culture in general. [3점]
① the high dependence on others
② the obsession with our inferiority
③ the increasing closing of the mind
④ the misconception about our psychology
⑤ the self-destructive pattern of behavior
문장별 분석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33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6
Some may advocate that we all become more skeptical in the modern world, but in fact a far greater danger comes from ___________________ that burdens us as individuals as we get older, and seems to be burdening our culture in general.
🔑 주요 단어 정리
- advocate: 주장하다, 지지하다 (동의어: support, promote / 반의어: oppose, reject)
- skeptical: 회의적인 (동의어: doubtful, suspicious / 반의어: trusting, gullible)
- modern world: 현대 사회
- far greater: 훨씬 더 큰
- danger: 위험 (동의어: threat, risk / 반의어: safety, security)
- burden: 부담을 주다 (동의어: weigh down, oppress / 반의어: relieve, lighten)
- as individuals: 개인으로서
- in general: 전반적으로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me may advocate/ [that we all (should) become more skeptical/ in the modern world],/
- 일부 사람들은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더 회의적이어야 한다고/ 현대 사회에서],/
- but/ in fact/ a far greater danger comes/ [from ___________________/ that [burdens/ <us/ as individuals>/ [as we get older]],/ and/ [seems to be burdening/ our culture/ in general]].
- 그러나/ 사실/ 훨씬 더 큰 위험이 옵니다/ [___________________로부터/ [부담을 주는/ <우리에게/ 개인들로서의>/ [우리가 더 늙어감에 따라서]],/ 그리고/ [부담을 주는 것처럼 보이는/ 우리의 문화에/ 전반적으로]].
📖 어법 설명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조동사 should의 생략
- "may advocate/ [that we all (should) become more skeptical/~]"에서 "that"은 동사구, "may advocate"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주장, 명령, 결정, 충고, 제안“ 뜻의 동사+that 절~”에서 “that 절” 내의 동사는 “should”가 생략된 동사원형이 사용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비교급 강조 부사
- ”far greater danger“에서 사용한 어법.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훨씬”의 의미를 전달.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관계절 내 동사구의 병렬 연결
- “___________________/ that [burdens/ <us/ as individuals>/ [as we get older]],/ and/ [seems to be burdening/ our culture/ in general]”에서 "that"는 선행사인 "“___________________"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우리가 더 늙어감에 따라서 개인들로서의 우리에게 부담을 주고 전반적으로 우리의 문화에 부담을 주는 것처럼 보이는 ___________________”의 의미를 전달.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그러면서,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한 병렬 구조.
- ✅ 시간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we get older]”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함에 따라서”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현대 사회에서 회의적인 태도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지만, 더 큰 위험은 우리가 나이가 들면서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부담이 되는 어떤 것으로부터 온다.
- 🔍 빈칸 추론 1
- 문장 6의 종속절과 주절의 상관관계로부터 빈칸에는 “회의적이 되는 것”아닌 다른 요인으로 더 큰 위험이 나온다고 진술하고 있습니다. 빈칸에 대한 단서가 부족하므로, 빈칸에서 가장 가까운 문장인 문장 5로 이동하여 좀 더 구체적인 단서를 찾도록 합니다.
📌 문장 5
And just as our sense of weakness and vulnerability motivated the desire to learn, so does our creeping sense of superiority slowly close us off to new ideas and influences.
