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 기억의 형성과정: 왜 어떤 경험은 더 선명할까?
📢 우리가 어떤 경험을 쉽게 기억하는 반면, 일부 기억은 희미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에서는 기억의 형성과정과 반복적인 경험이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 이번 분석에서는 기억이 형성되는 방식, 반복되는 경험이 기억 속에서 합쳐지는 과정, 그리고 독특한 경험이 왜 더 선명하게 기억되는지를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이 글을 통해 알 수 있는 핵심 포인트
- ✅ 평범한 경험보다 독특한 경험이 더 잘 기억되는 이유
- ✅ 뇌가 비슷한 경험을 하나의 기억으로 합치는 과정
- ✅ 특정한 순간의 세부 사항을 기억하기 어려운 이유
📢 본 분석은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의미 해석 및 어법 설명을 포함하여 수험📢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Events or experiences that are out of ordinary tend to be remembered better because there is nothing competing with them when your brain tries to access them from its storehouse of remembered events. In other words, the reason it can be (a) difficult to remember what you ate for breakfast two Thursdays ago is that there was probably nothing special about that Thursday or that particular breakfast ― consequently, all your breakfast memories combine together into a sort of generic impression of a breakfast. Your memory (b) merges similar events not only because it’s more efficient to do so, but also because this is fundamental to how we learn things ― our brains extract abstract rules that tie experiences together.
This is especially true for things that are (c) routine. If your breakfast is always the same ― cereal with milk, a glass of orange juice, and a cup of coffee for instance ― there is no easy way for your brain to extract the details from one particular breakfast. Ironically, then, for behaviors that are routinized, you can remember the generic content of the behavior (such as the things you ate, since you always eat the same thing), but (d) particulars to that one instance can be very difficult to call up (such as the sound of a garbage truck going by or a bird that passed by your window) unless they were especially distinctive. On the other hand, if you did something unique that broke your routine ― perhaps you had leftover pizza for breakfast and spilled tomato sauce on your dress shirt ― you are (e) less likely to remember it.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Repetition Makes Your Memory Sharp!
② How Does Your Memory Get Distorted?
③ What to Consider in Routinizing Your Work
④ Merging Experiences: Key to Remembering Details
⑤ The More Unique Events, the More Vivid Recollection
42 밑줄 친 (a) ~ (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문장별 분석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Events or experiences that are out of ordinary tend to be remembered better because there is nothing competing with them when your brain tries to access them from its storehouse of remembered events.
🔑 주요 단어 정리
- event: 사건
- experience: 경험
- out of the ordinary: 정상에서 벗어난, 특별한, 평범하지 않은 (동의어: unusual, extraordinary)
- tend to V: ~하는 경향이 있다 (동의어: be likely to, be inclined to)
- remember: 기억하다
- storehouse: 저장소 (동의어: repository, storage)
- compete with ~: ~와 경쟁하다 (동의어: rival, contest)
- try: 시도하다 (동의어: attempt)
- access: 접근하다, 이용하다 (동의어: retrieve, enter)
- storehouse: 저장소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vents or experiences>/ that are out of the ordinary]/ tend to be remembered/ better/
- [<사건들이나 경험들은>/ 정상에서 벗어난(평범하지 않은)]/ 기억되는 경향이 있다/ 더 잘/
- [because there is <nothing competing>/ with them/ [when your brain tries/ <to access/ them>/ <from its storehouse/ of remembered events>]].
- [왜냐하면 <경쟁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그것들과(평범하지 않은 사건들이나 경험들과)/ [당신의 뇌가 시도할 때/ <접근하기 위해서/ 그것들에(평범하지 않은 사건들이나 경험들의 기억들에)>/ <그것의 저장소로부터/ 기억된 사건들의>]].
📖 어법 설명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Events or experiences>/ that are out of the ordinary]”에서 “that”은 선행사, “<Events or experience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정상에서 벗어난(평범하지 않은) 사건들이나 경험들”의 의미를 전달.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Events or experiences>”로 복수, 따라서, 동사구도 복수 형태인, “tend to be remembered”.
- ✅ 수동태[be + pp]
- “be remembered”에서 사용된 어법. "기억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there is <nothing competing>/~]”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your brain tries/~]”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ries/ <to access/ them>”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 “tries”를 수식.
- 💡 문장 1의 핵심 주장
- ✔ 특별한 경험은 기억 속에서 경쟁하는 정보가 없기 때문에 더 잘 기억된다.
