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
- ✅ 빈칸이 포함된 문장을 우선적으로 분석한 후,
- ✅ 앞뒤 문장을 연결하여 논리적 흐름을 확인,
- ✅ 보기를 분석하여 문맥에 가장 적합한 단어를 선택!
📢 이번 분석에서는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34번 문제를 통해 빈칸 추론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
📌 이 글에서는 대중적 사고(Popular Thinking)의 위험성을 역사적 사례를 통해 설명하며, 다수가 받아들이는 것이 항상 옳지는 않음을 강조합니다.
💡 빈칸에 들어갈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하는 과정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4.
Many people look for safety and security in popular thinking. They figure that if a lot of people are doing something, then it must be right. It must be a good idea. If most people accept it, then it probably represents fairness, equality, compassion, and sensitivity, right? Not necessarily. Popular thinking said the earth was the center of the universe, yet Copernicus studied the stars and planets and proved mathematically that the earth and the other planets in our solar system revolved around the sun. Popular thinking said surgery didn’t require clean instruments, yet Joseph Lister studied the high death rates in hospitals and introduced antiseptic practices that immediately saved lives. Popular thinking said that women shouldn’t have the right to vote, yet people like Emmeline Pankhurst and Susan B. Anthony fought for and won that right. We must always remember __________________________. People may say that there’s safety in numbers, but that’s not always true. [3점]
① majority rule should be founded on fairness
② the crowd is generally going in the right direction
③ the roles of leaders and followers can change at any time
④ people behave in a different fashion to others around them
⑤ there is a huge difference between acceptance and intelligence
문장별 분석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9
We must always remember __________________________.
🔑 주요 단어 정리
- must: ~해야만 한다, 반드시 해야 한다 (동의어: have to, need to / 반의어: may, might)
- remember: 기억하다 (동의어: recall, keep in mind / 반의어: forget, overlook)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must always remember/ __________________________.
- 우리는 항상 기억해야만 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9의 핵심 내용
- 우리는 중요한 사실을 항상 기억해야 한다. (빈칸의 내용이 핵심)
- 🔍 빈칸 추론 1
- 📢 빈칸을 추론할 단서가 없고 빈칸을 포함한 문장 9 다음에 문장 10만이 존재하므로,
- 📢 문장 10으로 이동하여 독해 후 단서가 없는 경우, 문장 8로 이동하여 단서를 찾도록 합니다.
📌 문장 10
People may say that there’s safety in numbers, but that’s not always true.
🔑 주요 단어 정리
- safety: 안전
- numbers: 다수
- not always true: 항상 사실은 아니다 (동의어: not necessarily, sometimes fals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eople may say/ [that there’s safety/ in numbers],/ but/ that’s not always true.
- 사람들은 말할 수도 있습니다/ [안전이 있다고/ 다수 속에],/ 그러나/ 그것이 항상 사실은 아니다.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10의 핵심 내용
- 많은 사람들이 따르는 것이 반드시 안전한 것은 아니다.
- 🔍 빈칸 추론 2
- 📢 문장 10의 내용으로부터 “다수에 안전이 있지만 항상 그런 건 아니다”라고 진술하고 있으므로,
- 📢 현재까지의 정보만으로 보기를 확인하면, 이 내용을 포괄하는 선택지가 없습니다.
- 📢 따라서, 문장 8로 이동하여, 독해를 이어갑니다.
📌 문장 8
Popular thinking said that women shouldn’t have the right to vote, yet people like Emmeline Pankhurst and Susan B. Anthony fought for and won that right.
🔑 주요 단어 정리
- popular: 인기 있는, 대중적인
- thinking: 사고
- the right to vote: 참정권 (동의어: suffrage, voting rights)
- shouldn’t have ~: ~을 가져서는 안 된다 (동의어: must not have, ought not to have / 반의어: should have, must have)
- yet: 그러나 (동의어: however, but)
- fight for ~: ~을 위해 싸우다 (동의어: struggle for, advocate / 반의어: oppose, surrender)
- win: 얻다, 쟁취하다 (동의어: achieve, attain / 반의어: lose, forfei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opular thinking said/ [that women shouldn’t have/ <the right/ to vote>],/ yet/ [people/ <like Emmeline Pankhurst and Susan B. Anthony>]/ fought for (that right) and won/ that right.