🔑 주요 단어 정리
- just: 바로
- sense: 감각, 인식 (동의어: awareness, perception / 반의어: ignorance, insensitivity)
- weakness: 약함 (동의어: frailty, feebleness / 반의어: strength, resilience)
- vulnerability: 취약함 (동의어: susceptibility, defenselessness / 반의어: security, invulnerability)
- motivate: 동기를 부여하다 (동의어: inspire, encourage / 반의어: discourage, deter)
- desire: 욕구 (동의어: longing, aspiration / 반의어: apathy, indifference)
- creeping: 서서히 다가오는 (동의어: gradual, slow-moving / 반의어: sudden, abrupt)
- superiority: 우월감 (동의어: arrogance, dominance / 반의어: inferiority, humility)
- close off: 차단하다 (동의어: shut out, block / 반의어: open up, accep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d/ just/ [as [our sense/ <of weakness and vulnerability>]/ motivated/ <the desire/ to learn>],/
- 그리고/ 바로/ [[우리의 인식이/ <약함과 취약함에 대한>]/ 동기를 부여했던 것처럼/ <욕구를/ 배울(배우고자 하는)>],
- so/ does/ [our creeping <sense/ of superiority>]/ slowly close us off/ [to new <ideas and influences>].
- 그렇게/ [우리의 서서히 다가오는 <우월감>도]/ 천천히 우리를 차단합니다/ [새로운 <아이디어들과 영향들에서>].
📖 어법 설명
- ✅ 비교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our sense/ <of weakness and vulnerability>]/ motivated/~]”에서 사용된 어법. “~처럼 / ~같이 / ~만큼 / ~하듯이”의 의미를 전달.
-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the desire/ to learn>”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the desire”를 수식. 다만, “배울 욕구”라는 표준 해석에서 “배우고자 하는 욕구”로 의역합니다.
- ✅ 도치 구문
- “so/ does/ [our creeping <sense/ of superiority>]/ slowly close us off/ [to new <ideas and influences>]”에서 사용된 어법. 원문은 "[our creeping <sense/ of superiority>]/ also slowly closes us off/ [to new <ideas and influences>]".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약함과 취약함이 배움의 동기가 되었지만, 우월감이 커지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지 않게 된다.
- 🔍 빈칸 추론 2
- 📢 문장 5의 후반부의 술어부인 “slowly close us off/ [to new <ideas and influences>]”의 표현으로부터 “③ the increasing closing of the mind(늘어나고 있는 마음의 폐쇄)”이 정답임을 시사합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③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1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1
In adolescence many of us had the experience of falling under the sway of a great book or writer.
🔑 주요 단어 정리
- adolescence: 청소년기 (동의어: teenage years, youth / 반의어: adulthood, infancy)
- experience: 경험 (동의어: encounter, event / 반의어: ignorance, inexperience)
- fall under the sway of ~: ~의 영향을 받다 (동의어: be influenced by, be captivated by / 반의어: resist, remain unaffected)
- great: 위대한, 훌륭한 (동의어: excellent, remarkable / 반의어: ordinary, mediocre)
- writer: 작가 (동의어: author, novelis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adolescence,/ <many/ of us> had/ [the experience / [of falling under the sway/ <of a great book or writer>]].
- 청소년기에,/ <많은 수가/ 우리 중> 가지고 있습니다/ [경험을/ [영향을 받았던/ <위대한 책이나 작가의>]].
📖 어법 설명
- ✅ of + ~ing, “~할 / ~하는”의 의미를 쓰이는 이유
- “[the experience / [of falling under the sway/ <of a great book or writer>]]”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of“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으나 “~와 관련된”의 의미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본 문장의 직역된 의미는 “위대한 책이나 작가의 영향을 받는 것과 관련된 경험”를 “위대한 책이나 작가의 영향을 받았던 경험”로 의역이 되는 것입니다.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청소년기에 우리는 위대한 책이나 작가의 영향을 받는 경험을 한다.
📌 문장 2
We became entranced by the novel ideas in the book, and because we were so open to influence, these early encounters with exciting ideas sank deeply into our minds and became part of our own thought processes, affecting us decades after we absorbed them.