📌 문장 2
In other words, the reason it can be (a) difficult to remember what you ate for breakfast two Thursdays ago is that there was probably nothing special about that Thursday or that particular breakfast
🔑 주요 단어 정리
- in other words: 다시 말해서, 즉 (동의어: put differently, to rephrase)
- reason: 이유
- two Thursdays ago: 2주 전 목요일에
- probably: 아마도
- particular: 특정한 (동의어: specific, distinc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other words,/ [the reason/ (why) it can be (a) difficult/ [to remember/ [what you ate/ for breakfast/ two Thursdays ago]]]/ [is that there was probably <nothing special>/ [about <that Thursday or that particular breakfast>]].
- 즉,/ [그 이유가/ (왜) 그것이 (a) 어려울 수 있는가의/ [기억하는 것이/ [당신이 먹었던 것을/ 아침 식가로/ 2주 전 목요일에]]]/ [아마도 <특별한 것>이 없었다는 것입니다/ [<그 목요일이나 그 특정한 아침 식사>에 대해]].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구 "In other words"
- 문장 내에서 "즉, 다시 말해서"의 의미를 전달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관계부사의 생략
- "[the reason/ (why) it can be (a) difficult/~]"에서 생략된 “(why)”는 선행사, “the reason”을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왜) 그것이 어려울 수 있는가의 이유”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 can be (a) difficult/ [to remember/~]”에서 ”it“는 가주어, ”to remember~”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it(가주어)’와 ‘to 부정사(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you ate/~]”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당신이 먹었던 것“의 의미. 다만, ”의문사+주어+동사“인 간접의문문으로도 볼 수 있으며, ”무엇을 당신이 먹었는지를“로도 해석이 가능합니다.
-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is that~]"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문장 2의 핵심 주장
- ✔ 특별한 사건이 없는 평범한 경험은 기억하기 어렵다.
- 🔍 어휘 적절성 검토 (a)
- "(a) difficult"는 "(기억하기) 어려운"의 의미로 문맥상 적절합니다. ✅
📌 문장 3
Your memory (b) merges similar events not only because it’s more efficient to do so, but also because this is fundamental to how we learn things ― our brains extract abstract rules that tie experiences together.
🔑 주요 단어 정리
- merge: 합치다, 융합하다 (동의어: combine, integrate)
- similar event: 유사한 사건
- not only A but also B: A뿐만 아니라 B도
- efficient: 효율적인
- fundamental: 근본적인 (동의어: essential, basic)
- extract: 추출하다 (동의어: derive, obtain)
- abstract: 추상적인
- tie A together: A를 연결하다
- experience: 경험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r memory (b) merges/ similar events/
- 당신의 기억은/ (b) 결합합니다/ 유사한 사건들을/
- [not only because it’s more efficient/ <to do/ so>],/
- [단순히 그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만이 아니라/ <하는 것이/ 그렇게>],/
- [but also because this is fundamental/ [to how we learn/ things]]/
- [또한 이것이 근본적이기 때문에/ [우리가 배우는 방식에/ 일들을]]./
- ―/ our brains extract(→use)/ [abstract(→combining) rules/ that tie experiences together].
- 다시 말해서/ 우리의 뇌들은 추출합니다(→사용합니다)/ [
추상적인(→X) 규칙들을/ 경험들을 결합하는].
📖 어법 설명
-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병렬 구조
- “because it’s more efficient/~”와 “because this is fundamental/~”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또한, 등위 상관 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로 병렬 연결된 구조.
-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s more efficient/ <to do/ so>”에서 ”it“는 가주어, ”to do~”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it(가주어)’와 ‘to 부정사(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we learn/ things”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전치사 “to”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어떻게 우리가 일들을 배우는지” 또는 “우리가 일들을 배우는 방법”의 의미를 전달.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bstract(→combining) rules/ that tie experiences together]”에서 “that”은 선행사, “abstract(→combining) rule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경험들을 결합하는 추상적인(→결합하는) 규칙들”의 의미를 전달.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 ✅ 적절한 의미 전달을 위한 어휘의 변경 필요성
- “Your memory (b) merges/ similar events”의 진술로부터 “[abstract(→combining) rules/ that tie experiences together]”그 방법에 해당하며, “뇌가 그 방법을 추출한다”고 표현하기보다는 “뇌가 그 방법을 사용한다”고 표현해야 논리상 적절합니다. 따라서, “extract“는 의미의 전달 측면에서 부적절하며, ”use“, ”utilize“, 또는, ”make use of“로 변경해야 의미상 적절합니다. 아울러, ”abstract“ 역시 ”combining“으로 변경하든지 없애는 것이 적절합니다. 관계절의 내용으로부터 ”경험들을 결합한다고“ 지시하고 있어 문맥에 맞게 없애는 것이 의미상 적절합니다.