- 대중적 사고가 말했습니다/ [여성이 가져서는 안 된다고/ <권리를/ 투표할(참정권을)>],/ 그러나/ [사람들이/ <에멀린 팽크허스트와 수잔 B. 앤서니 같은>]/ 싸워 쟁취했습니다/ 그 권리를.
📖 어법 설명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said/ [that~]"에서 "that"은 동사, "sai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the right/ to vote>”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the right”를 수식.
- ✅ "fight for (A) and win A" 구조
- "fought for (that right) and won/ that right"에서 사용된 어법.
- 💡 문장 8의 핵심 내용
- 대중적 사고는 여성이 참정권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지만, 여성 운동가들은 싸워서 그 권리를 쟁취했다.
- 🔍 빈칸 추론 3
- 📢 문장 10의 내용과 거의 같은 내용으로 바꿔서 정리하면,
- 📢 “다수의 사람들이 여성이 참정권을 가져서는 안된다고 생각했지만 그것을 위해 싸웠던 사람들이 존재했다”는 의미로
- 📢 문장 10의 뉘앙스와는 다릅니다. 한 문장 더 독해하도록 합니다.
📌 문장 7
Popular thinking said surgery didn’t require clean instruments, yet Joseph Lister studied the high death rates in hospitals and introduced antiseptic practices that immediately saved lives.
🔑 주요 단어 정리
- surgery: 수술 (동의어: operation, procedure)
- require: 필요로 하다 (동의어: need, demand / 반의어: dismiss, disregard)
- clean: 깨끗한 (동의어: sterile, hygienic / 반의어: dirty, contaminated)
- instrument: 기구, 도구 (동의어: tool, equipment)
- yet: 그러나 (동의어: however, nevertheless)
- death rate: 사망률
- introduce: 도입하다 (동의어: implement, establish / 반의어: remove, eliminate)
- antiseptic: 살균의, 멸균의 (동의어: sterile, disinfectant / 반의어: contaminated, infectious)
- practice: 관행, 실행 (동의어: procedure, method)
- immediately: 즉각적으로, 즉시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opular thinking said/ [(that) surgery didn’t require/ clean instruments],/ yet/ Joseph Lister [studied/ <the high death rates/ in hospitals>]/ and/ [introduced/ [antiseptic practices/ that immediately saved/ lives]].
- 대중적 사고는 말했습니다/ [수술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깨끗한 기구들을],/ 그러나/ 조셉 리스터는 [연구했습니다/ <높은 사망률을/ 병원에서의>]/ 그리고/ [도입했습니다/ [살균법을/ 즉각적으로 구했던/ 생명들을]].
📖 어법 설명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said/ [(that)~]"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sai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studied/ ~]”와 “[introduced/ ~]”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ntiseptic practices/ that immediately saved/ lives]”에서 “that”은 선행사, “antiseptic practice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즉각적으로 목술(들)을 구했던 살균법”의 의미를 전달.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 💡 문장 7의 핵심 내용
- 대중적 사고는 수술 도구를 소독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지만, 조셉 리스터는 연구를 통해 멸균법을 도입하여 많은 생명을 구했다.
- 🔍 빈칸 추론 4
- 📢 문장 8에 이어, 문장 7의 내용 역시, 대중적 생각을 받아들이지 않고 이에 대항했던 사람에 관한 진술입니다.
- 📢 다시, 보기를 확인하면, “⑤ there is a huge difference between acceptance and intelligence(수용과 지성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가 가장 가깝습니다.
- 📢 즉 다수의 생각이 지배적이라도 맹목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지적인 사고에 근거하여 그 상황에 적응하고 과제를 해결하는 성질인 지성과 다수의 생각을 받아들이는 것 사이의 큰 차이가 존재함을 진술하는 것입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1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1
Many people look for safety and security in popular thinking.