🔑 주요 단어 정리
- become entranced by ~: ~에 매료되다 (동의어: be captivated by, be fascinated by / 반의어: be indifferent to, ignore)
- novel: 새로운, 참신한 (동의어: new, innovative / 반의어: conventional, traditional)
- open to ~: ~에 개방적인 (동의어: receptive to, susceptible to / 반의어: resistant to, closed-minded)
- encounter: 접촉, 만남 (동의어: experience, meeting / 반의어: avoidance, ignorance)
- sink into ~: ~에 깊이 스며들다 (동의어: penetrate, embed / 반의어: disappear, fde away)
- affect: 영향을 미치다 (동의어: influence, shape / 반의어: be unaffected by, ignor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became entranced/ <by the novel ideas/ in the book>,/
- 우리는 매료되었습니다/ <참신한 아이디어에 의해서/ 그 책 속의>,/
- and/ [because we were so open/ to influence],/
- 그리고/ [우리가 너무 개방적이기 때문에/ 영향에],/
- <these early encounters/ with exciting ideas>/ [sank/ deeply/ into our minds]/ and/ [became part/ of our own thought processes],/
- <이러한 초기의 접촉들이/ 흥미로운 아이디어들과의>/ [스며들었습니다/ 깊이/ 우리의 마음(들)속에]/ 그리고/ [일부가 되었습니다/ 우리 자신의 사고 과정들의],/
- [affecting/ us/ [decades after we absorbed/ them]].
- [영향을 미치면서/ 우리에게/ [우리가 흡수한 지 수십 년이 지난 후에도/ 그것들은]].
📖 어법 설명
- ✅ 수동구문[become(get) + pp]
- “became entranced”에서 사용된 어법. "매료되었다"의 의미로 수동 구문.
-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we were so open/~]”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sank/ deeply/ into our minds]”와 “[became part/ of our own thought processes]”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분사구문
- “[affecting/~]”은 “[while they affect/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these early encounters)”가 생략되고 동사 “affect”가 “affect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 시간의 부사절 “기간 + after + 주어 + 동사”
- “[decades after we absorbed/ them]”에서 사용된 어법. “~한 지 기간 이후에”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우리는 청소년기에 새로운 아이디어에 매료되었으며, 그 아이디어는 우리의 사고 과정에 깊이 스며들어 수십 년 후에도 영향을 미쳤다. “어린 시절 영향을 받았던 사상의 지속성”.
📌 문장 3
Such influences enriched our mental landscape, and in fact our intelligence depends on the ability to absorb the lessons and ideas of those who are older and wiser.
🔑 주요 단어 정리
- influence: 영향 (동의어: impact, effect / 반의어: insignificance, irrelevance)
- enrich: 풍부하게 하다 (동의어: enhance, improve / 반의어: impoverish, weaken)
- mental landscape: 정신적 풍경(세계), 사고 구조
- intelligence: 지능 (동의어: intellect, cognition / 반의어: ignorance, stupidity)
- depend on ~: ~에 의존하다 (동의어: rely on, be based on / 반의어: be independent of, disregard)
- absorb: 흡수하다 (동의어: take in, assimilate / 반의어: reject, expel)
- lesson: 교훈, 배움 (동의어: teaching, moral / 반의어: mistake, oversight)
- wise: 현명한 (동의어: knowledgeable, sagacious / 반의어: foolish, naiv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uch influences enriched/ our mental landscape,/
- 그러한 영향들은 풍부하게 만들었습니다/ 우리의 정신적 세계를,/
- and/ in fact/ our intelligence depends/ [on the ability/ [to absorb/ [<the lessons and ideas>/ [of those/ who are <older and wiser>]]]].
- 그리고/ 사실/ 우리의 지능은 의존합니다/ [능력에/ [흡수하는/ [<교훈들과 아이디어들을>/ [사람들의/ <더 나이 많고 더 현명한>]]]].
📖 어법 설명
-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 the ability/ [to absorb/ [<the lessons and ideas>/~]]”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the ability”를 수식.
-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those/ who are <older and wiser>”에서 “who”는 선행사, “thos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더 나이 많고 더 현명한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문장 3의 핵심 내용
청소년기에 받은 영향들은 우리의 정신적 세계를 풍부하게 만들었으며, 우리의 지능은 나이 많고 현명한 사람들의 아이디어를 받아들이는 능력에 의존한다.