- 💡 문장 3의 핵심 주장
- ✔ 기억은 유사한 경험을 하나로 합쳐 저장하며, 이는 학습의 근본 원리이다.
- 🔍 어휘 적절성 검토 (b)
- "(b) merges"는 "(기억이 유사한 사건을) 합친다"는 의미로 문맥상 적절합니다.
📌 문장 4
This is especially true for things that are (c) routine.
🔑 주요 단어 정리
- especially: 특히
- true: 사실인
- routine: 규칙적인, 일상적인 (동의어: habitual, regular), 틀에박힌 일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is especially true/ [for things/ that are (c) routine].
- 이것은(경험들을 결합하는 것은) 특히 사실입니다/ [일들에 대해서는/ (c) 일상적인].
📖 어법 설명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ings/ that are (c) routine”에서 “that”은 선행사, “thing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일상적인 일들”의 의미를 전달.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 💡 문장 4의 핵심 주장
- ✔ 일상적인 행동일수록 기억이 합쳐지는 경향이 강하다.
- 🔍 어휘 적절성 검토 (c)
- 문장 3의 진술인 “Your memory (b) merges/ similar events”에서 “similar events:가 "규칙적인" 행동을 의미하는 "(c) routine"으로 볼 수 있어 문맥상 적절합니다.
📌 문장 5
If your breakfast is always the same ― cereal with milk, a glass of orange juice, and a cup of coffee for instance ― there is no easy way for your brain to extract the details from one particular breakfast.
🔑 주요 단어 정리
- the same: 동일한 것
- extract: 추출하다 (동의어: derive, obtain)
- detail: 세부 사항
- particular: 특정한 (동의어: specific, distinc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your breakfast is always [the same]/ ―/ [<cereal with milk>,/ <a glass of orange juice,>/ and/ <a cup of coffee>,/ for instance]] ―/
- [만약 당신의 아침 식사가 항상 [동일한 것]이라면/ 다시 말해/ [<우유를 곁들인 시리얼>,/ <오렌지 주스 한 잔>,/ 그리고/ <커피 한 잔>같이,/ 예를 들어],] ―/
- there is no/ [easy way/ [<for your brain>/ [to extract/ <the details/ from one particular breakfast>]]].
- 없습니다/ [쉬운 방법은/ [<당신의 뇌가>/ [추출할/ <세부 사항들을/ 특정한 아침 식사로부터>]]].
📖 어법 설명
-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your breakfast is always [the same]/~]”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라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 Dash(―)와 for instance의 의미의 중복 – 둘 중 하나 제거 필요
- Dash(―)도 “the same(동일한 것)”을 부연 설명하고, “for instance”역시 “the same”의 예를 제시하여 의미의 중복이 발생합니다. Dash(―)나 “for instance”를 둘 중 하나를 제거하는 것이 “duplicate expression(중복 표현)”을 방지하는 방법입니다.
- ✅ 접속부사구 "for instanc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easy way/ [<for your brain>/ [to extract/ <the details/ from one particular breakfast>]]]”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easy way”를 수식. “<for your brain>”는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역할.
- 💡 문장 5의 핵심 주장
- ✔ 아침 식사가 항상 같다면, 특정한 아침을 기억하기 어렵다.
📌 문장 6
Ironically, then, for behaviors that are routinized, you can remember the generic content of the behavior (such as the things you ate, since you always eat the same thing), but (d) particulars to that one instance can be very difficult to call up (such as the sound of a garbage truck going by or a bird that passed by your window) unless they were especially distinctive.