🔑 주요 단어 정리
- look for ~: ~을 찾다 (동의어: seek, search for / 반의어: ignore, overlook)
- safety: 안전 (동의어: security, protection / 반의어: danger, risk)
- security: 보안, 안정 (동의어: safety, stability / 반의어: insecurity, vulnerability)
- popular thinking: 대중적 사고, 일반적인 생각 (동의어: common belief, mainstream thought / 반의어: critical thinking, independent thinking)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any people look for/ <safety and security>/ in popular thinking.
- 많은 사람들은 찾습니다/ <안전과 보안을>/ 대중적 사고에서.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많은 사람들이 대중적 사고에서 안전과 안정을 찾는다.
📌 문장 2
They figure that if a lot of people are doing something, then it must be right.
🔑 주요 단어 정리
- figure that ~: ~라고 생각하다 (동의어: assume, believe / 반의어: doubt, question)
- a lot of ~: 많은 수의~ (동의어: many, numerous / 반의어: few, scarce)
- must be ~: ~임에 틀림없다 (동의어: have to be, is certainly / 반의어: might be, could b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figure/ [that,/ [if a lot of people are doing/ something],/ then/ it must be right].
- 그들은 생각합니다/ [[만약 많은 수의 사람들이 하고 있다면/ 어떤 것을],/ 그러면/ 그것이 옳은 것임에 틀림이 없다고].
📖 어법 설명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figure/ [that,/~]"에서 "that"은 동사, "figure"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삽입 구조
- “[if a lot of people are doing/~]”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다만, “if 절”이 “접속사 that”과 “부사 then”사이에 삽입된 구조로, “접속사 that” 뒤에 comma(,)로 분리가 필요합니다.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많은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하면, 그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 문장 3
It must be a good idea.
🔑 주요 단어 정리
- must be ~: ~임에 틀림없다 (동의어: have to be, is certainly / 반의어: might be, could be)
- idea: 생각, 개념 (동의어: concept, notion / 반의어: misunderstanding, fallac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must be a good idea.
- 그것은 좋은 생각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많은 사람들이 받아들이면, 그것은 좋은 생각일 것이다.
📌 문장 4
If most people accept it, then it probably represents fairness, equality, compassion, and sensitivity, right?
🔑 주요 단어 정리
- accept: 받아들이다 (동의어: approve, embrace / 반의어: reject, deny)
- represent: 나타내다, 상징하다 (동의어: symbolize, stand for / 반의어: misrepresent, obscure)
- fairness: 공정 (동의어: justice, impartiality / 반의어: bias, discrimination)
- equality: 평등 (동의어: equity, parity / 반의어: inequality, disparity)
- compassion: 동정, 연민 (동의어: empathy, sympathy / 반의어: indifference, cruelty)
- sensitivity: 민감함, 세심함 (동의어: awareness, responsiveness / 반의어: insensitivity, apath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most people accept/ it],/
- [만약 대부분의 사람(들)이 받아들인다면/ 그것을],/
- then/ it probably represents/ <fairness, equality, compassion, and sensitivity>,/ right?
- 그러면/ 그것은 아마도 나타낼 것입니다/ <공정함, 평등, 연민, 및 세심함을>,/ 그렇지 않나요?
📖 어법 설명
-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most people accept/ it]”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대부분의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것이면 공정성과 평등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가?
📌 문장 5
Not necessarily.
🔑 주요 단어 정리
- not necessarily: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동의어: not always, not entirely / 반의어: certainly, absolutel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ot necessarily.
-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대중이 받아들인다고 해서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다.
- 🔍 빈칸 추론 적합성 검토 1
- 📢 문장 4와 문장 5의 진술을 통해 “대중적인 생각을 받아들이는 것의 타당성”을 주장하는 것 같으나 반대로 “대중적인 생각의 수용”에 대한 지적을 반증하는 것입니다.
📌 문장 6
Popular thinking said the earth was the center of the universe, yet Copernicus studied the stars and planets and proved mathematically that the earth and the other planets in our solar system revolved around the sun.