📌 문장 4
Just as the body tightens with age, however, so does the mind.
🔑 주요 단어 정리
- just: 바로
- tighten: 조여지다, 경직되다 (동의어: stiffen, contract / 반의어: loosen, relax)
- with age: 나이가 들면서 (동의어: as one gets older, over time)
- mind: 마음, 정신 (동의어: intellect, cognition / 반의어: ignorance, stupidit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Just/ [as the body tightens/ with age],/ however,/ so does the mind.
- 바로/ [몸이 경직되는 것처럼/ 나이와 함께],/ 그러나,/ 마음도 그렇다.
📖 어법 설명
- ✅ 비교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the body tightens/ with age]”에서 사용된 어법. “~처럼 / ~같이 / ~만큼 / ~하듯이”의 의미를 전달.
-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만, 부사의 위치가 자유롭긴 하지만, 이 이전 문장인 문장 3에 대한 대조의 접속부사로, 문장 앞으로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 ✅ 도치 구문
- "so does the mind"에서 사용된 어법. “so”를 원래의 의미로 대체한 원문은 "the mind also tightens/ with age".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몸이 나이가 들면서 경직되는 것처럼, 우리의 정신도 나이가 들면서 경직된다.
⚠ 문장 간의 논리적 연결의 문제점
- 문장 간 논리적 연결의 문제점 및 개선 필요성
- 문장 1~3:
- "청소년기에 형성된 사상이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개념은 명확하게 전달됨.
- 하지만 "이러한 영향이 왜 나이가 들면서 변화하는지"에 대한 연결이 부자연스러움.
- 문장 4:
- "몸이 나이가 들면서 경직되는 것처럼, 마음도 경직된다"는 비유 자체는 적절하지만, "왜 마음이 경직되는지"에 대한 추가 설명이 필요함.
- 단순히 신체의 노화와 사고방식의 경직화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다소 비약적일 수 있음.
- 문장 5:
- "약함과 취약함이 학습 욕구를 자극한다"는 개념은 받아들일 수 있음.
-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우월감이 커진다"는 주장에는 논리적 근거가 부족하며, 개인차가 클 수 있음.
- "우월감이 커진다"는 표현보다 "자신의 사고방식이 옳다고 확신하게 된다" 또는 "기존 지식을 고수하게 된다"라는 표현이 더 적절할 가능성이 높음.
- 문장 6:
- "Some may advocate that we all become more skeptical in the modern world"는 빈칸에 들어갈 내용과 논리적으로 연결이 잘 되지 않음.
- "Skeptical(회의적)" 태도가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는 것을 거부하는 태도"가 문제라는 점이 보다 명확해야 함.
- 따라서 "Skepticism(회의주의)" 자체가 문제라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상에 대한 완고한 거부"가 문제라는 점을 강조해야 함.
- ✅ 논리적 개선 방향
- 📌 "나이가 들수록 사고방식이 경직되는 이유를 보다 명확히 제시해야 함."
- 📌 "우월감"이라는 표현보다는 "완고해짐(Stubbornness)"이나 "기존 지식을 고수하려는 경향"이 더 적절할 수 있음.
- 📌 문장 6에서 "Skeptical"이라는 개념이 왜 문제인지 보다 명확하게 연결해야 함.
- 🚀 해결책: 논리적 개연성을 보강한 문장 재구성
- 📝 개선된 문장 5:
- "Just as our sense of weakness and vulnerability motivated the desire to learn, so does our increasing tendency to rely on familiar ideas and reject unfamiliar ones close us off to new perspectives and influences."
- 👉 "나약함과 취약함이 학습 욕구를 자극했던 것처럼, 익숙한 아이디어에 의존하고 낯선 아이디어를 거부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새로운 관점과 영향을 차단하게 된다."
- 📝 개선된 문장 6:
- "Some may advocate that we all develop a healthy skepticism in the modern world, but in fact a far greater danger comes from the growing rigidity of the mind, which burdens us as individuals as we get older and seems to be burdening our culture in general."