🔑 주요 단어 정리
- ironically: 역설적으로
- behavior: 행동
- routinize: 습관화(관례화) 하다
- generic: 일반적인 (동의어: common, general)
- content: 내용
- such as~: (예를 들어) ~같은
- particular: 특정한 사항
- one instance: 한 순간
- call up: (기억을) 떠올리다 (동의어: recall, retrieve)
- garbage truck: 쓰레기 트럭
- go by: 지나가다
- pass by~: ~ 옆을 지나가다
- distinctive: 독특한, 눈에 띄는 (동의어: unique, special)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ronically,/ then,/ [for behaviors/ that are routinized],/
- 역설적으로,/ 그러면,/ [행동들에 대해서는/ 습관화된],/
- you can remember/ [<the generic content/ of the behavior>/ ([such as the things/ (which or that) you ate]],/ [since you always eat/ the same thing]),/
- 당신은 기억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내용은/ 그 행동의>/ ([것들 같은/ 당신이 먹었던]]),/ [왜냐하면 당신이 항상 먹기 때문에/ 동일한 것을]),/
- but/ (d) <particulars/ to that one instance>/ can be very difficult/ to call up/
- 그러나/ (d) <특정한 사항들은/ 그 한 순간에 대한>/ 매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떠올리기가/
- (such as [the sound/ [of a garbage truck/ (which or that was) going by]/ or/ [(of) a bird/ that passed/ by your window]])/
- (예를 들어,/ [소리같은/ [쓰레기 트럭의/ 지나가고 있었던]/ 또는/ [새의/ 지나갔던/ 당신의 창문 옆을]])/
- [unless they were especially distinctive].
- [만약 그것들이 특별히 뚜렷하지 않았다면].
📖 어법 설명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수동태[be +pp]
- “behaviors/ that are routinized”에서 “that”은 선행사, “behavior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습관화된 행동들”의 의미를 전달.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아울러, “are routinized”는 “습관화 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things/ (which or that) you ate”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thing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당신이 먹었던 것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 이유의 부사절 “since + 주어 + 동사”
- “[since you always eat/~]”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하기에 / ~할 정도로 / ~할 만큼”
- “very difficult/ to call up”에서 사용된 용법. “very difficult”를 수식
-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a garbage truck/ (which or that was) going by“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a garbage truck“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was)“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하며 ”지나가고 있었던 쓰레기 트럭“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 bird/ that passed/ by your window”에서 “that”은 선행사, “a bird”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당신의 창문 옆을 지나갔던 새”의 의미를 전달.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 ✅ 병렬 구조 – 두 개의 전치사구를 or로 연결
- “[of a garbage truck/ (which or that was) going by]”와 “[(of) a bird/ that passed/ by your window]”를 or로 병렬 연결한 구조.
- ✅ 조건의 부사절 “unless + 주어 + 동사”
- “[unless they were especially distinctive]”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하지 않다면”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6의 핵심 주장
- ✔ 습관적인 행동은 전체적인 내용은 기억하기 쉬우나, 특정한 순간의 세부 사항은 기억하기 어렵다.
- 🔍 어휘 적절성 검토 (d)
- 여기서 “particulars”가 “to that one instance”로 수식을 받아 “습관화된 상황들에 대한 특정한 사항들”의 의미가 되기 때문에 문맥상 적절합니다. 다만, 수식하는 전치사구가 없다면, 즉, “particulars”가 단독으로 사용되었다면,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그렇다 하더라도, “specific details(구체적인 세부 사항들)”로 표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 🔍 제목 추론 1
- 📢 현재까지의 진술은 문장 3(독특하지 않은 사건에 대해서는 효율을 위해 사건들을 결합하여 저장한다)을 제외하면 사건이 독특할수록 그에 대한 기억이 생생하다는 것입니다.
- 📢 보기를 확인하면, “⑤ The More Unique Events, the More Vivid Recollection(사건들이 더 독특할수록, 기억의 회상은 더 생생합니다.)”이 가장 가깝습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7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7
On the other hand, if you did something unique that broke your routine ― perhaps you had leftover pizza for breakfast and spilled tomato sauce on your dress shirt ― you are (e) less likely to remember it.
🔑 주요 단어 정리
- on the other hand: 반면에 (동의어: conversely, in contrast)
- leftover: 남은 음식
- spill: 흘리다, 엎지르다
- be likely to V: ~할 가능성이 높다 (동의어: be prone to, tend to)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 the other hand,/
- 반면에,/
- [if [you did/ [<something unique>/ that broke/ your routine]] ―/ [perhaps/ you <had/ leftover pizza/ for breakfast>/ and/ <spilled/ tomato sauce/ on your dress shirt>]] ―/
- [만약 [당신이 했다면/ [<독특한 무언가를>/ 깼던/ 당신의 루틴을]],/ 다시 말해서/ [아마도/ 당신은 <먹었던/ 남은 피자를/ 아침 식사로>/ 그리고/ <흘렸던/ 토마토 소스를/ 당신의 드레스 셔츠 위에>]],/
- you are (e) less(→more) likely to remember/ it.