🔑 주요 단어 정리
- the center of the universe: 우주의 중심
- yet: 그러나, 하지만 (동의어: however, nevertheless / 반의어: therefore, thus)
- study: 연구하다 (동의어: examine, investigate / 반의어: ignore, overlook)
- prove: 증명하다 (동의어: demonstrate, establish / 반의어: disprove, refute)
- mathematically: 수학적으로
- revolve around ~: ~을 중심으로 돌다 (동의어: orbit, circle / 반의어: stay still, remain static)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opular thinking said/ [(that) the earth was <the center/ of the universe>],/
- 대중적 사고는 말했습니다/ [지구가 <중심이라고/ 우주의>],/
- yet/ Copernicus [studied/ <the stars and planets>]/ and/ [proved/ mathematically/ [that [<the earth and the other planets>/ in our solar system]/ revolved/ around the sun]].
- 그러나/ 코페르니쿠스는 [연구했습니다/ <별들과 행성들을>]/ 그리고/ [증명했습니다/ 수학적으로/ [[<지구와 다른 행성들이>/ 우리의 태양계 내의]/ 돈다는 것을/ 태양 주위를]].
📖 어법 설명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said/ [(that)~]"와 “proved/ mathematically/ [that~]”에서 생략된 "(that)"와 “that”은 각각 동사, "said"와 “prove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각각 ”~라고“와 ”~라는 것을“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나머지 어법 설명은 문장 7 참고.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studied/~]”와 “[proved/~]”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접속사 "yet"을 활용한 대조
- "Popular thinking said ~, yet Copernicus studied ~"에서 "yet"을 사용하여 대조적인 내용을 연결함.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대중적 사고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주장했지만, 코페르니쿠스는 연구를 통해 태양 주위를 돈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증명했다.
- 🔍 빈칸 추론 적합성 검토 1
- 📢 문장 6의 내용도 문장 7과 문장 8처럼 대중적 사고를 수용하지 않고 지성을 보여던 과학자인 코페르니쿠스를 끌어들여 “보편적 의견의 수용과 지성 사이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사례로 제시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 이 글은 대중적 사고(Popular Thinking)가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며, 맹목적인 수용보다는 비판적 사고와 지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여러 역사적 사례(코페르니쿠스, 조셉 리스터, 여성 참정권 운동)를 통해, 다수가 받아들이는 생각이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이를 그대로 따르는 것은 반드시 안전하거나 합리적인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 핵심 문제 해결 전략
- 이 문제는 빈칸 추론 문제이므로,
- ✅ 빈칸이 포함된 문장(문장 9)을 최우선으로 분석한 후,
- ✅ 논리적 연결을 확인하기 위해 문장 10을 검토하였다.
- ✅ 문장 10에서 단서를 찾을 수 없어, 문장 8 → 문장 7 → 문장 6 순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문맥을 분석하였다.
📌 핵심 단서 정리
- 문장 10: "다수 속의 안전(safety in numbers)"이 반드시 진리는 아니다.
- 문장 8~6: 역사적 사례(코페르니쿠스, 조셉 리스터, 여성 참정권 운동)를 통해 대중적 사고가 반드시 옳지 않다는 것을 증명.
- 결론: "대중적 사고를 받아들이는 것과 지적인 사고의 차이"를 강조하는 내용이 정답이어야 한다.
🎯 정답 선택
- ✅ 보기를 확인하면,
- ⑤ "there is a huge difference between acceptance and intelligence (수용과 지성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 👉 대중적 사고를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는 것과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글의 논점과 가장 잘 맞음.
- 🎯 따라서, 정답은 ⑤번!
결론
✅ "다수의 의견이 반드시 진리는 아니다."
📌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은 대중적 사고가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며, 비판적 사고와 지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역사적 사례(코페르니쿠스, 조셉 리스터, 여성 참정권 운동)를 통해, 대중적 사고가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이를 그대로 따르는 것은 반드시 안전하거나 합리적인 것이 아님을 보여줍니다.
📌 정답인 ⑤번(수용과 지성 사이의 차이)은 이러한 논리를 가장 잘 반영하는 선택지입니다.
💡 빈칸 추론 문제는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고, 앞뒤 문장을 분석하여 정답을 도출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앞으로도 이러한 방식으로 수능 및 모의고사 문제를 빠르고 논리적으로 해결하는 연습을 계속하세요! 🚀
📌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