- 👉 "일부는 우리가 현대 사회에서 건강한 회의주의를 길러야 한다고 주장할 수도 있지만, 사실 훨씬 더 큰 위험은 사고방식이 점점 더 경직되어 가는 것이다. 이는 개인적으로도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 청소년기에 형성된 사상과 경험은 우리의 사고방식에 오랜 기간 영향을 미친다.
-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도 경직되어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는 것이 어려워진다.
- 젊을 때는 배움에 대한 열망이 강하지만, 나이가 들면 익숙한 아이디어를 더 신뢰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거부하는 경향이 커진다.
- 이러한 사고방식의 경직화는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지문의 논리적 문제점
- 📌 "나이가 들수록 우월감이 커진다"는 주장은 일반적이지 않으며, "완고해진다" 또는 "기존 지식을 더 고수한다"는 표현이 더 적절함.
- 📌 문장 6에서 "회의적 태도(Skepticism)"가 위험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빈칸과 연결성이 부족하며, 실제로 위험한 것은 "사고방식의 경직화(Rigidity of the mind)"임.
- 📌 따라서 빈칸에는 "점점 더 마음을 닫아가는 현상"을 의미하는 표현이 들어가야 함.
📌 핵심 문제 해결 전략
- ✅ 빈칸이 포함된 문장을 우선적으로 분석한 후, 논리적 흐름을 따라가며 앞뒤 문장을 연결.
- ✅ "나이가 들면서 점점 더 새로운 사상을 거부하는 경향"을 설명하는 단어를 선택해야 함.
- ✅ 보기 중 "③ the increasing closing of the mind"가 가장 적절함.
📌 핵심 단서 정리
- 📌 문장 5:
- "우월감이 커지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지 않게 된다."
- "so does our creeping sense of superiority slowly close us off to new ideas and influences."
- 📌 문장 6:
- "현대 사회에서 회의적 태도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지만, 더 큰 위험은 우리가 나이가 들면서 점점 더 경직된 사고방식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 "a far greater danger comes from ___________________ that burdens us as individuals as we get older, and seems to be burdening our culture in general."
- 📌 따라서, 빈칸에는 "점점 더 사고방식이 경직되는 것"을 의미하는 표현이 들어가야 함.
📌 정답 선택
- ✅ ③ the increasing closing of the mind (점점 더 마음을 닫아가는 것)
- ➡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지 않는 태도가 나이가 들면서 점점 커지는 현상"을 설명하는 데 가장 적절함.
✅ 최적의 풀이 전략
- 📌 빈칸이 포함된 문장을 먼저 분석하고, 논리적 연결을 확인하여 정답을 추론.
- 📌 이 문제에서는 "사고방식의 경직화"가 핵심이므로, "mind(마음)"를 닫는다는 개념을 포함한 선택지가 가장 적절함.
- 📌 따라서 정답은 ③번 the increasing closing of the mind! 🚀
결론
"빈칸 추론 문제,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핵심!"
📌 영어 빈칸 추론 문제를 풀 때는 빈칸이 포함된 문장을 중심으로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
📌 이번 문제에서는 "나이가 들면서 사고방식이 경직되어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기 어려워지는 현상"이 핵심 개념이었음.
📌 하지만 지문의 논리적 문제점으로 인해 "우월감이 커진다"는 주장이 다소 일반적이지 않았으며, "완고해진다" 또는 "기존 지식을 더 고수한다"는 표현이 더 적절했음.
📌 또한, 문장 6에서 "회의적인 태도가 문제"라는 주장이 있었지만, 실제로는 "사고방식의 경직화"가 문제라는 점이 보다 명확해야 했음.
📌 결국, 빈칸에는 "점점 더 마음을 닫아가는 현상"을 의미하는 표현이 가장 적절했고, 정답은 ③번 "the increasing closing of the mind".
📌 앞으로도 꾸준한 연습을 통해 영어 독해 실력을 향상시키세요! 🚀
📌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