- 당신은 (e) 덜(→더) 기억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것을.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구 "On the other hand"
- 문장 내에서 "반면에"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you did/~]]”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something unique>/ that broke/ your routine]”에서 “that”은 선행사, “<something uniqu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당신의 루틴을 깼던 독특한 무언가”의 의미를 전달.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 ✅ 문장의 부연 설명 – Dash(―)
- “[you did/ [<something unique>/ that broke/ your routine]]”를 “Dash(―)”가 부연 설명하여 그 내용을 “[perhaps/ you <had/ leftover pizza/ for breakfast>/ and/ <spilled/ tomato sauce/ on your dress shirt>]”로 설명.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had/ leftover pizza/ for breakfast>”와 “<spilled/ tomato sauce/ on your dress shirt>”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are (e) less(→more) likely to remember/ it”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구 “are (e) less(→more) likely(~하는 것의 가능성이 높다)”의 목적어 역할.
- 💡 문장 7의 핵심 주장
- ✔ 루틴을 깨는 독특한 행동은 기억에 남을 가능성이 더 크다.
- 🔍 어휘 적절성 검토 (e)
- "(e) less likely to remember"는 "덜 기억할 가능성이 있다"로 문맥과 맞지 않고 “less”를 “more”로 변경하여 “more likely to remember”로 변경하는 것이 문맥상 적절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 41번 제목 선택
- ✔ 핵심 주장 정리
- 특별한 경험은 기억 속에서 경쟁하는 정보가 없기 때문에 더 잘 기억됨.
- 반복되는 경험은 일반적인 기억으로 합쳐지기 때문에 개별적 세부 사항을 기억하기 어려움.
- 독특한 경험이 기억을 더 선명하게 만든다는 점 강조.
- ✔ 정답 근거
- ① Repetition Makes Your Memory Sharp! → 반복이 기억을 선명하게 만든다는 내용이 아님 ❌
- ② How Does Your Memory Get Distorted? → 기억이 왜곡된다는 내용이 아니라, 특정 기억이 잘 남거나 흐려진다는 내용이므로 부적절 ❌
- ③ What to Consider in Routinizing Your Work → 작업의 루틴화에 대한 조언이 아니라 기억과 관련된 내용이므로 부적절 ❌
- ④ Merging Experiences: Key to Remembering Details → 경험을 합치는 것이 개별적인 기억을 저장하는 핵심이라는 내용은 아님 ❌
- ⑤ The More Unique Events, the More Vivid Recollection → 독특한 경험일수록 선명하게 기억된다는 내용과 가장 부합 ✅
- ✅ 최종 정답: ⑤ The More Unique Events, the More Vivid Recollection 🎯
📌 42번 어휘 적절성 판단
- ✔ 각 단어의 문맥상 적절성 검토
- ① (a) difficult ✅ → "기억하기 어렵다"라는 문맥과 적절.
- ② (b) merges ✅ → "기억이 유사한 사건을 합친다"는 의미로 적절.
- ③ (c) routine ✅ → "일상적인 행동"이라는 의미로 적절.
- ④ (d) particulars ✅(제한적 적합) → "specific details"로 변경하는 것이 문맥상 적절.
- ⑤ (e) less likely ❌ → "more likely"로 수정해야 문맥에 맞음.
- ✅ 최종 정답: ⑤ (e) less likely → "more likely"로 수정해야 함. 🎯
결론
📌 기억을 더 선명하게 만드는 방법은?
📢 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41번과 42번 지문을 통해 기억이 형성되는 방식과 반복되는 경험이 기억 속에서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 특별한 경험은 다른 기억과 경쟁하지 않기 때문에 더 선명하게 남지만, 일상적인 경험은 뇌가 일반적인 기억으로 합쳐버리므로 세부적인 순간을 떠올리기 어렵습니다.
📢 결국, 독특한 경험일수록 기억에 더 오래 남으며, 반복적인 경험은 세부적인 기억을 희미하게 만든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 문제 풀이 전략 정리
- ✅ 제목 선택 시, 지문의 핵심 논리를 빠르게 파악하는 연습 필요.
- ✅ 어휘 문제에서는, 단어가 문맥과 논리적으로 적절한지 판단하는 능력 중요.
- ✅ "less likely" vs. "more likely"와 같은 비교급 표현이 문맥상 적절한지 확인할 것.
📢 논리적인 독해와 문제 풀이 접근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며, 앞으로도 다양한 지문을 분석하며 독해력을 향상시키는 연습을 해봅시다! 🚀
📢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문법)적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및 어법(문법) 설명이 여러분의 문제 풀이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더 많은 영어 독해 및 문제 풀이 전략은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 💡
Comments
Post a Comment